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by 8기김민우기자 posted Nov 23, 2018 Views 181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학문은 모두 이전의 학문을 따르거나 혹은 이전의 학문을 비판하는 형태로 발전한다특히 경제학과 같이 현실과 관련성이 높은 학문은 더욱이 많은 변화와 발전을 겪는다. “시장의 역사는 인간의 역사와 같다라는 말처럼 경제학의 역사는 인류의 발전과 발을 같이했다.


1234567.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민우기자]

 

  근대경제학의 역사는 애덤 스미스로부터 시작됐다고 봐도 무방하다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보이지 않는 손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이 아닌 도덕 감정론에서 언급된다이 보이지 않는 손은 고전 경제학파의 중심적인 축 역할을 한다이렇게 스미스를 중심으로 고전 경제학자들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통해서 자연스러운 가격과 생산의 균형을 나타내고 이것이 결국에는 완전고용을 이루면서 경제가 유지된다고 말했다또한이전까지 유럽에서 사용되던 보호 무역정책을 탈피하여 국부를 증진하는 중상주의를 유행시켰다또한 자유시장 질서를 강조하면서 자유로운 교역을 통해 국부를 증진시키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였다또한이러한 고전파 학자들은 한계효용한계생산한계비용과 같은 한계(marginal)의 개념을 활용한 수리 경제학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929년 10월에 터진 뉴욕의 주식시장 붕괴와 함께 찾아온 대공황을 통해서 시장 중심의 고전파에 의심이 커지게 되고이를 통해서 케인스를 중심으로 한 케인스학파가 발전한다이것이 현대 경제학의 이 무렵에 탄생했다케인스는 일반이론이라는 책을 통해서 고전학파의 한계점을 지적하고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며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특히 투자는 기업가처럼 동물적인 본능을 따라야 하며 물가와 임금은 오르기 쉽지만 떨어지기 어렵다며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과 함께 뉴딜정책을 시행하여 30년 이상 경제학의 주류 이론으로서 역할을 해냈다특히 그는 시장을 믿다가 장기적으로는 우리 모두 죽는다.”라는 말을 통해서 높은 실업률을 해소하기 위해 세금보다 더 지출해서 인위적으로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는 유효수요이론을 통해서 시장의 문제를 지적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30년 이상을 주류 경제학으로써 발전하던 케인스학파에도 시련이 닥쳤다. 1970년대 석유파동과 스태그플레이션과 같은 일이 발생하면서 정부지출을 통해서도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속속들이 부상했다이런 상황을 보고 밀턴 프리드먼을 중심으로 한 신자유주의 경제학이 떠오르기 시작한다케인스의 재정정책으로는 효과가 미약하다고 말하면서 경제 성장을 위해서 통화 증가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되정부는 가능한 시장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말했다사람들은 이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활용해 합리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정부의 시장개입이 오히려 예상치 못한 변수로 작용하여 역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그리고 이들은 시카고학파로써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경제 정책에 근간이 되었으며이것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대세가 되었고 신자유주의가 강력해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다시 2008년의 세계 금융위기로 인하여 시카고학파의 기가 한풀 꺾였다금융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계 각국은 무작정 돈을 풀고 보는 양적 확대를 통해서 경기 부양을 위해 노력했으나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온다는 얘기 등으로 인하여 복잡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었다이럴 때 신케인스주의자들이 다시 목소리를 냈다그리고 현재는 다시 케인스주의와 자유주의의 경쟁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결론적으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끊임없는 선의의 경쟁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8기 김민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453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249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5725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065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6584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359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2898
청소년들을 좌지우지 할 대선 후보들의 교육정책 3 file 2017.05.07 김서영 11085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3639
청소년들에게 선거권을 부여해야 하나 9 2016.04.13 이현진 18282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062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079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4308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4621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① 리플리 증후군 file 2019.01.04 하예원 13762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2775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0499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1660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120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3832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1864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2808
청소년 투표권,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12 file 2017.01.17 신호진 37115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409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469
청소년 인권 개선 위해 팔 걷고 나선 학생들 4 file 2018.02.21 변정윤 12379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1391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29844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000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061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8905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308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127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3199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012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19301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5485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572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103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1724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290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214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062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226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1904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267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002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7711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344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006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3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