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by 7기이선철기자 posted Aug 07, 2018 Views 110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강릉 폭우2-min.jpg

 ▲폭우로 거친 파도가 치는 동해안 해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영동 지방에 천둥, 번개를 동반한 기습적인 폭우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강릉에만 시간당 93mm의 폭우가 쏟아졌고 이날 영동 6개 시, 군에 신고된 폭우 피해만 총 132건으로 주택가와 상가 침수가 118건이며 차량과 도로 침수가 14건이다.


재난문자50-1.png

휴대전화로 온 안전 안내 문자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행정안전부와 강릉시청이 안전 안내 문자를 통해 새벽에 쏟아진 폭우를 곧바로 알린 것은 잘했다는 반응이다. 지난 경주 지진 때와 달리 신속한 재난 문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2G폰 사용자는 재난 문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2G폰 사용 비율이 높은 고령층은 문자를 받을 수 없었다.


강릉역1-min.jpg

 폭우로 강릉역 입구에 임시방편으로 막아두었던 물 가림막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강릉역이 침수되는 일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열차 지연 등의 일은 없었지만 열차를 이용하는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강릉역은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개통한 KTX 강릉선의 종점역으로 새로 지어진 건물이었지만 엄청난 물 폭탄은 막을 수 없었다. 현재 강릉역은 물을 다 뺀 상태이기 때문에 원활한 운영이 되고 있다.


휴가철에 이런 기습적인 폭우로 강원도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울상이다. 지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해 강원도로 놀러 왔는데 비가 와서 야외 활동을 못해 실망을 한 관광객들도 볼 수 있었다. 또한, 관광지에 자리 잡은 상점들도 폭우로 손님이 없을뿐더러 매장 내 침수로 경제적인 피해를 봤다.


그런데, 이런 엄청난 폭우를 기상청은 예측하지 못했다. 기상청은 폭염이 몰고 온 고기압의 서풍과 많은 습기를 머금은 저기압의 동풍이 충돌해 영동 지방에 기록적인 폭우를 쏟았다고 분석했다. 즉,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대기 불안정에 의한 지형적 원인으로 일어난 폭우로 예측하기 어려웠다는 이야기이다.


앞으로 이런 기습적인 재난을 막기 위해서는 기상청의 정확한 기상 예측과 정부 및 지자체의 오늘과 같은 빠른 재난 정보 전달이 필요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7기 이선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최영서기자 2018.08.08 11:55
    영동지방은 폭염에 이어 폭우까지.. 피해사진만 봐도 기습적인 폭우로 인해 신속하게 대처를 하지 못해서 많은
    피해를 받은게 느껴지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137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812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1349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278
역대 최장 길이 '48.1cm' 비례대표 투표용지, 18년 만에 100% 수기 개표 9 file 2020.04.09 김대훈 14278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287
미투 운동 후 1년, 우리에게 묻는다 1 file 2019.04.02 신예린 14292
스마트폰에 밀려버린 키즈산업…토이저러스 파산 위기 2 file 2017.10.20 김나현 14304
경기도 6개 시 vs 정부, 치열한 공방전 file 2016.05.24 김지율 14307
위조 신분증 이제는 해결할 수 있다? file 2017.08.28 임소현 14309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316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2.24 박다혜 14324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326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330
미세먼지,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9.04.09 박현준 14332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337
'있어빌리티'는 이제 그만 file 2019.05.07 신아림 14342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347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2 2017.03.26 홍수민 14353
소통하는 정부로의 첫 걸음, 대국민 보고회 '대한민국, 대한국민' 2 file 2017.08.24 서정민 14365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372
미국 대선은 트럼트와 반트럼프 2 file 2016.03.25 황지원 14383
만화를 현실로, 포켓몬 GO 3 file 2016.07.25 유한나 14401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403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427
안전을 덮는 위장막, 이대로 괜찮은가? 2018.11.08 김근욱 14433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4435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444
연세대학교 이관형 교수 연구진, 원자 한 층 두께에 전자회로를 그리다 file 2018.11.07 백광렬 14455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file 2018.09.27 서호진 14463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월드컵과 경제 그리고 대한민국 2 file 2018.07.20 김민우 14470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명예훼손으로 A청소년언론 대표 고소 file 2017.12.12 디지털이슈팀 14478
소년법, 처벌의 강화가 최선인가? file 2017.09.27 양은향 14479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481
탈코르셋, 페미니스트... 왜? file 2018.10.05 김혜빈 14482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4485
주황리본, 제2의 세월호 file 2017.11.30 안옥주 14485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4486
김영란법에서 구제역까지, 축산업계 울상 file 2017.02.25 정현호 14487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498
성남시청소년 연합회, 다케시마의 날 철회를 위한 규탄 결의 대회 참석 file 2017.02.26 이가현 14501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4513
무엇이 피해자를 숨게하나 2 file 2016.05.26 김민주 14524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533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545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file 2019.08.16 백지수 14547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560
개성공단은 재가동 되어야 한다 8 file 2016.02.23 조민성 14567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569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4569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5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