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by 8기김란경기자 posted Nov 08, 2018 Views 4244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전 세계의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는 페이스북과 유튜브에서 보안사고와 오류가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불편을 겪었다. 얼마 전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중에 하나인 페이스북(Facebook)에서 보안사고가 일어났다. 그 보안사고는 페이스북 해킹이었다. 이에 페이스북 측은 대략 5천만 명 정도의 페이스북 사용자의 정보가 해킹당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페이스북은 사용자 토큰을 재설정하고 보안 관련 기업을 인수하려고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자신의 페이스북이 해킹을 당했는지 안 당했는지 알려주는 페이지를 만드는 등의 노력도 하였다. 이외에도 자기 스스로 해킹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다. 페이스북 설정에 들어가서 보안메뉴를 누르고 로그인한 위치를 눌러서 들어가면 현재 접속되어 있는 세션들이 나타난다. 만약 자신의 아이피 주소가 다르거나 접속 시간이 다르면 해킹을 당한 것이며 활동 끝내기를 눌러서 해결할 수 있다. 아래의 이미지는 해킹을 당하지 않은 계정일 때 나타난다.

대청기222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란경기자]


유튜브의 경우, 17일 오전 10시부터 오전 11시 30분까지 대략 한 시간 반 동안 접속오류가 발생했다. 유튜브에 접속하면 404 에러가 뜨면서 동영상을 볼 수 없었다. 이에 대해 유튜브 측은 오류에 대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그렇다면 유튜브의 오류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404 에러는 무엇인가? 404 에러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할 수는 있지만, 서버가 요청한 바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는 HTTP 표준 응답 코드이다. 이 말은 서버는 존재하지만, 서버가 응답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대청기11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란경기자]


이와 같은 상황에서의 404 에러는 사용자가 고칠 수 없지만, 사용자 본인이 실수로 인해 404 에러가 뜬 경우에는 주소를 다시 확인하거나 네트워크 이상 여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 수정 등을 통해 고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8 김란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6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16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518
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와 고용노동부 처분 정당성 논란 file 2017.10.17 원종혁 11549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file 2018.10.15 이수지 9862
패류독소의 확산, 어민·소비자 모두 “빨간불” file 2018.04.10 이예은 15196
패스트푸드는 이제 안녕, 오늘부터는 슬로푸드 file 2019.06.07 이채은 12500
패스트푸드점에서도 지켜지지 않고 있는 도덕성 1 file 2016.03.25 장한나 17450
페루, 7.1의 강진 file 2018.01.22 임규빈 9828
페미니즘. 이제는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2 file 2018.11.28 백종욱 12402
페미니즘을 선언하자! 14 file 2017.11.14 배성연 11061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2893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1335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1892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9595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file 2018.11.08 김란경 424409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190
편의점 이제는 서비스 공간으로 6 file 2016.03.26 김준석 18098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9 file 2016.02.24 유승균 22540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7332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8438
평생 잊혀지지 않는 상처 file 2018.04.26 손어진 10436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1870
평택 평화의 소녀상,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3 file 2017.03.24 장수임 10922
평화, 새로운 시작 2 file 2018.05.21 김혜민 11485
평화를 위한 한 걸음, 평화 기림상 건립 제막식 열려 1 file 2017.03.13 임수종 12903
평화실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2018.06.19 이민영 9960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1148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5275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5850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0364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6757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6493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2797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025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1259
포항 지진,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 file 2017.11.21 임소현 12921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2547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19999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4488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405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8661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7399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0976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7886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0832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7757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1398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2518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7780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04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