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by 6기이영재기자 posted May 25, 2018 Views 99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20171007_132252948_36AC3CFE-42CB-4158-B394-1F501B10111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영재기자]


요즘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와 관련된 기사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정부가 재건축 시장을 규제하기 위해서 내놨다는 말도 있었다. 그렇다면 안전진단은 무엇이며, 재건축 시장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까? 

재건축은 기존 건물을 허물고 아예 새로운 건물을 짓는 방식이다. 재건축은 관련 현행법상 30년이 넘은 주택이면 추진 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연한만 도래한다고 모든 주택이 재건축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안전진단'이다. 안전진단은 재건축 시행 여부를 판정하는 첫 단계이다. 


재건축 안전진단 제도는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만들어졌다. 무분별한 재건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집값 폭등 현상을 막자는 취지에서였다. 그전에는 지역별로 중구난방이었고, 그마저도 의례적인 일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평가하는 항목은 구조 안정성, 주거환경, 비용 편익 그리고 설비 노후 등 4가지이다. 문제는 이러한 4가지 항목별 배점 비중이 제멋대로였다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구조 안정성 항목을 45%에서 2006년 50%까지 올렸고, 이명박 정부는 2009년 40%로 떨어뜨렸다. 이걸 2015년 박근혜 정부는 20%로 대폭 낮추고, 대신 주거환경 비중을 늘렸다. 이 때문에 2015년 이후 아파트들은 재건축 안전진단을 무리 없이 통과했고, 안전진단 통과 비율이 90%대에 이르렀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재건축 남발과 불안전한 집값을 잡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는 방안이었다. 20%까지 떨어진 구조 안정성의 가중치를 다시 50%로 높이고, 주거환경 비중을 15%로 다시 낮췄다. 앞으로 웬만큼 불편한 정도로는 재건축을 시작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안전진단 강화 방안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은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뉴스나 신문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것도 좋은 경제 공부가 될 것 같다.


P20171012_173816020_DF422BE2-3978-4FFE-B7E0-6A5A1271807F.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영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이영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7기안디모데기자 2018.06.07 02:02
    재건축이 이익을 얻기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건물이 튼튼하기만 하면 재건축 허가를 내주지 않아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1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479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7979
행정안전부 주관, 2017 을지연습 실시 file 2017.08.25 김성연 10035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033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030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027
중국발 미세먼지에 앓는 韓,日 file 2017.03.23 김경미 10027
박근혜 전 대통령 1심 선고, 징역 24년·벌금 180억 원 file 2018.04.19 허나영 10022
스타링크 프로젝트 시작되... 스타링크 위성 60기 발사 성공 file 2019.06.05 김병국 10014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012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0007
기아차 노조 통상임금 소송 승소, 기대와 우려 사이 file 2017.10.10 원종혁 10007
문재인의 번호와 참여정치 2 file 2017.03.22 최우혁 10005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004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003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001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9999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1 2018.05.25 이영재 9994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9986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9985
점점 잊혀져가는 세월호, 광화문에서 마주한 현실 2017.11.28 고은빈 9984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9982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9979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9977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9976
난민법과 무사증 폐지를 촉구하는 시민들..'난민 수용 반대' 청원 70만 돌파 1 file 2018.07.19 김나경 9975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9974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9974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9967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 file 2020.06.26 정미강 9965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9965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9962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9961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9957
文 대통령 , "5·18 민주화 운동 시민 향한 폭격준비설·헬기사격" 관련 특별조사 지시 1 file 2017.08.24 현준이 9955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대북제재결의안 3 2017.09.27 황준엽 9952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9948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9948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9947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9947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9946
변화와 격동 속의 인공지능 시대, 어떻게 해야 할까? file 2019.03.28 조원준 9942
가자! 416노란버스를 타고 김제동과 함께 file 2017.04.18 김하늘 9937
기억해야 할 소녀들 file 2018.12.26 강이슬 9934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9930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9928
[속보] ‘포항 지진' 여파로 수능 연기… 23일 시행 2017.11.15 디지털이슈팀 9927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9927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9925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99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