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by 8기권영준기자 posted Aug 22, 2018 Views 112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날로 급증하는 온열질환자, 폐사하는 가축들, 말라가는 농산물과 이로 인해 상승하는 생활물가보다 나쁜 소식은 전해지지 않을 것만 같은 2018년 여름, 3년 전 발생한 폭스바겐 연비 조작 사건과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그 사건은 바로 BMW 연쇄 화재 사고이다. 정상의 자리에 있던 폭스바겐을 한순간에 무너뜨려 버린 것처럼 세계적 고가 상표 자동차 회사였던 BMW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고 있는 이 사건은 BMW 520d 모델에 집중되어 일어나고 있다. 사실 BMW 연쇄 화재 사건의 시작은 올해, 2018년이 아니다.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무려 6번의 화재 사고가 일어났고, 이미 2016년 5월 18일에 판매자가 판매한 제품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때 예방적 조치로 업체에서 무상으로 수리·점검을 해주거나 교환해주는 소비자보호제도를 뜻하는 리콜 조치가 취해졌었다. 그런데도 올해 들어 2013부터 2016년 사이에 생산된 BMW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는 일이 잦아지자, 2018년 7월 27일부터 회사가 자발적으로 화재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차종, 즉 520d, 320d, 그리고 520d xDrive를 리콜 조치하기 시작했다.


꾸미기_KakaoTalk_20180809_22293773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권영준기자]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불이 나는 이유는 엔진이 과열되었기 때문이다. 고온의 배기가스를 엔진의 냉각수나 냉각 바람으로 냉각시켜 엔진의 과열을 막는 것이 바로 EGR 쿨러이다. 이 EGR 쿨러의 결함을 BMW 본사는 계속해서 이번 BMW 연쇄 화재 사고의 원인으로 단정 짓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EGR 쿨러의 결함으로 차량 화재가 일어날 확률은 희박하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폭염으로 인한 EGR 쿨러의 작동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상실이 화재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거나 일관된 BMW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믿기 보다는 화재 가능성을 여러모로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꾸미기_사진자료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권영준기자]


 하지만 BMW 본사의 사고에 대한 책임회피와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의 뒤늦은 대처 때문에 혼란과 불안은 소비자들의 몫이다. 현재 여러 주차장에서 BMW 방문 차량의 주차를 제한하고 있는 데다가 사람들은 BMW 차량 옆에 주차하기를 꺼린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취한 대처는 BMW 차량 운행 중지, BMW 리콜대상 차량의 중고차 매매 자제 권고가 전부이다. 이 처사는 여러모로 불공평한 점들이 있다. 리콜 대상이면서 아직 긴급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BMW 차량에 대해 운행중지 명령을 내리는 것은, 직장으로의 출퇴근 등 불가피하게 자동차를 사용해야 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많은 불편함을 안겨주게 된다. 더군다나 서비스 센터를 가동하더라도 40종류가 넘는 차종과 1시간 정도의 소요시간을 고려하면, 소비자들은 이른 시일 내에 안전진단을 받기 어렵다.

 

 그렇다면 정부가 내놓은 해결책이 효과를 보이지 않고 있는 현 상황에서 다른 대안이 있을까? 2017년 9월 28일 자동차 교환 및 환불제도를 도입한 ‘자동차 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으며,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 개정안은 하자가 있는 제품들을 레몬에 비유해 ‘레몬법’이라고 불린다. ‘레몬법’은 달콤한 오렌지인 줄 알고 샀는데 오렌지를 닮은 시큼한 레몬이었다면 환불을 받아야 하듯이, 새로 구매한 자동차가 반복적으로 고장이 나는 경우 제조사가 의무적으로 교환 및 환불을 해야 하는 제도이다. 미국은 1975년부터 ‘레몬법’을 실시하였으며 기업이 ‘레몬법’을 시행하면서 발생하는 비용을 전부 부담하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직접 내야 하는 비용이 아예 없다는 점에서 기업의 책임을 강조하고 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해준다. 하지만 교환이나 환불을 받기 위해 충족시켜야 하는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그 조건은 첫째, 신차로 교환·환불할 회사의 의사 등이 포함된 서면계약에 따라 판매된 자동차일 것, 둘째, 하자로 인해 제품의 사용이 곤란하고 안전이 우려될 때, 마지막으로 자동차 구매일로부터 1년 이내에 중대한 하자가 3회, 일반 하자는 4회 발생하거나 총 수리 기간이 30일을 초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충족하기 어려운 조건들의 기준을 낮추고 하루빨리 ‘레몬법’을 시행하여 BMW 차량 소비자들이 자신들의 차량을 교환하거나 환불받을 수 있도록 한다면 더는 BMW 회사의 명예를 실추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안에 떨고 있는 국민들을 안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스위스의 개혁 교회 목사이자 20세기의 대표적인 신학자였던 카를 바르트(Karl Barth)는 이렇게 말했다. “누구도 과거로 돌아가서 새롭게 시작할 수는 없지만, 지금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결말을 맺을 수는 있다​​.” 그 누구도 BMW 연쇄 화재 사고가 발생하기 전으로 돌아가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없다. 하지만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차량 화재로 인해 피해를 본 소비자들에게 보상하는 등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을 해나간다면 소비자들, BMW 회사, 그리고 정부가 타협점을 찾아 합의를 볼 수 있지 않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8기 권영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83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66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872
인천의 구 명칭 변경, 과연 옳은 결정일까? 2 file 2018.01.03 박환희 14604
계속되는 엔화 환율 하락… 이유는? file 2018.01.03 유진주 13448
'다사다난'했던 2017년, 가장 '빛났던' 청와대 청원 게시판 2 2018.01.02 전세연 11462
소년법 폐지를 둘러싼 찬반 양론, 소년 범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1 file 2018.01.02 이지현 57592
가장 치열한 전쟁, 종자전쟁 2017.12.26 황혜령 11483
더민주, 한국당, 국민, 바른 여의도 4당의 운명은? 1 file 2017.12.26 전보건 16469
미국의 양원제 상원, 하원에 대해서 알아보자 file 2017.12.26 전보건 37857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2352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217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5372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298
요즘 뜨고 있는 비트코인...도대체 뭘까? file 2017.12.18 임채민 20341
알아두자, 2017 연말정산 꿀팁 file 2017.12.18 배정은 12437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303
브렉시트....현재 진행 상황은? file 2017.12.12 현승현 12883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명예훼손으로 A청소년언론 대표 고소 file 2017.12.12 디지털이슈팀 14226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1620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401
무한도전 '그 때 그 법안, 어디까지 진행됐어?' 2 file 2017.12.07 김하늘 11824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070
대한민국, 생명보다 성적? file 2017.12.04 전세연 10963
점점 활기를 잃어가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 재논의가 필요한 시점 2017.11.30 신유진 10897
땅울림 동아리;대한민국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017.11.30 안정민 13908
"문법 어긴 안내 문구, 싫어요!" 2017.11.30 한윤정 17705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4199
할머님, 저희랑 함께해요! file 2017.11.30 안옥주 17726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6201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⑤ ‘공유경제’를 아시나요? file 2017.11.28 오경서 13494
중국, 시진핑 특사 빈손 귀국 후 북한에 어떤 조치할까? file 2017.11.28 박현규 11541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2593
성 평등 교육, 페미니스트의 참뜻을 실현하기 위하여 2 file 2017.11.28 김현재 13047
점점 잊혀져가는 세월호, 광화문에서 마주한 현실 2017.11.28 고은빈 10118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2524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322
MBC 노조 파업 철회.. KBS는? 4 file 2017.11.24 고주연 11603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종료 3 file 2017.11.24 장서연 11670
낙태죄, 이대로 괜찮은가? 4 file 2017.11.24 장서연 11436
반려견으로 인한 피해 사건에 대해 견주 처벌을 강화해야 하는가? 1 file 2017.11.24 장서연 11004
조두순 출소 반대, 이루어질 수 없지만 간절한 국민들의 소원 2 file 2017.11.24 윤익현 13535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2843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161
"굳이 겉옷 안의 마이를…?" 복장 규정에 대한 학교규칙의 문제점 3 file 2017.11.23 이혜승 21909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0563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1469
택배박스 속에서 죽어가는 동물들, ‘동물 택배 배달’ 1 file 2017.11.22 김해온 15769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318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180
일본 정부 파격적 제안... '무(無)자녀세' 계획 등장해 file 2017.11.22 이윤희 104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