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동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

by 2기김종담기자 posted Jul 21, 2015 Views 247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심사1소위원회에서 통과, 하지만 살인만 적용하기로......


adc5ab90243d07dfa2a36f5fc3df4a2e.jpg

△태완이법 통과 서명지 제출 현장(김종담 기자)


아동 살인사건에 대한 공소시효 폐지법인 '태완이법'이 오늘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1소위원회에서 통과하였다.

태완이법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서영교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으로 모든 살인사건(존속살인, 상해치사 등)에 대해 공소시효를 폐지하는 법으로 일명 '태완이법'이라고 불렸다.

하지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1소위원회에서는 존속살인, 상해치사 등을 제외하고

살인만 적용하기로 하였다.

태완이법은 전체회의로 올라갈 때 다른 비슷한 내용을 담은 다른 법과 병합되어 법사위 전체회의로 올라갈 예정이다.

태완이법과 대구황산테러사건을 돕는 시민단체 가온누리 반딧불이에서는 정말로 기쁜 소식이라며 전체회의에서도 통과가 되어 본회의까지 올라가 통과될때가지 태완이법을 위해 노력할 거라는 말을 남겼다.

대구황산테러사건은 지난 1999년 5월 20일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의 한 골목에서

6살 아이가 범인에게 황산테러를 당해 병원으로 옳겨졌지만 49일만에 사망한 사건이다. 

이후 2005년에 수사본부 해체 후 2013년 부모님의 요청으로 다시 수사가 이루어졌지만 

성과없이 2014년 7월, 공소시효를 3일 앞두고 

피의자로 주목된 'A'씨를 고소하여 공소시효가 정지되었다. 

하지만 2015년 2월 대구고등법원은 고소를 기각하였고,  대법원으로 항고장을 냈지만 기각되었다.


김종담 기자(rlawhdeka423@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정채현기자 2015.07.25 20:16
    공소시효 폐지에 찬성하는 바입니다.
    한번 죄를 지었다면 그 죄에대한 책임을 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84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111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379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현재 상황과 대처방안은? 2 file 2019.10.11 정예람 23907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7229
아프간 난민 수용에 대해 갑론을박..앞으로의 추가적인 난민 수용은? file 2021.09.01 이승열 9146
아파트 금연구역 지정, 좀 더 쾌적한 아파트 단지를 만들어요 2 file 2016.07.24 박하은 14508
아파트 근처에 있는 코로나 선별진료소 과연 괜찮을까? file 2020.03.05 김묘정 9253
아파트 값과 전세값 앞으로는? 1 file 2020.11.05 박범수 9018
아카데미, 어리석은 실수로 트럼프의 역습을 맞다 4 file 2017.02.28 박우빈 13838
아침밥은 왜 먹어야 하나요? 1 file 2019.11.01 12기우가희기자 16104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8785
아직은 시작 단계인 남북정상회담. 2 2018.05.21 권오현 11174
아직도 진행되는 수요집회에 우리가 가져야 할 역사의식 2 file 2016.03.26 정이현 13915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는 난민문제, 난민들의 휴식처는 어디에...? 1 file 2016.08.17 박가영 14917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304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 소년법 2 2018.04.16 성채영 11398
아직 종로에 남아있는 삼엄한 분위기의 잔재 file 2017.04.23 오주연 10208
아직 받지 못한 사과, 당신은 알고 계십니까? 3 file 2019.05.22 이송이 10451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5378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16003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4500
아이들이 듣는 성차별 언어 1 file 2019.07.31 김현지 13026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8616
아시아나항공 노조, 대한항공 직원연대와 경영진 퇴진 운동 및 기내식 정상화 집회 file 2018.07.09 마준서 13625
아세안 정상 회의에서의 미얀마 군부 대표 참석을 반대하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위대 file 2021.04.27 김민경 6669
아베에게 닥친 커다란 위기, '아키에 스캔들' 2 file 2017.04.11 박우빈 11658
아무도 지켜주지 못한, 그리고 모두가 외면한 2 file 2016.06.16 조민성 14469
아무도 몰랐던 담배 회사의 마케팅 전략, 타깃은 청소년? 1 file 2020.05.25 권가영 30306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190
아르바이트도 외모지상주의?…아르바이트생을 지켜주세요! 36 file 2017.02.21 이예희 31393
아동학대의 현주소 2 file 2016.07.30 임지민 15438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0844
아동·청소년의 목소리를 듣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2017.10.30 류영인 10728
아동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 1 file 2015.07.21 김종담 24701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497
쓰레기섬에 대해 (About Great Pacific Garbage Patch) 2 file 2020.06.30 이채영 14882
쓰레기 무단투기...양심도 함께 버려진다 2 file 2020.04.29 정하늘 20483
쓰나미처럼 밀려오는 사과문 유튜브 ‘뒷광고’ 점점 밝혀진다 1 file 2020.08.20 오경언 8117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381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10918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13454
심각한 낙동강 녹조, 해결방안은? 1 2018.08.29 고효원 13761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7714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8817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24275
실업의 종류와 대책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한 실업자 급증 file 2022.03.10 권나연 9056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는 미세먼지, 과연 무엇일까? file 2019.04.02 이채원 10758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8677
신한은행, 금융권 최초의 ‘디지털 금고’ 시범 운영 file 2023.01.25 디지털이슈팀 470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불러온 'Sinophobia', '아시안 포비아'로 확산중 file 2020.03.02 김수진 80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