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알아두면 쓸데 있는 신기한 각국의 설날 문화

by 10기이소영기자 posted Feb 19, 2019 Views 138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c0439436b0fc44ae612e2f9aeabb3dd6.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이소영기자]


한국의 가장 큰 명절인 설날. 보통 3~5일 정도로 지정되어 있는 한국의 설 연휴 동안에는 만나기 힘들었던 친인척 모두가 한데 모여 담소를 나누느라 온 사방에 북적북적함이 가득해진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각국의 여러 사람들은 저마다의 문화로 설날을 지내왔다. 다양한 설 풍습에는 어떤 것이 있을지 알아보자.


1. 한국

한국의 설은 음력 1월 1일로 현재는 설날의 전날과 다음날 총 3일을 연휴로 지정하고 있다. 한국의 고유한 설 문화로는 대표적으로 차례 지내기와 세배드리기가 있다. 감사함과 건강을 빌며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고 나면 가족이 모여 놀이를 즐기곤 하는데, 이날 즐기는 민속놀이로는 가족 모두가 한마음이 되어 즐기는 윷놀이와 널뛰기, 연날리기 등이 있다. 주로 먹는 음식은 떡국이다. 떡국을 먹는 것을 가리켜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2. 일본

가깝지만 먼 나라. 일본의 설날은 특이하게도 양력 1월 1일부터 3일까지이다. '간지츠' 혹은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일본의 설날에는 온 가족이 모여 술과 음식을 먹고 새해 인사를 한다고 한다. 일본식 떡국인 '오조니'와 조림 요리인 '오세치'가 설날에 먹는 대표 음식이다.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아이들은 세배를 하고 '오토시다마'라고 하는 세뱃돈을 받는다. 연하장을 보내는 문화가 발달하여 전국으로 연하장이 배달된다고 한다.


3. 중국

'춘절'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진 중국의 설날은 우리나라와 같은 음력 1월 1일을 설날로 지정한다. 중국에서 춘절, 또는 춘지에라는 명절은 굉장히 큰 명절로 연휴가 일주일가량 지속된다. 가장 널리 하는 놀이는 불꽃놀이와 폭죽 터트리기이다. 그믐날 자정에는 각 집마다 모두 폭죽을 터트리는데, 이 소리에 악귀가 놀라 도망갈 것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한다. 설을 대표하는 음식으로는 '교자'라는 만두가 있는데 이는 '해가 바뀌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주로 중국의 북방지역에서 교자를 먹는다면 남방지역에서는 '모든 일이 순탄하라'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떡을 먹는다고 한다. 흰 봉투를 주고받는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중국은 빨간색 봉투에 세뱃돈을 받기 때문에 이를' 홍빠오'라고 부른다.


4. 프랑스

프랑스에서는 1월 1일 0시가 되면 사람들과 서로 껴안고 자동차 경적을 울리며 요란 벅적하게 새해를 맞이한다. 새해 전날까지 집안에 술이 남아 있으면 안 된다는 미신이 있기 때문에 밤이 새도록 술을 마시는 풍습이 존재한다. 빵안에 작은 도자기를 넣고 구워서 그 빵에 당첨된 사람의 모든 명령을 따라야 하는 재미있는 문화도 있다.


이밖에도 '북극곰 수영축제'가 열리는 미국과 노르웨이. 우리나라의 설빔과 비슷한 풍습을 가진 이란 등 수 많은 나라에는 더욱 수많은 설 풍습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모든 문화에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함께 음식을 먹으며 새해를 맞은 기쁨을 나눌 수 있는 사람들이다. 이번 기회에 더 많은 세계의 명절에 대해 알아봄과 동시에 소중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우리 민족 고유 명절인 설날의 소중함을 되새겨 보도록 하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0기 이소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19 21:49
    다른 건 몰라도 북극곰 수영축제를 새해축제로 하다니! 한겨울이라 너무 추워서 힘들지 않을까요? ㅎㅎㅎ
  • ?
    10기김동민기자 2019.02.20 22:09
    일본은 만화의 영향인가? 왠지 친숙하네요ㅎㅎ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652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407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3862
한국인들은 안경 끼고 밤 늦게까지 공부만 한다고? 3 file 2017.05.18 하은지 12663
한국인 유일의 단독 방북 취재, 진천규 기자 file 2019.02.21 오유민 15162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file 2021.11.22 임나연 12420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8622
한국을 알리다, 영국남자 4 file 2019.02.07 장혜원 17259
한국은행 전북본부 고교경제 토론대회 개최 7 file 2017.01.19 최희주 14875
한국은 지금 '젠트리피케이션' 몸살 중 file 2018.11.21 박태준 14053
한국은 제2의 영국이였다 file 2016.05.10 이지영 15797
한국외대 모의국제연합과 함께하는 제41차 HIMUN 총회 file 2017.07.25 이가영 15560
한국영화의 미래, <아이 캔 스피크> 2 file 2017.11.13 김서영 16125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사용하는 것? 3 file 2017.03.26 전인하 15453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128
한국에서 점점 입지를 다지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들 2 file 2017.10.24 정혜원 17976
한국에서 외국문화 즐기기 1 file 2016.08.24 강예린 19391
한국에서 기본소득, 득일까 독일까 19 file 2017.01.15 김혜진 21326
한국어린이기자단과 함께한 영화 ‘정글번치: 최강 악당의 등장’ 시사회 file 2018.04.11 디지털이슈팀 16898
한국스카우트연맹·토당청소년수련관, 청소년 나눔김장 사업 진행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4317
한국사회의 쌀 소비실태 현황 및 오늘날 쌀에 대한 청소년 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file 2016.10.25 권주홍 25406
한국사회와 유럽사회 2 file 2017.04.24 이시온 14972
한국민속촌, 가을 축제 '풍요로운 낭만조선' 진행 file 2022.10.13 이지원 8217
한국민속촌, ‘추석이 왔어요’ 명절 맞이 세시 행사 개최 file 2022.09.07 이지원 6913
한국민속촌, ‘시골마을의 한로일에는’ 행사 진행 file 2022.10.22 이지원 8674
한국문화원연합회, 재미와 유익함 동시에 잡은 콘텐츠로 지역문화 홍보 file 2023.01.02 이지원 7552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2023년 전시공간 활성화 지원 사업’ 공모 file 2022.11.01 이지원 82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3년 ‘예술과기술융합지원 사업’ 공모 추진 file 2023.01.09 이지원 8737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콘텐츠 및 만화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진행 1 file 2017.04.04 문정호 20482
한국만화박물관을 다녀와서 2 file 2019.02.14 강재욱 15041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6754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364
한국뇌연구원 대강당에서 2017 세계뇌주간 행사 개최 1 file 2017.03.19 박은서 13089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2 어린이 꽃그림 그리기 대회 개최 file 2022.09.14 이지원 8942
한국교통대학교 2017년 제16회 국원문학상 공모 1 file 2017.08.03 김경수 15547
한국교육개발원, 건강장애학생 교육 기회 확대 및 소통을 위한 메타버스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025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OECD 국제 세미나’ 개최 file 2023.01.12 이지원 7732
한국과 일본의 미래를 위한, 한·일 중고생교류사업 file 2017.10.30 송지현 14562
한국과 다른 듯? 같은 듯! 일본의 가정과 학교 9 file 2017.01.24 박수연 26740
한국경제신문, 상경대 희망 고교생 위한 캠프 개최 2 file 2017.08.02 유채원 15121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007
한국 프로야구, 겨울잠에서 깨다! 2 file 2017.03.30 김지헌 14967
한국 축구의 미래 U-20 축구 대표 팀 아디다스컵 우승! file 2017.04.02 서재성 16180
한국 청소년, 미국 친구들과 만나다! file 2019.07.29 이솔 15869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의 역사, 오륜대 한국 순교자 박물관 file 2017.09.26 허재영 16250
한국 직장의 모습을 거짓 없이 드러낸 영화 '오피스' 6 file 2017.01.22 최윤정 15877
한국 외교의 발자취가 담긴 외교사료관에서 외교관의 꿈을 키워보자! file 2019.02.11 이채빈 21001
한국 영화산업, 세계로 나아가나 2017.08.11 김정환 14889
한국 속의 유럽 2 file 2016.07.25 김태윤 18119
한국 모바일 게임의 미래는? 1 file 2017.04.10 신지혁 15365
한국 로봇 융합 연구원, 로봇교육실 상설 운영 file 2016.08.14 이민정 169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