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by 6기이영재기자 posted May 25, 2018 Views 102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20171007_132252948_36AC3CFE-42CB-4158-B394-1F501B10111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영재기자]


요즘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와 관련된 기사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정부가 재건축 시장을 규제하기 위해서 내놨다는 말도 있었다. 그렇다면 안전진단은 무엇이며, 재건축 시장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까? 

재건축은 기존 건물을 허물고 아예 새로운 건물을 짓는 방식이다. 재건축은 관련 현행법상 30년이 넘은 주택이면 추진 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연한만 도래한다고 모든 주택이 재건축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안전진단'이다. 안전진단은 재건축 시행 여부를 판정하는 첫 단계이다. 


재건축 안전진단 제도는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만들어졌다. 무분별한 재건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집값 폭등 현상을 막자는 취지에서였다. 그전에는 지역별로 중구난방이었고, 그마저도 의례적인 일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평가하는 항목은 구조 안정성, 주거환경, 비용 편익 그리고 설비 노후 등 4가지이다. 문제는 이러한 4가지 항목별 배점 비중이 제멋대로였다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구조 안정성 항목을 45%에서 2006년 50%까지 올렸고, 이명박 정부는 2009년 40%로 떨어뜨렸다. 이걸 2015년 박근혜 정부는 20%로 대폭 낮추고, 대신 주거환경 비중을 늘렸다. 이 때문에 2015년 이후 아파트들은 재건축 안전진단을 무리 없이 통과했고, 안전진단 통과 비율이 90%대에 이르렀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재건축 남발과 불안전한 집값을 잡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는 방안이었다. 20%까지 떨어진 구조 안정성의 가중치를 다시 50%로 높이고, 주거환경 비중을 15%로 다시 낮췄다. 앞으로 웬만큼 불편한 정도로는 재건축을 시작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안전진단 강화 방안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은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뉴스나 신문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것도 좋은 경제 공부가 될 것 같다.


P20171012_173816020_DF422BE2-3978-4FFE-B7E0-6A5A1271807F.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영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이영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7기안디모데기자 2018.06.07 02:02
    재건축이 이익을 얻기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건물이 튼튼하기만 하면 재건축 허가를 내주지 않아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214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979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2953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423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223
끝나지 않은 그들의 수라, 미제 사건 file 2017.03.18 최사라 12232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376
계속되는 '욱일기' 논란... 욱일기는 무엇인가? file 2017.03.18 허재영 13504
마침내 그날이 왔다, 광화문 거리 한복판에서 터지는 축하의 폭죽 file 2017.03.17 최예헌 11245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171
마약밀매(DRUG TRAFFICKING)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1 file 2017.03.16 정수빈 14176
절대 침몰하지 않을 그날의 진실 5 file 2017.03.15 조아연 13828
서울대 본관 점거 153일째, 물대포로 농성 해산...해산되기까지 과정 file 2017.03.15 최문봉 11661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658
미래 원자력정책 탈원전, 과연 현실적인가 1 file 2017.03.13 최가현 12805
계속되는 소녀상 수난, 대책 서둘어야... 3 file 2017.03.13 박현규 10586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0830
평화를 위한 한 걸음, 평화 기림상 건립 제막식 열려 1 file 2017.03.13 임수종 13039
“탄핵 다음 탈핵이다” 핵 사용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의 나비행진 4 file 2017.03.12 양현진 13479
"PARK OUT" 박근혜 탄핵 해외 반응 2 file 2017.03.12 이태호 14586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1449
기다리던 탄핵 봄이 다가오고 있다. 1 file 2017.03.12 김윤정 10997
2017.03.10. 박근혜 정부는 죽었다 file 2017.03.12 최은희 11740
헌정사상 최초 현직 대통령 박근혜 탄핵! 1 file 2017.03.12 장인범 13218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3 file 2017.03.11 한지선 13013
역사상 첫 대통령 탄핵, 혼란은 이제 끝? 1 file 2017.03.11 김나림 11968
박 前 대통령 탄핵...해외 반응은? 4 file 2017.03.11 정예빈 12937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424
김천은 아직도 [ 김제동과 함께하는 김천 사드반대 촛불집회 200회 ] 2 file 2017.03.11 김재정 14971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 대선은? 1 file 2017.03.10 최예현 13344
대세론과 상승세, 문재인과 안희정의 공약은 무엇일까 4 file 2017.03.09 손유연 13685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8894
끝까지 지켜보아야 할 세월호 인양 2 file 2017.03.07 김하늘 12219
바른정당 광주·전남도당 창당대회 개최 “친박은 배신의 정치인” file 2017.03.07 황예슬 14758
갈피를 잡지 못하는 80조 원의 저출산 대책 4 file 2017.03.07 김규리 15258
꽃은 지지 않습니다, 수요 집회 1 file 2017.03.05 송다원 15067
변화하는 보수만이 살아남는다 file 2017.03.05 이우철 13925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217
김정남 암살, 그 이유는? 북한 이대로 괜찮은가 1 2017.03.02 조영지 16685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4784
‘북극곰의 날’을 아시나요? 2 file 2017.03.01 노태인 15797
우리의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제 17차 촛불 집회 열려 1 file 2017.03.01 안준혁 15762
아카데미, 어리석은 실수로 트럼프의 역습을 맞다 4 file 2017.02.28 박우빈 13932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364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5416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3 file 2017.02.28 조나은 15726
전안법,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2.27 박아영 15721
국민을 분노하게 한 일본의 독도 망언 file 2017.02.27 이지연 15380
성남시청소년 연합회, 다케시마의 날 철회를 위한 규탄 결의 대회 참석 file 2017.02.26 이가현 14375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512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76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