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18 PlayX4, 경제적 효과는?

by 6기박성은기자 posted May 28, 2018 Views 171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경기콘텐츠진흥원과 킨텍스에서 주관한 2018 PlayX4(플레이엑스포)가 지난 13일 막을 내렸다.

PlayX4B2B, B2C 두 가지로 나뉘며 B2B는 기업대 기업, B2C는 기업대 소비자를 의미한다. B2B은 수출상담회(글로벌 퍼블리셔, 게임 게발자)가 메인 프로그램이며, B2C는 게임전시가 메인 프로그램이다.

 

2018 PlayX4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플랫폼 제공'을 추진 방향으로 잡고 이를 위해 중소기업 특별관, 기업 공동관 참여 확대, 중소게임사 홍보 마케팅 기회 확대, 기업 간 비즈니스 매칭 강화, 사전 홍보와 현장 매치 지원 등에 노력하였다.

  사진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박성은기자]


중소기업 특별관(Space X)을 조성하여 선발기업의 전시 및 홍보를 지원하고, 기업 공동관 참여 확대를 위해 B2B 전용 VR 특별관을 구성하였다. 중소게임사 홍보 마케팅 기회 확대를 위해 기업 홍보용 팝업 스테이지를 조성하고, 신작소개, IR 피칭 등 마케팅 기회를 제공하였다. 기업 간 비즈니스 매칭을 강화하기 위해 바이어/VC/개발사 350개사 참가를 했으며, 해외 판로 개척, 국내 유통, 개발 수주 등 성과와 실적을 다각화하였다.

 

510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된 B2C전시회는 펄어비스, 유니아나, 반다이남코, LG전자, 핀콘 등 200개사가 참가하였다.

 

게임 개발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는 무엇이 있을까?

 

좁게는 게임을 개발함으로써 회사가 성장할 수 있다. 헝그리앱 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임들, 이러한 게임들 같은 경우는 핀란드에서 만든 게임 그 게임 하나 만으로 핀란드라는 나라 자체의 이름이 좀 더 알려지고 "핀란드가 게임도 잘 만들고 IT도 유명하구나"라는 긍정적인 이미지가 사람들에게 심어진다. 마찬가지로 한국 게임들을 사람들이 많이 하게 된다면 "한국이라는 나라가 IT를 참 잘하는 구나, 한국이라는 나라는 콘텐츠를 참 잘 만드는 구나, 한국에 가보고 싶다"와 같은 긍정적인 이미지가 심어진다. 강력한 콘텐츠 하나가 생겨난다면 그 나라에 대한 인지도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여기에 따른 파급력은 유·무형적으로 많다.

 

경기도에서 PlayX4를 개최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국내 콘텐츠 전체 매출 100조 원 정도 버는데 그중에서 수출의 56% 정도를 콘텐츠 중에서 게임이 차지한다. 경기도, 판교에는 '넥슨, 엔씨소프트' Top 10 매출 기업 중 7개가 들어와있다. 판교는 게임 산업의 메카라고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얻는 매출 등이 타 지자체에 비해서 압도적인 수준이다.

 

PlayX4의 취지는?

PlayX4는 중소기업들도 다시 살려서 동반성장과 상생을 이뤄보자는 취지에서 개최를 했다. 56% 비중을 수출을 하고 있는데 Playx4를 통해서는 올해 기준으로 800억 정도 수출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350개 정도 되는 중소기업들과 글로벌 배급사를 초청을 해서 비즈니스 매칭을 한다. 그래서 중소기업 수출의 항로를 개척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박성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9406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9169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11280
골재상에서 발생한 화재, 인근 고등학교 덮쳐.. 인명 피해는 '無' 3 file 2017.04.09 이동우 17598
공간의 진화, 트렁크 룸 1 file 2017.03.26 김하은 16052
공감 있어 더 나은 세상, Better Together file 2017.11.27 이가빈 15612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5189
공공의 적, 미세먼지 1 file 2017.05.25 고아연 14085
공동의 리듬, 공동의 몸; '공동체'를 만나다 file 2017.10.16 박채연 17211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2843
공모전부터 전시까지 다채로운 코바코의 공익광고축제 file 2016.11.21 박지혜 30990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3813
공스타그램, 이젠 공부도 SNS로! 7 file 2017.03.12 이지우 19405
공연 '소년대로' 오는 16일까지 대학로서 공연 file 2023.04.12 박도현 7072
공원커피,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2022 카페 소스페소’ 커피 캠페인 진행 file 2022.12.06 이지원 7707
공인인증서는 가고 시작된 민간인증서들의 시대 file 2020.12.28 이채은 12616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291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6371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160
공포의 자동차 ‘급발진’ 그에 대한 원인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4 file 2015.02.07 김현우 33376
공항동, 도시재생으로 다시 날 수 있을까? file 2020.11.09 김서영 12598
공휴일 아닌 기념일, 그 의미는 알고있니? file 2017.07.25 장서윤 14772
과거와 현대를 잇는 도심 속 산책, 타이베이 여행 4 2018.05.04 김선주 23811
과거와 현대의 공존, 오사카 여행기 file 2017.02.25 주은채 15069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예술인들, 무예 24기 file 2021.04.23 최민서 11878
과거축구와 현대축구의 만남, 풋볼 팬타지움 2018.10.19 서성준 14943
과도한 트로트 열풍 이대로 괜찮은가? 2021.01.15 홍재원 13902
과연 내가 살찌는 이유가 고기에게만 있을까? file 2017.12.04 유하늘 14368
과천 누리마 축제의 현장으로 2017.11.24 고은빈 13940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330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6991
과천에서의 문화체험 file 2014.10.18 오선진 32113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6380
과학? 축제의 중심이 되다! file 2017.06.12 오지석 15505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3818
과학에 대해서 궁금하면? '대전 사이언스 페스티벌' file 2017.10.25 이예준 15853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file 2018.05.18 신온유 19987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제 21회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개최 file 2017.08.13 김영서 12615
과학을 향한 학생들의 도전, 2017 제주청소년과학탐구대회 file 2017.04.28 신온유 15034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6708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8729
과학적이고 아름답다! 스페인의 알함브라 궁전 file 2018.01.30 곽승용 19453
관객을 뜨겁게 울린 영화1987 현대인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다? 2 file 2018.01.24 이해인 24056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313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작은 한걸음 file 2017.03.25 김경은 15673
관중 입장이 재개된 프로야구 현재 상황 file 2020.10.26 나주현 12242
광명동굴의 ‘미디어 아트로 보는 세계명화전’. 성황리에 막을 내리다. 2 file 2017.05.21 최미성 15528
광복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눈물의 행사들. 그리고 그 행사들의 주인공 위안부 할머니들. 2 file 2015.08.27 정주현 26133
광복 72주년 기념 해방 거리 재현 행사 '사람의 나라' file 2017.08.17 박규리 13055
광복72주년???빗속에서 열린 겨례의 '2017 서대문독립민주축제' 2017.08.30 문성환 14472
광복의 환희와 되찾은 조국의 상징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방문해보는 것은 어떨까? 1 file 2019.01.08 이채린 146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