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by 11기하예원기자 posted Jan 04, 2019 Views 1407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수많은 이슈를 낳으며 시청률까지도 고공행진 하는 드라마 <SKY캐슬> 11회가 방영된 후, 한 생소한 용어가 실시간 검색어에 등장했다. 리플리 증후군이 바로 그것이다. 시청자들이 극 중 세리가 리플리 증후군에 걸렸을 것으로 추측하며 실시간 검색어에도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극 중 세리는 가족들에게는 하버드 대학교에 합격했다는 거짓말을 하고 실제 하버드 대학교에 재학하는 것처럼 신분을 위조한다. 하지만 몇 년 후, 하버드 대학교 측의 고발과 벌금 청구로 세리의 엄마가 진실을 알게 된다. 자, 그렇다면 이가 리플리 증후군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리플리 증후군이란, 자신이 처해있는 현실을 부정하고, 마음속으로 꿈꾸는 허구의 세계를 진실이라 믿으며 거짓말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에 해당된다. 단순히 거짓말을 많이 하고 거짓이 탄로 날까 불안해하는 보통의 거짓말쟁이가 아니라, 자신이 한 거짓말을 완전한 진실로 믿는 것이다. 리플리 병, 리플리 효과라고 부르기도 하는 이 증후군은 어디에서 유래한 걸까? 리플리 증후군이라는 용어는 1955년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의 주인공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리플리는 호텔 종업원으로 살아간다. 리플리의 친구인 디키는 유복한 가정에서 성장하였고, 금전적으로도 넉넉하게 살아간다. 하지만 리플리에게 디키는 그저 부자 아버지를 둔 덕분에 무위도식하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리플리는 본인의 개인정보를 위조하고, 다양한 거짓말을 하며 디키에게 다가간다. 하지만 계속된 거짓말로 리플리는 본인이 디키라고 착각하는 지경에 이르고, 결국 디키를 살해한 후 본인이 그 자리에 서게 된다. 살해 사실을 감추기 위해 대담한 거짓말과 행동으로 리플리의 살인은 완전범죄로 끝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디키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진실이 드러나게 된다.


Screenshot_20190104-025030.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하예원기자

  

 리플리 증후군은 꽤 다양한 작품들이 다룬 하나의 소재이다. 영화 <화차>와 <광해, 왕이 된 남자> , 또 MBC의 드라마 <미스 리플리> 모두가 주인공이 리플리 증후군에 걸린 설정을 통해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또한 실제 리플리 증후군에 걸린 인물이 사회에 큰 충격을 사건도 많았다. 일명 신입생 엑스맨 사건과 신정아 학력위조 사건, 또 김정윤 씨가 미국의 명문대 두 곳에 동시 입학을 했다며 사기극을 벌인 것들이 대표적이다.


 신입생 엑스맨 사건은 한 남학생이 수년간 48개 대학에 동시 재학 중인 것이 밝혀져 큰 충격을 안겨주었었다. 하지만 SBS <그것이 알고싶다> 팀의 취재 결과, 그는 교수인 아버지를 두었고 학문적으로 상당히 엄격한 환경에서 성장했으며, 4년제 대학에 합격했지만 가족들과 자신의 성에 차지 않는다는 이유로 대학을 그만두고 난 후 전국의 4년제 대학을 떠돌며 신입생 환영회에 참석하며 신입생 행세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신정아 학력위조 사건 역시 비슷하다. 2007년 7월 당시 동국대 교수였던 신정아 씨의 예일대 미술평론 박사학위 학력위조 의혹이 전방위로 불거졌고, 검찰 수사 결과 박사학위 논문도 모두 가짜였으며 예일대 학력 역시 위조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후 신정아 씨와 인연을 맺은 미술계·대학가·불교계 인사 등으로 여파가 퍼지며 문제가 심화됐다. 뿐만 아니라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과의 스캔들 등 정계 로비 의혹까지 불거지기도 했다. 결국 신정아 씨는 학력위조와 공금 횡령 등의 혐의로 2007년 10월 구속기소 된 뒤 징역 1년 6개월 선고를 받았다.


 김정윤 씨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김정윤 씨는 어렸을 때부터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특출난 공부 실력을 보였고, 페이스북에는 각종 경시대회 선발자 증서와 상장 등을 올리며 하버드와 스탠포드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에 동시 입학했다는 사실 또한 알린다. 이어 김정윤 씨는 가장 충격적인 사실을 알리게 된다. 여러 학교 중에서도 하버드와 스탠포드로부터 받은 합격 통지는 단순한 동시 합격이 아니라, 하버드 대학교를 2년 다닌 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2년만 추가적으로 공부하면 원하는 학교의 졸업장을 선택해서 받을 수 있다는 파격적인 조건의 동시 입학이었다. 이런 전례를 찾아보지 못했던 한국 언론들은 이를 대서특필하기 시작한다. 김정윤 씨는 이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발표한 수학 관련 논문을 관심 있게 본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창업자)가 직접 전화를 걸어오기도 했다고 이야기하며 더 큰 주목을 받게 된다. 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네티즌들은 그녀의 각종 경시대회 상장과 대학 입학증의 이메일 주소나 필적이 정확하지 않다는 이유로 의심하기 시작했다. 뒤이어 하버드 대학교 홍보국장과 기타 관계자들이 잇달아 사라 킴(김정윤)이 어느 쪽에도 합격한 사실이 없으며, 두 대학교를 동시에 재학할 수 있는 프로그램 역시 없음을 밝히면서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거세진다. 합격을 도와주고 김정윤 씨를 매우 특별하다고 말해준 한 교수 역시도 김정윤 씨에 대해 아는 바가 전혀 없다며 결정적인 증언을 하였고, 결국 김정윤 씨의 아버지인 김정욱 씨의 공개 사과로 대국민 사기극은 막을 내리게 된다.


 리플리 증후군은 성장 과정 중에 극심한 차별을 당하거나 부당한 취급을 반복적으로 받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난다고 한다. 또한 열등감과 피해의식에 시달리다가 사회로부터 버려졌다는 실망감을 받은 사람들에게서 주로 나타나기도 한다. 욕구 불만족과 열등감에 시달리는 사람이 본인의 상습적인 거짓말이 진실이라고 믿게 되면 단순한 거짓말로 끝나지 않을 수 있고, 타인에게 심각한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입힐 위험성이 증가한다. 하지만 그들에게 이러한 욕구 불만족과 열등감을 불러일으킨 원인이 무엇인지 우리는 명확히 알아야 한다. 단순히 그들의 어리석은 주관이었을지, 혹은 학벌주의 사회가 키워낸 비뚤어진 욕망이었을지. 개개인의 성장 배경과 인성, 열정과 실력을 짓누르고 서있는 학벌이 위풍당당하게 서 있는 국가는 어디에 있을까. 수천만 원, 수억의 빚을 져서라도 명문대에 합격하고자 하는 국민들을 보고도 침묵하는 국가는 그리 먼 곳에 있지 않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하예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641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35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6771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301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1981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2698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822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776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7455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088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120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096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477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1970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0835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3178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4076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4950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4682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401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442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585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3937
청소년들을 좌지우지 할 대선 후보들의 교육정책 3 file 2017.05.07 김서영 11347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257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713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7075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393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8274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976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294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178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1733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406
청소년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 정치 1 file 2017.02.09 정재은 16246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626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17813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646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4824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554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452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543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520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314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411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청소년의 권리 2 file 2017.07.25 최지오 11864
청와대 '오보괴담 바로잡기' 3 file 2016.11.20 김다현 19662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4 file 2018.07.27 김정우 11325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464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310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점점 가중되는 '차이나 게이트' 의혹 file 2020.03.24 임재완 91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