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by 8기노영석기자 posted Jul 09, 2018 Views 114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혜화역 1번 출구부터 이대 사거리까지 집회해

- ‘불법 촬영에 대한 남녀 편파수사 규탄을 위해 시위

- ‘경찰측 추산 3만 명


불법 촬영, 이른바 몰카범죄의 피해자가 여성일 때도 남성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수사하고 처벌하라는 집회가 2018 7 7일 혜화역 인근에서 열렸다. 이는 519일과 69일에 앞서 실시된 두 번의 불법 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에 이은 세 번째 시위이다.


IMG_2820 (1).jpg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개사된 동요를 부르고 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노영석 기자]


경찰 추산 약 3만 명의 가까운 집회 참가자들이 자신의 신변 보호를 위해서 마스크와 선글라스 등으로 얼굴을 가리고 참여하였다. 집회 참가자들은 여성··검찰 총장 임명, 경찰 성비를 여성 9 : 남성 1로 변경, 고위 관직 여성 판·검사 임명, 문무일 경찰청장 사퇴, 불법 촬영 (몰카) 영상물 촬영·유포·판매·구매자에 대한 강력 처벌을 요구했다. 또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개사 된 여러 가지 동요와 노래를 불렀다.



한편, 집회측(불편한 용기)에서는 그동안의 논란이 되었던 언어인 자이루’, ‘자요나라’, ‘재기해등의 단어의 어원을 각각 자매+하이루’, ‘자매+사요나라’, ‘문제를 제기하다라는 의미로 해석하였으며, 몇몇 네티즌 사이에서 일어난 논란을 부인했다. 이에 따라 집회 참가자들도 자이루’, ‘자요나라’, ‘재기해’ 등의 어휘를 문제없이 사용하였다. 하지만, 평화로운 집회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집회 참가자들이 남자 경찰을 향해 한남충이라고 하는 등 지나가는 행인이 눈살을 찌푸릴 만한 언어를 사용하였다.

 

7일 집회에서는 집회 참가자와 집회 반대자와의 별다른 물리적 충돌은 없었으나, 지난 1차와 2차 집회 당시 인터넷 생방송으로 인해 몇몇 집회 참가자들과의 충돌로 인해 김진환 (액시스 마이콜)’ 씨의 집회 주변 통과 제지로 인해 잠시 동안 경찰과의 대치가 일어났다. 이후, ‘김진환 (액시스 마이콜)’ 씨의 집회 주변 통과가 허용되어 더 이상의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IMG_2805-side.jpg

김진환 (액시스 마이콜씨가 경찰과 대치하다 집회 주변을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노영석 기자]


3만 명에 달하는 집회 참가자들이 집회를 실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찰과 주최측의 스태프들의 긴밀한 협조로 집회에서의 큰 충돌은 없었다. 집회 참가자들도 질서 있게 집회에 참여하며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 의식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노영석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정민승기자 2018.07.09 14:17
    저는 이 시위를 페미니즘을 가장한 남성 혐오시위라고 생각합니다.
    노영석 기자님의 기사에는 실리지 않았지만 무수히 많은 남성 혐오적 구호와 피켓, 그리고 이번 사건에 대해 편파수사가 아니었다고 말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혐오적 퍼포먼스 등을 보았을 때, 이 집회는 정상적인 페미니즘과 몰카 범죄 근절을 위한 시위라는 생각보다는, 오히려 남성 혐오를 위한 집회라고 생각됩니다. 성재기씨의 죽음을 희화한 '재기해'라는 구호를 자랑스럽게 외쳐대는 집회 참가자들을 보면서 저는 오히려 답답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인권이 짓밟힌 몰카, 성폭행과 같은 성범죄를 당한 피해자들이 미투 운동을 계기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된 지금, 제대로 된 집회와 시위를 통해 본인들의 주장을 드러내야 할 텐데 이 중요한 시점에서 남성 혐오적 발언을 당당하게 하는 것을 보니 가슴이 답답해지더군요. 지금이야 언론 중 저 집회의 모습을 제대로 보도하는 곳이 극소수에 불과해 집회의 본모습을 아는 사람이 몇 없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저 모습이 공개되었을 때, 과연 저들을 지지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진정으로 성범죄를 막고,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남성 혐오의 향기를 짙게 풍기는 집회가 아닌, 합당한 근거에 따른 합리적인 주장을 내세우는 집회가 열려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8기노영석기자 2018.07.09 22:24
    안녕하세요, 기사 작성자입니다 :)
    일단 정민승님의 답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실제로 주변에 여경분만큼 남경분들도 많았습니다. 그런 남경분들은 어린 순경분부터 경장의 계급을 달고 계신 할아버지분도 계셨습니다. 그런데, 그 앞에서 무고한 경칠분들께 '한남충' '재기해' 등의 어휘를 거리낌 없이 사용한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노래 부분에서도 듣기 거북할 정도의 어휘도 많이 들어가 있었습니다. 남자에게 몰카를 찍자는, 범법행위를 조장하는 가사도 있었습니다.
    지나가는 시민분이 사진을 찍자, '한남충' '몰카범' '재기해' '너네가 찍지만 않았어도 우리가 여기 있지는 않았어' 등의 어휘를 사용하고, 스태프분들과 경찰분들이 사진을 강압적으로 삭제하게 만들고, 주민등록증까지 확인하는 사태도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주최측에서는 모든 논란되는 어휘를 본 기사처럼 반박하였으며, 본 어휘를 사용하는 주최측에서는 뜻 풀이를 위와 같이 서술하였으므로 '재기해'가 고 성재기 전 남성연대 대표를 비하한다는 발언임을 미루어 짐작할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이게 맞다'라고 할 수는 앖다고 봅니다.
    또한, 주최측에서는 집시법에 의거하여 집회 참가자의 초상권은 언론에게는 보호받지 못한다 라는 근거로 일반인의 촬영을 초상권 침해로 간주하고 삭제를 요구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집회는 집시법 제 4조에 의거한 언론인은 집회 현장에 출입할 수 있다는 법률을 무시하였고 남성 기자의 폴리스라인 안 취재를 금지하였습니다. 또한, 지나가는 행인들을 위협하였고, '한남충'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남성혐오를 한 바가 있습니다. 정민승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문재인 대통령을 비하하고, "무좇탄핵 유좇당선", "무좇유죄 유좇무죄"와 같은 피켓으로 집회의 목적을 벗어난 점도 있습니다.

    아무튼, 이 집회가 옳다 그르다는 보도를 한 자인 제가 판단할 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8기심재민기자 2018.07.11 20:35
    솔직히 자이루는 보이루를 미러링 해 만든것인데, 이것이 문제가 되니 자매님 하이루 였다고 말을 바꾼겁니다. 이게 일베가 쓰는 '운지'가 누가봐도 전 노무현 대통령의 자살 비하인데도 '운지천'이라는 노천탕이라도 말을 바꿔 '건강해지라는 뜻'이라고 우기는게 뭐가다른지 저는 모르겠네요....
    기자님, 7차 시위때 만날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8기장혜성기자 2018.07.16 09:10
    그러게 말입니다... 미러링이라는 말 자체에도 동의하기 힘들지만, 그 미명 하에서 이루어지는 행동들은 일반인의 상식을 아득히 벗어나지 않았나 하는 생각입니다.
  • ?
    8기장혜성기자 2018.07.16 09:08

    '질서 있게' 이루어졌다는 표현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현장 증언과 동영상들을 보면 지나가던 남성들을 무작정 폭행한 일도 잦았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들에게 "분위기 XX내지 말고 웃으라"며 조롱하고 자극하는 등, 수많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026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7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2181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9810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353
제 1316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아픔을 기억하겠습니다 file 2018.01.05 김민하 12340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028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231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294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256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3701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4687
제14차 광화문 촛불집회... 아직 꺼지지 않는 촛불 2 file 2017.02.11 김동근 13798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052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0474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8916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6797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064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392
제34회 글로벌청소년과학탐구대회 '운지벌레' 논란 3 file 2016.04.25 박성수 19214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121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5 file 2018.07.09 노영석 11445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1039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996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시장편 2 file 2018.06.25 정민승 1090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9342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6573
제로 음료수의 시대, 설탕을 대신한 감미료들 file 2023.07.15 이주하 4658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176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8586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9977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059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키운 불법 주·정차 앞으로 어떻게····? 1 file 2018.01.09 허기범 13467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171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191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184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7826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109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301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7964
조국 청문회가 남긴 숙제는? file 2019.09.20 정예람 33742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003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5328
조두순 출소 반대, 이루어질 수 없지만 간절한 국민들의 소원 2 file 2017.11.24 윤익현 13475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0677
조력자살 그 한계는 어디인가? file 2018.07.31 신화정 13609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3 2018.05.24 황지은 11010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018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2389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29322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5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