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by 9기김단아기자 posted Oct 16, 2018 Views 111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7e029d60a481efa86c6d5f49af9d528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김단아기자]

 

 지난 11일, 이외수 작가가 자신의 개인 SNS(트위터)에 올린 <단풍>이라는 시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시의 내용은 단풍을 주제로 지은 시로, 붉게 물든 단풍을 자신을 떠난 여성에 빗대고 있다. 


 누리꾼들이 논란을 제기한 건 다름이아닌 시 속에 사용된 단어 중 하나인 “화냥기”라는 단어이다. 논란의 중심에 선 단어 “화냥기”는 단어 “화냥년”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화냥년”이라는 단어는 병자호란 때 오랑캐에게 끌려갔던 여인들이 다시 조선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을 ‘고향으로 돌아온 여인’이라는 뜻의 환향녀(還鄕女)라고 부르던 데서 유래했다. 당시 사회에서는 적지에서 고생한 이들을 따뜻하게 위로해주기는커녕 그들이 오랑캐들의 성(性) 노리개 노릇을 하다 왔다고 하여 아무도 상대해주지 않았을뿐더러 몸을 더럽힌 계집이라고 손가락질을 했다. 이렇듯 화냥년(=환향녀) 포로로 끌려가 고생한 여성에게 멋대로, 자발적으로 몸을 팔고 온 더러운 여자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고, 현재까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되고 있다.


누리꾼들은 이외수 작가가 이 “화냥년”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화냥기”라는 단어를 문학작품의 일부분으로 사용한 점에 논란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외수 작가는 이 단풍이라는 시 속에서 화냥기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단풍을 자신에게 다가오곤 바로 사라져버리는 여성에 빗대었다. 누리꾼들은 이에 “‘화냥기’라는 단어를 직접 사용함으로써 여성을 비하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단어다”라고 말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이외수 작가는 다시 자신의 개인 SNS(트위터)에 “제 글 <단풍>에 쓰여진 <화냥기>는 비극적이면서도 처절한 단풍의 아픔까지를 표현하려는 의도였습니다.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다는 둥 여성을 비하했다는 둥 하는 판단은 제 표현력의 부족에서 기안합니다. 하지만 여성을 비하할 의도나 남성 우월을 표출할 의도는 추호도 없었습니다.”라고 전해왔다. 또한, 일각에서는 “화냥기”라는 단어는 이외수 작가의 문학적인 표현일 뿐, 이 단어 자체로 문제를 제기하는 일은 작가의 문학적 표현법 자체를 부정하는 일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감성적인 문학을 창작해야 하는 작가를 비롯한 직업들은 자신의 감성을 최대한 풍부하게 드러내기 위해 수많은 단어를 빗대어 사용한다. 하지만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작가의 의도와는 다를지라도, 단어 자체가 가진 뜻이 시대적 상처를 다수 포함하고 있거나 특정 계층을 비하하는 의도가 녹아있을 때에도 그러한 단어들을 단지 ‘문학적 표현’이라는 이유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 과연 괜찮을지 다시금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논란이 되었던 이외수 작가의 <단풍>은 현재 작가의 개인 SNS(트위터)에서 삭제된 상태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김단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48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27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5972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11359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1351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349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 file 2017.09.19 양현서 11348
중국, 우리는 안된다더니 중국판 사드 배치 1 file 2017.08.22 이호섭 11344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1328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319
피로 물든 광주, 진실은 어디에? file 2019.05.24 안서경 11318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315
'스몸비', 좀비가 되어가는 사람들 1 file 2018.10.04 신미솔 11315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1313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305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299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1298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294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287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1279
언론의 힘, 그리고 언론의 빛과 어둠 file 2019.06.03 박은서 11267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260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258
인류가 소비하는 제품의 절반 이상에 포함되어있는 그것! file 2019.05.07 김어진 11258
헌팅턴 무도병이란? 1 file 2020.08.11 이한나 11249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248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245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244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243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242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233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228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228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225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221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218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 1 file 2017.10.23 변서연 11218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217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211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207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202
아직은 시작 단계인 남북정상회담. 2 2018.05.21 권오현 11188
"가히 무술옥사(戊戌獄事)", 이명박 4대 혐의 반박 2018.04.12 김예준 11187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file 2018.02.22 홍수빈 11187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182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174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167
올바른 역사 교과서? 올(ALL)바르지 않은 역사 교과서!! 2 file 2017.03.31 전은지 11165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1156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149
마침내 그날이 왔다, 광화문 거리 한복판에서 터지는 축하의 폭죽 file 2017.03.17 최예헌 111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