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학교소식

충북고, 구본권 작가와 함께하는 소통의 장 마련

by 10기허기범기자 posted Nov 12, 2018 Views 107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7120_수정.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허기범기자]


충북고는 1025(),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야 할 이들을 위한 안내서 로봇 시대, 인간의 일이라는 책을 가지고 사제동행 독서 토론을 진행하였다. 각자 책을 읽은 후 자동화가 인간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을까?’, ‘로봇과 차별되는 인간의 능력은 무엇일까?’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전에도 충북고는 4차 산업혁명 즉, 인공지능에도 관심을 가지면서 논술 대회, NIE 토론 등으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러한 충북고 학생들의 관심에 힘입어 로봇 시대, 인간의 일의 저자인 구본권 작가가 119()에 직접 학교를 방문하였다. 구본권 작가는 한겨레신문 기자이자 사람과 디지털 연구소장이다. 그는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아 신문방송학과 겸임교수로 지내면서 1990년부터 한겨레신문 기자로 일하여 학생들에게 힘 있고 알찬 사회의 경험을 말해줄 수 있었다.

 IMG_8772_수정.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허기범기자]


생각 사고의 폭을 넓혀라!

구본권 작가는 지금 자기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미래를 결정하는 엄청난 시기라고 말하면서 학생들의 생각 사고를 열어주었다. 학창시절 딴짓한 것, 책 읽은 것만 기억에 남았지만, 이 과정은 나 자신의 경로를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경험담을 얘기하면서 학생들의 웃음을 자아냈다.

 

몇 살까지 살게 될까? 몇 살까지 일해야 할까?

지금은 100세 시대이지만, 지금의 청소년들은 130세 시대가 될 것이다. 정년은 평균 60세이지만, 이 기준은 80세 시대일 때 정한 것이므로 앞으로의 평균 정년은 더욱더 늘어날 것이다. 1970년과 2010년을 비교했을 때 출산율은 50만 명이 줄었다. 현재 청년들은 공무원이 안정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꿈의 직장으로 삼고 있지만, 공무원은 피라미드형의 인구구조일 때 안정한 직장이다. 현재는 역피라미드형의 인구구조로 점점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 일의 정의를 확대하고 길어진 수명에 상응할 수 있을 것이다. , 직업 수명은 단축될 것이다.

 

사회는 너무나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소련 시절 제작된 안토노프사의 민간수송형 항공기는 통신사, 항법사, 기장, 부기장, 기관사 2명의 자리가 마련되어 있었다. 1950년대부터 통신기술의 발달로 통신사의 자리가 사라지고, 1960년대엔 항공기에 탑재된 다양한 기기가 안정화되면서 기관사가 사라졌다. 항법사는 당시 최고의 전문직이었다. 원래 GPS는 미국 국방성에서 폭격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군사용으로 개발한 시스템이지만, 민간 항공기의 영공 침공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미국에 의해 개방되면서 1980년대에 이르러 항법사는 사라지게 되었다. 우리와 밀접한 기계에서도 볼 수 있다. 아이리버는 2000년 당시 MP3 플레이어의 국내 시장 60%, 세계 시장 2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면서 세계 최고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애플사에서 2007년 첫 아이폰을 발표하자 디지털 음원의 보급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었다. 따라서 아이리버의 MP3 플레이어도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누구도 살아보지 못한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누구도 살아보지 못한 시대이다. 우리가 4차 산업혁명 즉, 인공지능의 첫 세대이므로 명확한 해답을 찾기 위해 우리는 노력해야 한다. 미래에 90세까지 살아가려면 대략 10개 정도의 직업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앞으로는 전문직마저 위기를 맞을 것이다. 현 초등학교 입학생 중 65%가 미래에 현존하지 않는 직업을 갖게 될 것이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모든 경기 기록을 로봇이 담당하였다. 또한, 기사까지 작성하였는데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는 속도와 정확도를 보여줘 모두가 놀랐다. 이외에도 의약품 제조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진행하였다. 미래에 의사가 사라지는 직업은 아니겠지만, 지휘와 역할은 지금보다 훨씬 떨어질 것이다.

 

내가 준비한 대로 세상이 다가오지 않는다!

미래는 모르기 때문에 미래고, 예측할 수 없다. , 자신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준비해야 한다. 바둑의 신 이세돌과 커제가 알파고 바둑대국을 완패한다는 것을 누가 알았을까? 미래는 절대 내가 준비한 대로 다가오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변화하며 살 수 있을까? 어떻게 해야 내가 모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인가?’ 답이 없는 문제를 만들어야 한다. , 각자가 문제만 가진 것이다. 답이 없는 사람이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는 계속 변해야 하고, 흐름을 알아야 이 시대에 맞는 사람이 될 것이다.

 

IMG_8782_수정.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허기범기자]


구본권 작가는 충북고 학생들에게 결과를 향한 것보다는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질문하면서 성장하는 삶을 추구하라고 깨우쳐주었다. 학생들을 위해 충북고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하는 김윤남 교사는 이번 소통의 장을 통해 미래는 나만 몰랐던 것이 아니라 누구도 예측하기 어려워한다는 것과 인간의 호기심과 정보판별능력은 인간의 고유 능력이기에 로봇 시대에 인간이 살아갈 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하면서 메리 올리버의 문장 이 우주가 우리에게 준 선물, 사랑하는 힘과 질문하는 능력이 로봇 시대에 인간에게 주는 희망의 메시지가 아닐까 싶다.”라고 강조했다.


변하는 시대에 맞는 교육과 사고를 소통의 장을 통해 얻어내면서 2시간이 학생들에게는 너무나도 짧은 시간처럼 느껴졌다. 강연이 끝나고 구본권 작가는 학생들 모두의 질문을 받아주고 책에 사인을 해주며 따뜻한 분위기가 가득 찼다. 이번 행사를 통해 충북고 학생들의 꿈이 무르익을 수 있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허기범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성균관대학교 경영학회 'SSC'를 소개합니다 file 2023.05.03 변수빈 227026
[PICK] 비대면 시대, 무대를 향한 열정은 계속... 연세대학교 락밴드 ‘소나기’ 1 file 2021.11.08 이성훈 325671
남창고등학교, 지역사회를 알다 file 2018.12.12 최원희 11426
마음껏 날아오르다, '세종국제 치어리더!' 1 2018.11.21 박소향 11414
인천국제고 체육대회 열다. file 2017.05.23 유현지 11408
시대의 흐름을 논하다, D4T 1 file 2016.05.24 장보경 11397
수학을 색다르게 접하는 날, 3월 14일 1 file 2017.03.24 이유리 11396
웨이하이 한국학교 개교 기념식 열려 file 2018.06.14 박주환 11374
참여와 관심,이제는 기회로 1 file 2017.05.23 신해인 11373
첨단기기들과 더불어 성장하는 대구일과학고등학교 과학도 이야기 file 2019.01.25 배준범 11371
도시 생활에 지친 학생들을 위한 Outdoor Education 6 2016.06.26 이나은 11367
구름을 타고 과학을 날다! Science Cloud 2 file 2017.08.31 홍유빈 11359
'헤럴드'는 전주제일고에도 있다! file 2017.05.24 한가은 11350
근화여자고등학교, '꽃들에게 희망을' 통해 면생리대 지원 file 2018.10.30 이예승 11348
복자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끼를 뽐내다. 'Bokja's Got Talent' file 2017.06.14 김유진 11347
노란 리본을 가슴에 새긴 모든 순간들이 눈부셨다. (Feat. 충남외고) 1 file 2017.04.18 이정연 11341
서울 신동중학교 체육대회 개최 file 2018.11.05 정수민 11336
IT산업의 새로운 도약!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4 file 2017.04.17 최기영 11311
IIHS MONSTERz file 2017.07.25 정예림 11307
99주년 맞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은 어디에서? file 2018.04.19 정상아 11296
양지중학교 CCG 제 1회 MUN 1 file 2017.04.18 정혜윤 11291
DFL 꿈을 향해!세계를 향해! 1 file 2017.04.24 소우주 11286
소녀들의 우산 2018.12.07 박진영 11269
한여름의 청량예술제 file 2017.09.01 이유림 11267
울려라, 모두가 함께하는 독서 골든벨! 2017.10.17 배시은 11259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 통일을 말하다 file 2017.07.25 여수빈 11251
상원고등학교, 힐링스쿨주간 file 2018.06.07 이가영 11225
전주여자고등학교, 부담없이 영어 즐기는 '파인데이' file 2018.11.30 박상은 11219
경남외고의 미국 영사와 함께하는 Global Meeting file 2017.07.24 이영혁 11212
늘푸른고등학교의 밝은 전망, 늘푸른 시선 동아리를 만나다. file 2017.05.25 이가현 11212
부산국제고의 영자 신문부, KEEN을 만나다! file 2020.10.26 차민경 11206
모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미래를 정할 수 있는 중소기업탐방 프로그램! file 2018.06.08 강민성 11205
스승과 제자의 화합의 공간, 함박 한마당 file 2018.06.05 최미건 11204
Core의 생명과학 프로젝트 file 2017.08.31 최보승 11198
학생들의 아지트 4 file 2020.02.11 최준우 11197
용인 백현고, 영웅이 되어 세상을 바꾸는 첫걸음을 떼다 2017.10.26 정유진 11193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교내 토론대회 열려 file 2017.10.30 장서윤 11184
매년 열리는 세월호 추모행사 2 file 2017.03.29 4기기자전하은 11178
광주광남중학교, 약 바로 쓰기 시간 가지다 2018.05.23 엄수빈 11173
TEDx 율향 Talks, 생각을 공유하고 발전해나가다 1 file 2017.04.17 김혜진 11172
'사랑을 가르치고 다 함께 사랑하자' 교육 봉사 동아리, TLTL file 2017.05.30 류서윤 11170
새 가방을 들고 1 file 2017.03.15 이수경 11163
진로에 고민이 있는 학생, 청명고 WEE 클래스로 file 2017.07.28 마가연 11159
In the Theme of Justice, 상해영국학교 모의 유엔회의(BISSMUN) 개최 file 2018.04.25 전병규 11154
삶의 한 자락의 여유, 수도여고 향상음악회 file 2017.09.21 김승연 11151
우리의 소리와 서양의 소리가 만나 이루어낸 환상의 하모니! 1 2017.03.20 단승연 11151
충남외고, 충청남도 도지사 안희정 초청 특강 진행하다 file 2017.10.10 김미소 11149
뜨거운 조명아래 모두가 열정적인 글꽃중학교 자율동아리 문화예술공연 file 2018.07.30 이종혁 11148
어서 와, 기숙사는 처음이지? 2 file 2018.06.04 김서진 11147
'기적처럼 태어났으니 기적처럼 돌아오라..' 1 file 2017.04.24 이주은 111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35 Next
/ 35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