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경제학이多 - 후생경제학

by 8기김민우기자 posted Oct 25, 2018 Views 1581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후생경제학은 미시 경제학의 기법과 원리를 통해서 경제 전체의 후생을 평가하는 경제학의 하위 학문이다쉽게 말하자면 미시경제학으로 거시 경제학을 분석하는 것이다근대 경제학의 시초인 영국의 고전파 경제학자들이 복지 경제학을 다룬 것이 시초이며현대에 들어서 아마르티아 쿠마르 센이 정립한 케랄라 모델이 후생 경제학의 현대적 모습이다시장 만능주의가 이미 학문의 목표를 넘어서 악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개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후생경제학은 두 가지 정리를 기반으로 성립되었다.

 

  첫 번째는완전 시장이면서물건의 가격이 수요 공급을 따르면서 시장의 참여자가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 가질 수 있다면 가지기를 원하는 상태일 경우에는 파레토 최적의 결과가 발생한다는 것이다쉽게 말해서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의 논리적 증명이라고 볼 수 있다두 번째는부를 재분배한 이후 시장 메커니즘이 작동하게 놔두는 것을 통해 가능한 모든 파레토 최적인 결과 중 특정 결과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예를 들면, 1대 99의 분배나 50대 50의 분배도 파레토 최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둘 중 더 나은 분배가 존재한다면 부의 재분배를 통해서 자연스레 나은 분배 상태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이런 정리들은 몇 가지를 시사한다먼저시장은 효율적인 배분을 스스로 달성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시장 과정에 개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이다또한 파레토 배분 사이에서도 우위가 존재할 수 있으며이런 경우 시장이 알아서 최적의 상태로 재분배를 거칠 것이라는 것이다그러나 초기에 정부의 적절한 개입이 발생한다면 더 빠르게 시장이 배분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미지3.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민우기자]

 

  최근에 들어오면서 지니계수파레토 분석 등의 사회적 차원의 경제학이 강조되면서 후생경제학의 중요성은 더욱이 커지고 있다조건 없는 GDP의 성장을 요구하던 현대사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 바로 후생경제학이다따라서 20세기와 21세기의 경제학 그리고 산업 발전의 모습에 따라서 환경세독과점에 관한 규제재분배정책 등 여러 가지 후생 경제학 관련 정책들이 강조되고 있다.


  후생 경제학의 대가로 불리는 아마르티아 센을 빼놓을 수 없다센은 후생경제학과 관련하여 많은 업적을 쌓았고 이를 통해 1998년 최초의 아시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되었다그는 다양한 저서를 통해서 빈곤과 불평등의 해소를 위해서 호소했으며그는 센 지수를 만들고 국제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빈곤의 정도를 측정하고 있다그는 개발이란곧 자유의 확산이다라는 말을 통해서 빈곤한 지역에 대한 개발의 확산을 강조하면서 낮은 임금과 가난으로 고생하는 지역의 사람들을 위해서 일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렇듯 세계의 주류가 아니라 비주류를 위해서 탄생한 비주류 경제학인 후생경제학은 단순히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경제학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고그 영향으로 세계는 힘든 삶을 사는 그들에게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이것이 우리가 후생 경제학을 지속해서 연구해야 되는 이유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8기 김민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9기김민성기자 2018.11.04 19:16
    아 역시 경제학은 어렵네요. 읽다가도 이해가 안되어 또 다시 읽는 부분이 다소 있었네요. '후생경제학'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간단명료한 용어설명과 예시 덕분에 이해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우리에게 좋은 지식을 채워준 양질의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036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695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0255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해서 file 2019.07.02 송수진 12966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2966
국민을 기만하는 가짜뉴스, 대처방안은? 2 file 2018.09.03 박민서 12964
국공립대학교 입학금 전면 폐지하다! 1 file 2017.08.27 김규리 12958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2935
전자파의 엄청난 영향 file 2019.06.25 오윤주 12930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2924
미래 원자력정책 탈원전, 과연 현실적인가 1 file 2017.03.13 최가현 12919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2909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2909
美 워싱턴주, 시신을 흙으로 만드는 법안 통과 1 file 2019.05.24 이현 12903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2900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2889
패스트푸드는 이제 안녕, 오늘부터는 슬로푸드 file 2019.06.07 이채은 12886
아픈 우리 아이, 치료방법 있나요? 1 file 2018.06.11 이승현 12886
말 한마디 없이 광고의 의도를 전달한다고? 2019.06.24 김여진 12878
기억해야할 4월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일 3 2017.04.10 고선영 12874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2873
구)공주의료원 어떻게 활용될까? 1 file 2018.10.04 김예경 12866
남북정상, 한반도 평화시대 선언.."올해 종전선언·평화협정 전환 추진" file 2018.04.27 디지털이슈팀 12854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과연 경제적으로 합당한가? file 2017.11.20 김진모 12851
기아자동차 스팅어, 시승차 화재에 이어서 고객 출고차량 엔진 과열로 차량교체.. file 2017.07.19 김홍렬 12851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2847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2842
FOOD TECH라고 들어보셨나요? 1 file 2018.12.31 채유진 12837
미혼모 청소년들의 학습권 보장:이루어질 수 있을까? 2 file 2017.08.04 변우진 12828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2826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2818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2818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2800
'살충제 계란'의 '마지노선' 제주 마저 불안하다. 4 file 2017.08.24 이승주 12799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2789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2789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2787
장미대선 속 장미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권리' file 2017.04.25 한우주 12786
美정부의 무역 정책과 자승자박 2018.01.30 김민우 12780
암호가 되어버린 우리들의 위인 1 2017.11.20 김영인 12767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2766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756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2 2017.05.24 김윤혁 12746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그게 정확히 뭐죠? 2019.04.29 박수혁 12745
인류의 달 탐사 경쟁, 중국의 선취점 1 file 2019.02.07 백광렬 12728
10월 국산 소형 SUV 판매량, 1위는 누구? 2 file 2017.11.20 김홍렬 12696
시험기간의 필수품 '카페인'? 과다 섭취는 '독'. 1 file 2017.10.25 이나경 12693
SNS 마케팅에 대하여 1 file 2019.02.21 김세진 12686
10원과 50원짜리 동전, 이대로 괜찮은가 5 file 2018.08.24 강민규 12683
알아두자, 2017 연말정산 꿀팁 file 2017.12.18 배정은 12668
유네스코에 등재된 '군함도' 2 file 2017.09.01 한수정 126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