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미국 야구 경기 LA Dodgers VS Texas Rangers, 추신수 선수 출전

by 7기함수민기자 posted Jun 26, 2018 Views 213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80622_19140529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함수민기자]

94d4aebce8d9268e97781efde99eba4b.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함수민기자]


6월 13일 오후 7시, 미국 로스앤젤레스 Dodger Stadium에서 LA Dodgers 대 Texas Rangers로 메이저리그 프로야구(MLB) 경기가 열렸다. 이날에는 특별히 LA Dodgers의 60주년을 맞아 입장하는 관객들에게 선착순으로 비치타월을 무료로 제공했다. 또한, Texas Rangers 팀원인 대한민국 추신수 선수가 1번 타자 겸 좌익수로 경기에 출전하였다. 


경기가 시작하자마자 1회에 Dodgers가 홈런으로 점수를 내어 경기 속 열기와 분위기는 고조되었다. 3회에는 홈베이스로 향하던 Dodgers 팀에 27번 Kemp 선수와 수비를 하던 Rangers 팀에 61번 Chirinos 선수가 신체적 충돌이 일어나 선수들 간의 싸움으로 번지는 일이 있었다. 야구 경기장 직원 말에 의하면, 경기 도중 선수들 간 싸움이 난 것은 올해 들어 Dodger Stadium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라고 한다. 이어서 4회에 Rangers가 처음으로 점수를 내어 경기는 2 대 1로 계속 진행되다가 다시 한번 Rangers가 득점하여 동점에 이르렀다. 


5회에는 추신수 선수가 타자로 출전하여 홈런을 칠 뻔하였지만 야구공이 벽에 튕겨 필드 안으로 다시 들어와 2루까지만 뛸 수 있었다. 이를 지켜본 Rangers의 팬들과 팀원들은 아쉬워서 탄성을 자아냈다. 하지만 이후 추신수 선수는 안타를 치며 필드를 마음껏 누비기도 하였다.


9회까지 경기가 동점으로 이어져서 연장전이 펼쳐졌다. 10회를 지나 11회가 되어서야 Dodgers 팀에 14번 Hernandez 선수가 홈베이스로 골인하여 3대 2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경기를 응원한 Dodgers의 팬들은 다함께 일어나 축제 같은 분위기를 즐겼다. 추신수 선수는 비록 이 경기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 경기가 끝난 후에는 모든 팬들과 감독을 포함한 팀원들에게서 박수를 받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7기 함수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7604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7369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94368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0708
2021 롤드컵, EDG가 담원기아를 제치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다 1 file 2021.11.08 최은혁 10710
젤리크루-설빙 컬래버, 크리에이터 ‘영이의 숲’ 꽃카 한정판 세트 출시 file 2022.06.28 이지원 10721
"大韓民國 臨時政府 行政 首班" (대한민국 임시정부 행정수반) file 2021.06.24 노윤서 10731
서대문구환경교육센터, 지역주민과 함께한 환경축제 GREEN DAY 성료 file 2022.10.07 이지원 10732
알라딘 ‘더 퍼스트 슬램덩크’ 개봉 기념 도서전 진행 file 2023.01.06 이지원 10732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센터, 청소년과 예술가의 공동창작 프로젝트 ‘아츠포틴즈’ 참가자 모집 file 2022.07.08 이지원 10763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1 file 2022.03.07 김다혜 10770
덕수궁 국립현대미술관서 열린 '장욱진 회고전'에 가다 file 2023.11.30 정서영 10773
언택트 시대, 감사편지로 마음을 나누다 file 2021.03.30 강대우 10776
세종서 택시 같은 버스 ‘셔클’ 운행 file 2021.04.20 김태림 10777
종이책의 위기, 극복 방법은 없을까? 1 file 2021.10.28 박예슬 10815
대학생 실종사건으로 불거진 한강 금주에 대한 찬반 논란 file 2021.05.24 김초원 10834
여보, 아버님 댁에 친환경 콘덴싱 놓아드려야겠어요 file 2022.01.25 김하영 10837
오징어 게임 마케팅 전략 이대로 통하나 file 2021.10.25 박서빈 10848
청년을 위한 행사, '제1회 청년의 날' 기념식 file 2020.09.28 황지우 10851
서울시 교육청 '희망급식 바우처' 사업 추진 file 2021.06.02 김예인 10851
뮤지컬 ‘레베카’, 출연 배우 확진으로 오는 6일까지 공연 취소 1 file 2022.02.07 오다해 10852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file 2021.11.26 정서진 10855
제6회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개최, 사전 접수 104만 명에 이르러... file 2021.04.01 김수연 10862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0864
파인타르 사용으로 인한 부정투구, 이제는 안녕 file 2021.07.19 김민성 10869
연이은 대형주의 폭락…갈 곳 잃은 동학개미들 file 2021.09.17 송경원 10888
MZ세대의 명품 소비,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file 2021.11.26 박예슬 10888
울산의 새로운 문화 공간, 울산시립미술관 2 file 2022.02.24 김지언 10900
지상 최대 거물들의 밥그릇 전쟁 발발 file 2020.09.29 오진혁 10901
당신이 기억하는 '당신의 몸'은? file 2021.04.21 정다빈 10906
해외 신문 들여다 보기 file 2021.05.04 강윤아 10916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0924
홍성 역사 축제 '이응로' file 2021.05.24 노윤서 10927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힘 file 2021.07.20 남서영 10928
아이들이 부모를 선택하는 시대, '페인트' 1 file 2022.03.28 민유정 10929
엑시노스의 또 한 번의 도전 file 2021.07.26 이준호 10932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참가로 인성 교육하다 file 2021.04.01 양지윤 10939
빈자리에 소중한 것들을 채워 담다 1인 출판사 '틈새의 시간' 1 file 2021.10.20 김유진 11019
'코로나19' 고군분투 의료진들에게 전하는 감사의 메시지 1 file 2020.04.27 김언진 11021
그린플레이션의 등장…시작된 배경은 무엇인가 file 2021.10.07 임규리 11024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년 연속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에 홍보대사 방송인 장성규 위촉 file 2021.03.30 장헌주 11034
세월호 '#기억은힘이세지' 온라인행진 이루어지다 file 2021.04.22 이은별 11035
원자만 한 두께의 2차원 반도체를 쌓아 초격자 구조 구현 성공... 양자컴퓨터 소자로 사용 가능 file 2021.07.26 한건호 11065
청년 예술가를 찾아서! file 2021.09.27 김동은대학생기자 11076
'황소' 황희찬이 라이프치히에 왔다? 1 file 2020.09.25 김시윤 11077
프리미어리그 개막, 빅6의 시작은 어땠을까? file 2021.08.19 윤서원 11079
배우 윤여정,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file 2021.05.17 김이원 11083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고집적 '뉴로모픽 반도체' 제작 성공 file 2021.08.25 한건호 11083
UN에 관심 있는 청소년들이여, 이리로 오라! 3 2020.09.25 전민영 11087
‘녹용을 먹으면 바보가 된다’는 속설은 어디서 왔을까? 1 file 2022.02.11 김다혜 11090
'빅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 그 사이 데이터 3법 file 2020.11.24 김은비 110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