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by 7기노시현기자 posted Jun 08, 2018 Views 190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6,030원, 6,470원, 7,530원.

위의 금액들은 대한민국의 최저임금을 각각 2016년, 2017년, 2018년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곧 사회에 진출하여 경제생활을 하게 될 청소년들에게 최저시급과 같은 경제 이슈는 결코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아직 최저시급이 무엇인지, 최저시급을 더 넓게 보는 시각은 무엇인지에 대해 궁금해할 청소년을 위한 기사이다.

앞으로 자신의 경제 가치관을 확립해야 할 청소년들이 실제로 접하게 되는 최저임금제와 같은 이슈를 통해 경제와 더욱 친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IMG_20180607_22295945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노시현기자]


최저임금은 무엇인가?

근로자에게 일정 금액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는 제도로, 고용자가 피고용인을 저임금으로 부리는 착취를 막기 위해 피고용인에게 지급해야 할 최소한의 임금이다. 세계 기축통화인 미국의 달러($)의 경우, 1939년 경제 대공황 시절 32대 대통령 프랭클린 루즈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에 의해서 처음 시행되었다.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1986년 12월 31일에 최저임금법을 제정하였고, 1988년 1월 1일부터 최저임금제를 시행하였다.


최저임금 인상의 찬반양론

다음의 찬반 주장과 그 주장에 대한 근거들을 살펴보도록 하자.


찬성- ① 최저임금을 올리는 것은 경제 활동을 증가시키고 일자리를 증가시킬 것이다.

1994년 경제학자 앨런 크루거(Alan Krueger) 박사와 데이비드 카드(David Card) 박사는 뉴저지주의 패스트푸드 산업의 최저임금을 80센트로 올린 것과 펜실베니아의 임금인상이 없는 경우를 각각 비교했다 그 결과, 크루거와 카드는 패스트푸드 산업의 일자리 증가가 두 주 모두에서 유사하며, "고용 감소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말했고, 그들의 조사 결과는 경제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반대-① 최저 임금 인상은 기업들로 하여금 직원을 해고하게 하고 실업률을 높이게 할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경제 분석 사무소는 최저임금을 15달러로 인상할 경우 고용이 "15,270명 정도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존스 홉킨스 대학의 응용 경제학 박사인 한케는, 최저임금제를 가지고 있거나 그렇지 않은 EU 국가 21개국을 조사했고, 그 결과 최저임금제를 가지고 있는 국가의 실업률이 11.8%, 그렇지 않은 국가가 7.9%로 최저임금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가 약 1/3 높은 실업률을 나타냈다.


찬성-② 더 높은 최저 임금은 정부 복지 지출을 줄일 것이다. 

저소득 노동자들이 더 많은 돈을 벌고, 그들의 의존도와 자격을 얻는다면, 정부의 혜택은 줄어들 것이다. 2014년에 미국 발전 센터는 최저 임금을 6%에서 10.10달러로 인상하면 보조 영양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지출을 6%, 즉 46억 달러 줄일 것이라고 보고했다. 그들은 이런 증가로 인해 연간 수입 지원 프로그램에 쓰는 정부 지출이 76억 달러 감소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반대-② 최저 임금 인상은 기업들에 피해를 주고 기업들로 하여금 문을 닫게 만들 것이다. 

2016년 갤럽 여론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소유주의 60%가 최저 임금 인상이 "대부분의 중소기업 소유주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한다. 패스트푸드 체인인 화이트 캐슬의 MBA 부사장인 제이미 리처드슨은, 최저 임금이 15달러까지 오를 경우, 매장을 거의 반씩 닫고 수천 명의 직원들을 해고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찬성-③ 현재의 최저 임금은 사람들이 일상 필수품을 살 여유가 없을 정도로 높지 않다.

OxfamAmerica의 2013년 조사에 따르면 66%의 노동자들이 시간당 10달러 미만을 버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들이 그들의 기본 생활비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약 50%는 종종 걱정한다고 말한다 


반대-③ 자유 시장은 연방 정부가 아니라 최저 임금을 결정해야 한다. 

중소기업 네트워크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82%가 정부가 임금을 책정해서는 안 된다는 데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자유 시장은 고용주들이 그들의 사업에 적합한 임금 수준으로 필요한 노동자들을 고용할 수 있도록 생산된 일의 가치에 기초하여 임금을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7기 노시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7기안디모데기자 2018.06.08 19:50
    최저시급을 올리는 것보다 제대로 안주는 것이 더 문제라고 생각해요.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6.26 01:11
    최저시급보다 대기업 적폐단속이 더 시급한것 같아요.(ㅋㅋㅋ 아재개그 죄송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461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25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5807
[현장취재]'제 16회 서울청소년자원봉사대회' 나눔을 실천하는 청소년들 2 file 2015.11.23 박성은 22058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047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034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020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003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003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1960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1944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1916
"굳이 겉옷 안의 마이를…?" 복장 규정에 대한 학교규칙의 문제점 3 file 2017.11.23 이혜승 21894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1866
잠잠해져가던 코로나19, 다시금 두려움에 떨게하는 에어로졸 전파 6 file 2020.07.31 유지은 21807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1741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1738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1660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1639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1632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541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529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1509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1478
'솜방망이 처벌' 학교폭력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8 file 2018.08.24 조혜진 21460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1432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1412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1406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1391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1374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1372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371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368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21288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21262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234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1210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21187
'잊혀질까 봐, 흔적도 없이 사라질까 봐...' 나비의 1219번째 날갯짓 10 file 2016.02.24 김민지 21185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21165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135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122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21116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082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061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0978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안 기술, 양자역학의 원리 속에? 1 file 2020.07.15 서수민 20967
세스코 근무 환경, 1년이 지난 지금은? file 2018.01.22 홍수빈 20947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0934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0918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09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