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인공 조명을 통한 광합성

by 7기이승민기자 posted Jul 10, 2018 Views 179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인공조명 광합성 자료 (직접 촬영).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승민기자]


최근 들어 급증하는 이산화탄소에 따른 지구 온난화 문제에 전문가들은 다양한 대책들을 세우고 있다. 그중에 하나로 가장 잘 알려지고 쉬우면서 접근성이 뛰어난 해결책은 식물을 많이 심는 것이다. 식물을 심게 되면 지구상의 이산화탄소가 산소로 바뀌고, 이에 따라 지구 온난화를 최소한으로 만들게 될 것이다. 또한, 이 식물을 가장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곳이자 우리에게 비교적 직접적으로 산소를 배출하는 것이 집안에 보관하는 식물이다. 이 식물들은 광합성을 위해 빛이 나는 곳, 즉 광원이 필요하지만, 실내에 있기 때문에 햇빛보다는 인공조명에 의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식물은 광합성을 할 때 광원의 색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널리 이해되고 있다. 각 광원마다 파장이 다르며, 우리 눈에 보이는 400~700nm의 파장 영역이 식물 성장에 필요한 파장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각자의 집에 사용하는 광원; 전구, 백열전구, LED 전구 등은 다르고, 이에 따라 광합성 속도가 달라진다. 이 광합성을 가장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식물에게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서 식물이 가장 많은 양의 산소를 내보낼 것이다.

형광등의 겉면 온도의 경우는 2700과 6500k 사이의 색온도를 기본적으로 나타낸다. 수명의 경우, 백열등보다는 길지만 LED에 비해 크게 낮다. 이러한 효율적인 면들에 의하여 형광등은 일본 등등의 나라의 수경재배 시스템에 자주 사용된다. 하지만, 이의 가장 큰 단점은 바로 너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이를 통해 자원낭비만 아닌, 엄청 과다한 전력 소모를 감수해야 된다. 또한, 760시간 동안 빛에 노출되어야 큰 효과가 있다.

반면에, LED 전등의 경우는 내구성이 있고 이 조명 기구는 소비 전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50,000시간이라는 엄청난 내구성을 자랑하는 면에서는 우세하다. 또한, 미세소타 대학의 원예기술부에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이 두 가지 램프를 이용하여 7주간 식물을 키워서 키 성장을 비교해보니, LED가 압도적으로 성장률이 높았다는 결과가 있었다.


LED 식물 성장 조명을 이용하는 것이 다른 인공조명들에 비해 식물 성장을 빠르게 하고, 생산성을 높이며 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를 통해서 집안에서 식물을 기를 때는 LED 전구를 사용하여 평소에 다른 광원을 사용했을 때보다 광합성량이 늘어나서 비교적 많은 양의 산소를 배출하게 된다. 이것은 지구 온난화를 줄이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7기 이승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63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03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6182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3 file 2017.02.28 조나은 15793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412
최소한의 투표권도 얻지 못하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8.13 장혜성 10113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7762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7593
총선 국면 돌입한 정치권...국민의힘, 민주 당내 갈등에 이목 쏠려 file 2023.11.22 김도민 3845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139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1641
촛불집회 100일...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나 5 file 2017.02.09 장인범 17057
촛불의 시발점, 광화문 3.1운동 100주년 기념 file 2019.03.11 장민주 13391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551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416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0355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312
초유의 '4월 개학' 확정 2 file 2020.03.19 류경주 8303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7750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1817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8800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7463
청학고 새월호 참사 2주기 추모행사 3 file 2016.04.23 문채하 18123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016
청주시 기록적 폭우, 사후 대책은 어떻게? 25일까지 수해피해신고 마감! 1 file 2017.07.24 조영지 11667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8684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449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7742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점점 가중되는 '차이나 게이트' 의혹 file 2020.03.24 임재완 8960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145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296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4 file 2018.07.27 김정우 11150
청와대 '오보괴담 바로잡기' 3 file 2016.11.20 김다현 19492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청소년의 권리 2 file 2017.07.25 최지오 11709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247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153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399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4332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309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388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4653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460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17569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456
청소년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 정치 1 file 2017.02.09 정재은 16121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248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19979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1545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178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8838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79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