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by 10기이남규기자 posted Feb 08, 2019 Views 1055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에서 지방선거를 실시하고 24년(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준)이 지난 지금 국회의원 못지않게 지방의회 의원들도 다양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가장 최근에 벌어졌던 일로는 2019년 1월 초에 예천군의회 의원들이 해외연수 중 현지 가이드를 폭행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다시 한번 지방의회 제도 정비 혹은 지방의원들의 국외연수 금지에 대한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예천군민들은 이번 예천군의회 의원의 폭행 사건을 통하여 선거에서 지역일꾼을 잘못 뽑으면 어떻게 되는지 뼈저리게 느끼고, 예천군농민회를 비롯한 범군민 대책위원회는 예천군의회의 모든 군의원의 자진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군의원 전원사퇴는 이루어지지 않고 2019년 2월 1일 예천군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폭행 당사자인 박종철 군의원 제명, 권도식 군의원 제명으로 의원직을 상실하였으며 이형식 예천군의회 의장은 당초 제명 예정이었으나 의회 출석 30일 정지 처분이 결정되었다.


지방의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이뿐만이 아니다. 성폭행, 갑질, 업무추진비 횡령 등 다양하며 지방의원들은 자율적인 의정 활동비 책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봉을 계속해서 인상하는 곳도 있는가 하면, 국회의원 배지는 은으로 만든 도금 배지로 가격은 3만 5천 원인 반면 50만 원에 달하는 순금배지를 달고 다니는 지방의회 의원들도 있다.


의회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0기 이남규기자]


또한, 지방의원들은 선거에서 정당의 공천을 받으려면 지역구 국회의원의 눈치를 보기 바쁘다. 이렇다 보니 지역주민의 일꾼이 아닌 지역 국회의원의 일꾼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지금까지 지방의회 의원들이 행해오는 실태를 보면 지역주민은 물론 국민들까지도 정말 우리의 세금을 들여가면서까지 저런 사람들이 필요한가 하는 의문까지 품게 할 정도로 심각하다. 


지금의 지방의회는 지역을 위해 일하는 일꾼이 아닌 개인의 사리사욕을 챙기기 바쁜 자리로 전락해 버렸다. 이제는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법의 개선과 관련 법령을 마련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0기 이남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017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78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1006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173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383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8809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8994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19744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586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952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49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616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470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428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718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0783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19966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038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138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8834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0954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355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19742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34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64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897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8885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102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8784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19965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14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537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19951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8965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52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071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195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8712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798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002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355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018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209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7839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499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216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208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4972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049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263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5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