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by 8기노영석기자 posted Jul 09, 2018 Views 114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혜화역 1번 출구부터 이대 사거리까지 집회해

- ‘불법 촬영에 대한 남녀 편파수사 규탄을 위해 시위

- ‘경찰측 추산 3만 명


불법 촬영, 이른바 몰카범죄의 피해자가 여성일 때도 남성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수사하고 처벌하라는 집회가 2018 7 7일 혜화역 인근에서 열렸다. 이는 519일과 69일에 앞서 실시된 두 번의 불법 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에 이은 세 번째 시위이다.


IMG_2820 (1).jpg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 시위에 참가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개사된 동요를 부르고 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노영석 기자]


경찰 추산 약 3만 명의 가까운 집회 참가자들이 자신의 신변 보호를 위해서 마스크와 선글라스 등으로 얼굴을 가리고 참여하였다. 집회 참가자들은 여성··검찰 총장 임명, 경찰 성비를 여성 9 : 남성 1로 변경, 고위 관직 여성 판·검사 임명, 문무일 경찰청장 사퇴, 불법 촬영 (몰카) 영상물 촬영·유포·판매·구매자에 대한 강력 처벌을 요구했다. 또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개사 된 여러 가지 동요와 노래를 불렀다.



한편, 집회측(불편한 용기)에서는 그동안의 논란이 되었던 언어인 자이루’, ‘자요나라’, ‘재기해등의 단어의 어원을 각각 자매+하이루’, ‘자매+사요나라’, ‘문제를 제기하다라는 의미로 해석하였으며, 몇몇 네티즌 사이에서 일어난 논란을 부인했다. 이에 따라 집회 참가자들도 자이루’, ‘자요나라’, ‘재기해’ 등의 어휘를 문제없이 사용하였다. 하지만, 평화로운 집회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집회 참가자들이 남자 경찰을 향해 한남충이라고 하는 등 지나가는 행인이 눈살을 찌푸릴 만한 언어를 사용하였다.

 

7일 집회에서는 집회 참가자와 집회 반대자와의 별다른 물리적 충돌은 없었으나, 지난 1차와 2차 집회 당시 인터넷 생방송으로 인해 몇몇 집회 참가자들과의 충돌로 인해 김진환 (액시스 마이콜)’ 씨의 집회 주변 통과 제지로 인해 잠시 동안 경찰과의 대치가 일어났다. 이후, ‘김진환 (액시스 마이콜)’ 씨의 집회 주변 통과가 허용되어 더 이상의 물리적 충돌은 없었다.


IMG_2805-side.jpg

김진환 (액시스 마이콜씨가 경찰과 대치하다 집회 주변을 통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노영석 기자]


3만 명에 달하는 집회 참가자들이 집회를 실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경찰과 주최측의 스태프들의 긴밀한 협조로 집회에서의 큰 충돌은 없었다. 집회 참가자들도 질서 있게 집회에 참여하며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 의식을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노영석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정민승기자 2018.07.09 14:17
    저는 이 시위를 페미니즘을 가장한 남성 혐오시위라고 생각합니다.
    노영석 기자님의 기사에는 실리지 않았지만 무수히 많은 남성 혐오적 구호와 피켓, 그리고 이번 사건에 대해 편파수사가 아니었다고 말한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혐오적 퍼포먼스 등을 보았을 때, 이 집회는 정상적인 페미니즘과 몰카 범죄 근절을 위한 시위라는 생각보다는, 오히려 남성 혐오를 위한 집회라고 생각됩니다. 성재기씨의 죽음을 희화한 '재기해'라는 구호를 자랑스럽게 외쳐대는 집회 참가자들을 보면서 저는 오히려 답답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의 인권이 짓밟힌 몰카, 성폭행과 같은 성범죄를 당한 피해자들이 미투 운동을 계기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된 지금, 제대로 된 집회와 시위를 통해 본인들의 주장을 드러내야 할 텐데 이 중요한 시점에서 남성 혐오적 발언을 당당하게 하는 것을 보니 가슴이 답답해지더군요. 지금이야 언론 중 저 집회의 모습을 제대로 보도하는 곳이 극소수에 불과해 집회의 본모습을 아는 사람이 몇 없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저 모습이 공개되었을 때, 과연 저들을 지지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진정으로 성범죄를 막고, 근절시키기 위해서는 남성 혐오의 향기를 짙게 풍기는 집회가 아닌, 합당한 근거에 따른 합리적인 주장을 내세우는 집회가 열려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8기노영석기자 2018.07.09 22:24
    안녕하세요, 기사 작성자입니다 :)
    일단 정민승님의 답글 잘 읽어보았습니다. 실제로 주변에 여경분만큼 남경분들도 많았습니다. 그런 남경분들은 어린 순경분부터 경장의 계급을 달고 계신 할아버지분도 계셨습니다. 그런데, 그 앞에서 무고한 경칠분들께 '한남충' '재기해' 등의 어휘를 거리낌 없이 사용한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노래 부분에서도 듣기 거북할 정도의 어휘도 많이 들어가 있었습니다. 남자에게 몰카를 찍자는, 범법행위를 조장하는 가사도 있었습니다.
    지나가는 시민분이 사진을 찍자, '한남충' '몰카범' '재기해' '너네가 찍지만 않았어도 우리가 여기 있지는 않았어' 등의 어휘를 사용하고, 스태프분들과 경찰분들이 사진을 강압적으로 삭제하게 만들고, 주민등록증까지 확인하는 사태도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주최측에서는 모든 논란되는 어휘를 본 기사처럼 반박하였으며, 본 어휘를 사용하는 주최측에서는 뜻 풀이를 위와 같이 서술하였으므로 '재기해'가 고 성재기 전 남성연대 대표를 비하한다는 발언임을 미루어 짐작할수는 있겠지만 그렇다고 '이게 맞다'라고 할 수는 앖다고 봅니다.
    또한, 주최측에서는 집시법에 의거하여 집회 참가자의 초상권은 언론에게는 보호받지 못한다 라는 근거로 일반인의 촬영을 초상권 침해로 간주하고 삭제를 요구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집회는 집시법 제 4조에 의거한 언론인은 집회 현장에 출입할 수 있다는 법률을 무시하였고 남성 기자의 폴리스라인 안 취재를 금지하였습니다. 또한, 지나가는 행인들을 위협하였고, '한남충'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남성혐오를 한 바가 있습니다. 정민승님께서 말씀하신것처럼 문재인 대통령을 비하하고, "무좇탄핵 유좇당선", "무좇유죄 유좇무죄"와 같은 피켓으로 집회의 목적을 벗어난 점도 있습니다.

    아무튼, 이 집회가 옳다 그르다는 보도를 한 자인 제가 판단할 점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8기심재민기자 2018.07.11 20:35
    솔직히 자이루는 보이루를 미러링 해 만든것인데, 이것이 문제가 되니 자매님 하이루 였다고 말을 바꾼겁니다. 이게 일베가 쓰는 '운지'가 누가봐도 전 노무현 대통령의 자살 비하인데도 '운지천'이라는 노천탕이라도 말을 바꿔 '건강해지라는 뜻'이라고 우기는게 뭐가다른지 저는 모르겠네요....
    기자님, 7차 시위때 만날지도 모르겠네요 ㅎㅎ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8기장혜성기자 2018.07.16 09:10
    그러게 말입니다... 미러링이라는 말 자체에도 동의하기 힘들지만, 그 미명 하에서 이루어지는 행동들은 일반인의 상식을 아득히 벗어나지 않았나 하는 생각입니다.
  • ?
    8기장혜성기자 2018.07.16 09:08

    '질서 있게' 이루어졌다는 표현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현장 증언과 동영상들을 보면 지나가던 남성들을 무작정 폭행한 일도 잦았고, 현장에 출동한 경찰들에게 "분위기 XX내지 말고 웃으라"며 조롱하고 자극하는 등, 수많은 사건이 있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973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823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1666
부산 평화의 소녀상 부산교통공사 '불법 부착물 떼라' file 2017.02.12 조희진 15511
부산 한바다중학교, 증축공사현장에서 화재, 재학생들의 애도 물결 6 file 2017.02.13 김혜진 23706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6647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1966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8618
북 핵실험장, 남 취재진만 접수 받고 풍계리로 1 file 2018.05.24 노원준 9900
북극해를 둘러싼 갈등 file 2018.07.30 김지은 17817
북미정상회담 결과에 미소짓는 시진핑 file 2018.06.18 박현규 9798
북미회담의 결과는 어떻게 될까 1 file 2018.06.05 양희원 9195
북한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11 file 2016.02.14 구성모 18130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222
북한과의 통일, 과연 좋은 방향인가? 3 file 2017.08.12 이소미 9924
북한은 왜 핵무기를 버리는가 2 file 2018.05.28 황수환 9807
북한의 도발과 수그러들지 않는 긴장감 2 file 2017.08.17 김나림 9385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8871
북한의 미사일발사? 자국 안보를 위한 사드? 모두 사실입니까? 13 file 2016.02.23 이강민 17213
북한의 연이은 도발 1 2019.08.26 윤대호 9339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1809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0602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2879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8790
불매로 기업의 처벌을, 불매운동 2 file 2016.05.22 김혜빈 15751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0653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295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7669
불법주차 개선위한 대책마련 시급 1 file 2016.11.17 김지현 17691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12231
브렉시트 투표 후 1년 반, 어디까지 왔나? 2 file 2018.01.29 신유진 9729
브렉시트....현재 진행 상황은? file 2017.12.12 현승현 12836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14393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7444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0908
블라인드 채용 법 발의 5 file 2017.07.09 송선근 14108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9992
비가 와도 함께한 1271번째 수요일...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죄를 촉구하는 수요시위 현장 9 file 2017.02.22 정지윤 15068
비바람에도 꺼지지않는 촛불, 14차 광주시국 촛불대회 1 file 2017.02.13 정진영 16640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6 file 2017.02.25 박유진 22084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6591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0566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3 file 2016.05.25 김영경 16316
비트코인 사용시 주의할 점 file 2018.02.21 허어진 10191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10065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1807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3 file 2017.02.20 김민주 16790
빈곤과 가난은 옛이야기일까? 1 file 2018.07.04 박상미 11477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1765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479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10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