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의 일장일단(一長一短), 그리고 알지 못했던 주휴수당

by 8기송지윤기자 posted Aug 17, 2018 Views 979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저임금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송지윤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제시하였던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공약을 지키지 못함에 대해 지난 716일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16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 모두발언에서 최저임금위원회 결정으로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 원을 이룬다는 목표는 사실상 어려워졌다결과적으로 대선공약을 지키지 못하게 된 것을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가능한 조기에 최저임금 1만 원을 실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최저임금위원회는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론 속에 지난 714일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보다 10.9% 인상한 8350원으로 결정한 바 있다. 작년에 16.4% 인상한 바에 비해 조금 속도를 늦춘 모습을 볼 수 있다. 결국 '2020년까지 최저임금 1만 원 인상'은 현실의 벽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과연 최저임금 1만 원 인상은 어떤 효과와 부작용을 가지고 있기에 현실의 벽에 부딪히게 된 것일까? 최저임금 인상은 저소득층의 삶의 질 개선 및 빈곤 탈출의 효과, 또 더 나아가 소득주도 경제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소득주도 경제성장이란 최저임금 인상으로 내수를 진작시켜 경제성장을 하고자 하는 정책이다. 빈곤층은 대체로 소비성향이 높기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으로 소득이 늘면 그에 따른 지출은 다른 계층보다 더 많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써 소비에서 투자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회복시키고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할 수 있다는 정책이다. 하지만 고용과 물가 상승 문제, 영세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반발 또한 만만치 않다. 영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은 최저임금이 상승하면 그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일자리가 감소하고 전체적인 물가가 상승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상승한다고 어떤 효과가 나타날지는 현 상황에서 완전히 확인할 수 없다. 최저임금으로 과연 저소득층의 삶의 질이 개선되고 소득주도 경제성장 정책이 예상한 대로 제대로 진행되어 경제성장에 도움이 될지 예측하기 힘들다. 몇몇 전문가들은 소득주도 경제성장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예측하기도 한다. 반대로 최저임금이 고용과 물가 상승에 정확히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까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OECD나 국내의 여러 연구와 논문을 살펴봐도 최저임금이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는 거의 없다. 오히려 거의 영향 없음, 모호함의 결과가 훨씬 많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최저임금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지만 이는 상품 가격을 개별 자본가들이 좌지우지 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자본주의의 현실과 맞지 않는다. 이러한 반대 결과도 있음으로 한가지의 입장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우리는 더욱더 최저임금 인상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 많은 국민들에게 이로운 정책이 될 수 있도록 만들어 나아가야 한다.

 

우리가 한가지 주목할 점은 주휴수당이다. 고용노동부가 월급이나 주급을 받는 근로자의 시간당 급여를 계산할 때 주휴수당을 받은 시간도 근로시간에 포함해 계산하도록 하는 내용으로 된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안을 지난 10일 입법예고했다. ‘주휴수당이란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유급휴일로 근로기준법 제55조에 따르면 사용자는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 근로자에 관계 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를 주휴일이라 하며 주휴수당은 이 주휴일에 하루 치 임금을 별도 산정하여 지급해야 한다. 주휴수당은 '1일 근로시간×시급'으로 계산한다.

 

여기서 생각해 볼 점은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2018년 현재 최저임금인 7530원을 받는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임금은 9030원이 된다. 만약 2019년 인상액인 8350원을 주휴수당까지 포함해서 계산한다면 10030, 즉 실질적으로 1만 원이 넘는 금액이 된다. 이렇게 된다면 굳이 2020년까지 시급하게 최저임금을 1만 원으로 올릴 이유가 없다.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평균 6%~7%정도로 인상해 왔으니 당장 최저임금이 1만 원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2019년부터 시간당 1만 원 정도, 실질적인 1만 원을 받으며 우리는 머지않아 1만 원이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최저임금은 최소한 보장해야 하는 임금, 즉 가장 적은 금액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최고임금, 즉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일 수 있다. 우리는 최저임금이 최고임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항상 생각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 하더라도 너무 조급하게 실행하게 되면 그사이 부작용이 생길 것이다. 그로 인해 힘든 사람들은 다름이 아닌 국민들이 될 것이다. 그렇기에 정부는 최저임금 인상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힘들어질 사람들에게 마땅한 해결책을 찾아줘야 한다. 너무 서두르지 말고, 안정적으로 인상될 수 있도록 모두가 노력한다면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대한민국의 또 다른 한 발자취를 남길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송지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101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951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849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258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695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601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263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4693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391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061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8100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070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152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1826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355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321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613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9804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199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3321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250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3531
국회의원 체포 동의안. 방탄국회 만드나 2 file 2018.05.31 함현지 10523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026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3367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9754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4848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007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092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4679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5496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593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6972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9931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305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268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353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0809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0472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7831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349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134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232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6811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078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141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9739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136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3600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043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98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