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벤투 선장의 성공적인 첫 출항

by 8기서성준기자 posted Sep 11, 2018 Views 151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9월 7일 20:00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코스타리카와의 A매치 친선경기를 펼쳤다. 이번 A매치 경기는 다른때의 축구 국가대표 경기와는 분위기가 사뭇다르다.


45676bb72cc154b0ffcef4758466d1e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성준기자]


첫 번째 이유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배의 새로운 선장 파울루 벤투(포르투갈) 감독의 첫 출항이기 때문이다. 끊이지 않던 여러 감독 논란속에서 새롭게 선장을 맡게 된 벤투감독의 첫 경기에 대한 기대도 분명히 존재했다.


두 번째 이유는 손흥민(토트넘 훗스퍼)의 주장완장이다. 이제는 자신의 소속팀과 국가대표에서 절대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자원이 된 손흥민은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비록 조별예선 탈락이라는 결과는 있었지만 대표팀에서 가장 활약한 선수 중 하나였고, 아시안게임에서도 많은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하였으나 김학범호의 주장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일조하였다. 그렇기에 이번 아시안게임의 병역 혜택이 중요하였고 손흥민은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그런 손흥민을 믿은 벤투감독은 벤투호의 국가대표 첫 출항의 선봉장 역할을 하는 주장완장을 손흥민에게 채웠고 이것은 앞으로의 벤투감독의 전략이 손흥민의 중심으로 꾸려질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만든다.


세 번째 이유는 두 차례의 폭풍 이후의 첫 국가대표 A매치 경기이기 때문이다. 첫 번째 폭풍은 월드컵이었다. 신태용호는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꺾었으나 스웨덴전과 멕시코전에서 아쉬운 경기력을 보여주며 조별예선 탈락이라는 쓴맛을 봐야했고 덩달아 선수들과 감독 모두 비난의 폭풍속으로 빠지게 되었다. 이후 축구팬들은 "언제까지 소방수만 쓸 거냐"라며 감독자리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해서 오갔고 어수선한 상황에서 두 번째 폭풍인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이 몰려왔다. 폭풍도 폭풍인지라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다. 김학범 감독과 와일드카드로 뽑힌 황의조(감바 오사카)와의 인맥축구 논란으로 비난을 피하지 못하였으며 손흥민 역시 병역문제로 급한 상황이었다. 폭풍과 함께 시작된 여정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그러나 축구팬들은 월드컵 때 독일을 꺾었지만 스웨덴과 멕시코와의 아쉬운 경기력,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은 목에 걸었으나 말레이시아전의 패배 그리고 승리는 하였지만 경기력이 아쉬웠던 키르기스스탄과의 경기를 보며 축구팬들은 2002 월드컵 때의 시원한 골과 투지넘치는 경기력이 그리운 것이었다.


cf4dedacccdb89a54db21504ee7425c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성준기자]


 2002월드컵 4강 신화와 2018월드컵 독일전의 승리 그리고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의 한일전 승리와 2연패 달성, 최다우승 기록을 보여준 한국축구였고 국민들은 "한국축구는 못하는 것이 아니라 투지와 열정이 부족한 것이다"라는 말을 하고 있으며 "하면 된다"라는 것을 보여주었기에 쉬지 않고 한국축구에 기대를 하였다. 그 기대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이번 고양 종합운동장은 만석이었다. 경기장이 좁은 것도 있었지만 요즘 한국축구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관심의 정도를 본다면 이례적이지 않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은 2013년 10월 브라질과의 경기 이후 첫 만석인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우리나라 국민들은 계속해서 우리대표팀의 투지넘치고 열정 가득한 경기와 시원한 골들을 기대하며 목말라 하는 것이다.


지난 친선 경기는 그런 기대와 갈증을 해소 해주는 경기였다. 전반전에 터진 이재성(홀슈타인 킬)의 골과 후반전에 터진 남태희(알두하일 SC)의 골이 해소제였다. 이 두 골로 한국은 코스타리카에게 2:0으로 완승을 하였다. 괜찮은 경기였다고 생각했으나, 경기종료 후에도 "만족할 만한 경기력은 아니었다" "친선경기라서 상대가 너무 대충 한 것 같다"라는 주변 이야기가 있었고 손흥민의 페널티킥 실축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골로 연결되었고, 상대의 거친플레이가 있었으나, 남태희 선수가 우리가 원하던 시원한 골도 만들어줬으며 월드컵과 아시안게임에서 활약한 여러 어린선수들과 스타들이 얼굴을 비췄고 그에 걸맞은 실력과 경기력을 보여줬으니 성공적인 경기다.


41e3bdfd9a2fd0ce0fd446fca616c88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성준기자]


스포츠는 사람을 모이게 하는 힘이 있다. 특히 축구라는 종목은 팀이라는 각자 다른 여러 명의 선수들이 함께 힘을 모아 승리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별하다고 생각된다. 매번 미리 질 것 처럼 실망하고 기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거리에 나가서 뜨겁게 신나게 응원하고, 함께 지내지만 매일 핸드폰에 치이고 학원과 일에 치여 대화할 시간이 적고 만나기가 힘든 가족끼리 90분만이라도 같이 TV앞에 모여 경기를 보고 치킨을 먹으며 같이 아쉬워하고 같이 기뻐하며 "이번에는 우리나라가 이길 거야", "저선수는 저번경기에는 경기력이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잘할 거야"라며 응원하고 함께 즐길 수 있는 축구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선장이 된 벤투 감독을 진심으로 응원하며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급한 불만 끄러 온 "소방수"의 역할이 아닌 오랫동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곁에 남아 한국을 축구 강국으로 이끌어주길 믿고 바라며, 9월 11일 치러질 칠레와의 경기와 더 나아가 앞으로의 한국축구를 기대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8기 서성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507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271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3407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그러면 사람은? 1 file 2017.05.14 이주형 15327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5325
누구나 쉽게 참여하는 식량문제와 환경문제 캠페인 1 file 2017.04.29 4기기자전하은 15324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323
"Happy Animals-'함께' 행복한 세상" 제6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최되다 file 2018.08.21 정혜연 15322
2017 천안 북페스티벌, 책과 함께 어우러지다 file 2017.10.31 김유진 15321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5321
하늘 위 노란 리본 4 2017.03.27 서지은 15321
소래포구 어시장 화재, 복구는? file 2017.04.19 이다빈 15319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15316
잊지 못할 또 하나의 아픈 우리 역사, 제주 4.3 사건 1 file 2018.02.27 강진현 15314
강서구립 도서관들의 북 콘서트 2017.11.07 노경배 15311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5308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5306
전주하면 비빔! 전주비빔밥축제에 가다 1 file 2018.11.02 김수인 15306
'요즘 핫하지 말입니다'...'태양의 후예'의 이모저모 file 2016.03.21 이채은 15305
핀란드의 산타마을 3 file 2019.01.03 계진안 15304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15304
현재와 미래로 걸어가는 문, 스마트 디바이스 쇼 KITAS 2017 1 2017.08.25 박정현 15300
2017 롤챔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막을 내리다. file 2017.04.24 조윤지 15300
일본어 초보자도 쉽게 갈 수 있는 오사카 여행 - 2 file 2017.04.16 정진 15299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298
여러분들에게 의사란 무엇입니까? 1 file 2017.11.02 박현정 15297
세상을 따뜻하게 하고 싶다면, 착한기술! 4 2018.01.08 이유정 15296
거리 위 작은 상담소, 아라메 카페를 아시나요? 1 file 2017.11.08 김은민 15296
소프트웨어, 체험하면서 배워요! '2018 광주SW 체험축전' file 2018.11.12 손민경 15295
'평화의 소녀상' 서울 151번 버스 타고 서울 구경 3 file 2017.08.24 이연정 15295
되돌아온 AI, AI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17.06.26 조민재 15295
[MBN Y Forum] 불가능을 잊고 즐겼던 2017 MBN Y Forum 2 file 2017.03.04 박수연 15295
‘멜론뮤직어워드 2020‘ 온라인으로 열린다! file 2020.11.24 유채연 15294
쿠키 하나 속 따뜻한 마음 1 file 2017.09.29 조영서 15293
5월 5일 어린이날, 꿈 키움 축제 현장 file 2016.05.25 류보형 15293
2018 코리아 크리스마스 페어, 일산 킨텍스 개최... file 2018.12.24 신해수 15288
제주 ADRF 학생들, 아프리카 어린이들을 위해 모금활동 진행 1 file 2016.08.13 임주연 15287
WWDC 2017 애플 또 다른 변화 file 2017.06.06 한윤성 15284
나의 글쓰기 실력을 뽐내라, 31번 째 새얼전국학생/어머니 백일장 열려 1 file 2016.04.24 이준성 15283
내 상사가 유튜버라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2 file 2020.06.15 류혜성 15282
6·25 전쟁의 최대 격전지, '백마고지'에 다녀오다 1 file 2019.02.22 차가연 15282
서초구 서래마을, 프랑코포니 축제 개최 4 file 2017.04.09 강은서 15280
단국대학교 축제 용인의 밤을 불태우다! 1 file 2017.05.20 박승재 15279
숀 'Way Back Home' 1위, 모든 게 바이럴 마케팅 덕분? 6 file 2018.08.07 정유리 15278
情을 담은 정다운 청소년 자원봉사프로그램 file 2019.07.29 문유정 15277
우리가 몰랐던 초콜릿의 씁쓸한 맛 3 file 2017.03.21 정가원 15277
국제청소년교류캠프... 이번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다. file 2017.10.30 김예진 15275
우리의 삶을 사랑하는 법, 영화로 배우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5268
할머니의 마음에도 광복이 올까요? 2 file 2017.10.09 최효설 15261
갈 곳 잃은 학생인권, 그 방향을 묻는다 1 file 2017.07.25 안옥주 15258
추석 연휴 뒤, '명절 증후군' 극복법 1 file 2016.09.17 김혜린 152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