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벤투 선장의 성공적인 첫 출항

by 8기서성준기자 posted Sep 11, 2018 Views 1514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9월 7일 20:00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코스타리카와의 A매치 친선경기를 펼쳤다. 이번 A매치 경기는 다른때의 축구 국가대표 경기와는 분위기가 사뭇다르다.


45676bb72cc154b0ffcef4758466d1e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성준기자]


첫 번째 이유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배의 새로운 선장 파울루 벤투(포르투갈) 감독의 첫 출항이기 때문이다. 끊이지 않던 여러 감독 논란속에서 새롭게 선장을 맡게 된 벤투감독의 첫 경기에 대한 기대도 분명히 존재했다.


두 번째 이유는 손흥민(토트넘 훗스퍼)의 주장완장이다. 이제는 자신의 소속팀과 국가대표에서 절대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자원이 된 손흥민은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비록 조별예선 탈락이라는 결과는 있었지만 대표팀에서 가장 활약한 선수 중 하나였고, 아시안게임에서도 많은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하였으나 김학범호의 주장으로서 혁혁한 공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일조하였다. 그렇기에 이번 아시안게임의 병역 혜택이 중요하였고 손흥민은 마지막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그런 손흥민을 믿은 벤투감독은 벤투호의 국가대표 첫 출항의 선봉장 역할을 하는 주장완장을 손흥민에게 채웠고 이것은 앞으로의 벤투감독의 전략이 손흥민의 중심으로 꾸려질 것이라는 예상을 하게 만든다.


세 번째 이유는 두 차례의 폭풍 이후의 첫 국가대표 A매치 경기이기 때문이다. 첫 번째 폭풍은 월드컵이었다. 신태용호는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꺾었으나 스웨덴전과 멕시코전에서 아쉬운 경기력을 보여주며 조별예선 탈락이라는 쓴맛을 봐야했고 덩달아 선수들과 감독 모두 비난의 폭풍속으로 빠지게 되었다. 이후 축구팬들은 "언제까지 소방수만 쓸 거냐"라며 감독자리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해서 오갔고 어수선한 상황에서 두 번째 폭풍인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이 몰려왔다. 폭풍도 폭풍인지라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다. 김학범 감독과 와일드카드로 뽑힌 황의조(감바 오사카)와의 인맥축구 논란으로 비난을 피하지 못하였으며 손흥민 역시 병역문제로 급한 상황이었다. 폭풍과 함께 시작된 여정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그러나 축구팬들은 월드컵 때 독일을 꺾었지만 스웨덴과 멕시코와의 아쉬운 경기력,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은 목에 걸었으나 말레이시아전의 패배 그리고 승리는 하였지만 경기력이 아쉬웠던 키르기스스탄과의 경기를 보며 축구팬들은 2002 월드컵 때의 시원한 골과 투지넘치는 경기력이 그리운 것이었다.


cf4dedacccdb89a54db21504ee7425c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성준기자]


 2002월드컵 4강 신화와 2018월드컵 독일전의 승리 그리고 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의 한일전 승리와 2연패 달성, 최다우승 기록을 보여준 한국축구였고 국민들은 "한국축구는 못하는 것이 아니라 투지와 열정이 부족한 것이다"라는 말을 하고 있으며 "하면 된다"라는 것을 보여주었기에 쉬지 않고 한국축구에 기대를 하였다. 그 기대를 보여주기라도 하듯 이번 고양 종합운동장은 만석이었다. 경기장이 좁은 것도 있었지만 요즘 한국축구에 대한 사람들의 평가와 관심의 정도를 본다면 이례적이지 않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은 2013년 10월 브라질과의 경기 이후 첫 만석인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우리나라 국민들은 계속해서 우리대표팀의 투지넘치고 열정 가득한 경기와 시원한 골들을 기대하며 목말라 하는 것이다.


지난 친선 경기는 그런 기대와 갈증을 해소 해주는 경기였다. 전반전에 터진 이재성(홀슈타인 킬)의 골과 후반전에 터진 남태희(알두하일 SC)의 골이 해소제였다. 이 두 골로 한국은 코스타리카에게 2:0으로 완승을 하였다. 괜찮은 경기였다고 생각했으나, 경기종료 후에도 "만족할 만한 경기력은 아니었다" "친선경기라서 상대가 너무 대충 한 것 같다"라는 주변 이야기가 있었고 손흥민의 페널티킥 실축도 있었지만 결과적으로는 골로 연결되었고, 상대의 거친플레이가 있었으나, 남태희 선수가 우리가 원하던 시원한 골도 만들어줬으며 월드컵과 아시안게임에서 활약한 여러 어린선수들과 스타들이 얼굴을 비췄고 그에 걸맞은 실력과 경기력을 보여줬으니 성공적인 경기다.


41e3bdfd9a2fd0ce0fd446fca616c88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성준기자]


스포츠는 사람을 모이게 하는 힘이 있다. 특히 축구라는 종목은 팀이라는 각자 다른 여러 명의 선수들이 함께 힘을 모아 승리라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별하다고 생각된다. 매번 미리 질 것 처럼 실망하고 기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거리에 나가서 뜨겁게 신나게 응원하고, 함께 지내지만 매일 핸드폰에 치이고 학원과 일에 치여 대화할 시간이 적고 만나기가 힘든 가족끼리 90분만이라도 같이 TV앞에 모여 경기를 보고 치킨을 먹으며 같이 아쉬워하고 같이 기뻐하며 "이번에는 우리나라가 이길 거야", "저선수는 저번경기에는 경기력이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잘할 거야"라며 응원하고 함께 즐길 수 있는 축구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선장이 된 벤투 감독을 진심으로 응원하며 농담 반 진담 반으로 급한 불만 끄러 온 "소방수"의 역할이 아닌 오랫동안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곁에 남아 한국을 축구 강국으로 이끌어주길 믿고 바라며, 9월 11일 치러질 칠레와의 경기와 더 나아가 앞으로의 한국축구를 기대해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8기 서성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703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465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5332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천문학, 청소년을 위한 코스모스 1 file 2020.02.28 김유민 14784
'미녀와 야수'와 함께 동심의 세계로 4 file 2017.03.23 공혜은 14787
아파트 주민들의 소통부터 기부활동까지! 3 file 2017.04.29 정지윤 14787
"나만 안되는 선거, 투표권을 줄게" 청소년 모의투표 열려 3 file 2017.05.09 임수종 14788
너, 아직도 영국 안가봤니? 3 file 2018.02.21 신유라 14788
기부와 소득공제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1 file 2017.02.17 노유미 14789
홍역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19.02.14 김선우 14789
만우절 단 하루만 존재하는 나라, 우주피스 공화국 6 file 2017.04.05 이지우 14792
가을의 바닷바람이 부는 통영 2 file 2017.10.13 김동연 14792
교육봉사? "선생님이 꿈인 친구들 여기여기 모여라~!" 2 file 2017.08.25 이승연 14793
벚꽃이 필 때도, 배구하자 6 file 2017.02.06 방가경 14794
'원더우먼'으로 보는 국제적 이해관계 2 file 2017.06.19 김다은 14795
통일세대 청소년 희망포럼에 참석하다 file 2017.09.20 이슬기 14796
베트남, 전라북도에서 평화통일을 이야기하다! 3 2019.01.22 김아랑 14796
빙수의 습격 file 2016.07.25 김승겸 14797
청소년들의 꿈, 그 꿈을 펼칠 기회를 잡아라! file 2017.09.01 김성근 14798
문제가 남느냐, 내가 남느냐 file 2016.06.19 장서윤 14800
1인 가구의 증가로 생겨난 새로운 경제의 패러다임, 솔로 이코노미 file 2017.03.12 양현서 14800
새로운 시대의 개막, 4차 산업혁명 1 file 2017.05.22 오지현 14801
도시 속에서 다시 태어난 자연, '월드컵공원' file 2021.01.04 서원오 14801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1 file 2017.02.24 이재현 14802
무더위 행복 쉼터 file 2017.09.04 최윤정 14802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4802
'아티스틱'한 염주체육관에 다녀오다 file 2019.07.26 김석현 14803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에 관하여 file 2021.03.30 최연희 14811
뉴 챔피언이 되어라! 영웅들의 순탄치 않았던 이야기 file 2018.03.03 김지수 14813
2018 드링크(drink)&디저트(dessert) 쇼, 달달함 속으로! 3 file 2018.04.13 서재연 14815
청소년이 행복한 울산을 만들자, 울산시 청소년참여위원회 1 file 2017.05.28 장준근 14815
청소년들이 모인 화합의 장, '제1회 청소년 손메 페스티벌' 개최 file 2017.08.08 나민혁 14815
DB HiTek의 어린이날 행사 file 2018.05.10 이가영 1481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현장에 투입되는 웨어러블 카메라? 3 2020.03.02 김기용 14815
느티나무 도서관의 베이스 캠프, 동천역 열린 도서관 file 2017.02.25 김유경 14818
블루투스 이어폰, 너의 생각은? 16 file 2017.08.18 김나연 14818
선물로 교우 관계를 논하다 5 file 2017.05.24 김리아 14819
AR과 포켓몬 GO 2016.07.19 박성수 14825
‘제21회 한국 결정성장 콘테스트’ 설명회 서울대에서 열려 1 file 2017.04.05 진다희 14826
빅맥지수로 세계경제를 보다? file 2017.03.25 김나영 14827
나는 탐정이오. 웃음 빵! 눈물 쏙! 영화 <조선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 1 file 2018.02.05 박세진 14828
'가난에서 희망으로' 컴패션 체험전 file 2016.07.30 김세영 14830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으로 4 file 2017.03.29 고아연 14830
4월의 국산 준중형 세단 판매량 전격 비교 1 file 2018.05.14 정진화 14830
글로벌 리더의 시작, 고려대학교 주최 모의 유엔 대회 KMUN 열려 2 file 2017.02.25 김성미 14832
‘익명 뒤에 숨어 비난하기’ 도가 지나친 네티즌들의 인터넷 윤리의식 상태 2018.03.30 전보현 14834
점점 더 급증하는 내국인의 해외여행 file 2017.05.20 박형근 14835
5월, 청소년의 달을 맞이하여 별별유스 개최! file 2017.05.26 신지원 14837
SNS, 이제는 가짜뉴스까지 유통한다? file 2017.08.29 박예은 14840
새로운 꿈을 꾸는 청소년들을 위해 file 2016.10.23 이아로 14843
'환경보호국민운동본부'와 시민들이 함께하는 '겨울철 야생동물 먹이주기 행사' 열려 8 file 2017.01.25 박소윤 148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