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by 6기이영재기자 posted May 25, 2018 Views 102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P20171007_132252948_36AC3CFE-42CB-4158-B394-1F501B10111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영재기자]


요즘 재건축 안전진단 강화와 관련된 기사들을 자주 접하게 된다. 정부가 재건축 시장을 규제하기 위해서 내놨다는 말도 있었다. 그렇다면 안전진단은 무엇이며, 재건축 시장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까? 

재건축은 기존 건물을 허물고 아예 새로운 건물을 짓는 방식이다. 재건축은 관련 현행법상 30년이 넘은 주택이면 추진 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연한만 도래한다고 모든 주택이 재건축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안전진단'이다. 안전진단은 재건축 시행 여부를 판정하는 첫 단계이다. 


재건축 안전진단 제도는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만들어졌다. 무분별한 재건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집값 폭등 현상을 막자는 취지에서였다. 그전에는 지역별로 중구난방이었고, 그마저도 의례적인 일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평가하는 항목은 구조 안정성, 주거환경, 비용 편익 그리고 설비 노후 등 4가지이다. 문제는 이러한 4가지 항목별 배점 비중이 제멋대로였다는 것이다. 


노무현 정부는 2003년 구조 안정성 항목을 45%에서 2006년 50%까지 올렸고, 이명박 정부는 2009년 40%로 떨어뜨렸다. 이걸 2015년 박근혜 정부는 20%로 대폭 낮추고, 대신 주거환경 비중을 늘렸다. 이 때문에 2015년 이후 아파트들은 재건축 안전진단을 무리 없이 통과했고, 안전진단 통과 비율이 90%대에 이르렀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문재인 정부는 지난달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정상화' 방안을 발표했다. 재건축 남발과 불안전한 집값을 잡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는 방안이었다. 20%까지 떨어진 구조 안정성의 가중치를 다시 50%로 높이고, 주거환경 비중을 15%로 다시 낮췄다. 앞으로 웬만큼 불편한 정도로는 재건축을 시작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안전진단 강화 방안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은 '현재 진행형'이기 때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뉴스나 신문을 관심 있게 지켜보는 것도 좋은 경제 공부가 될 것 같다.


P20171012_173816020_DF422BE2-3978-4FFE-B7E0-6A5A1271807F.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영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이영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7기안디모데기자 2018.06.07 02:02
    재건축이 이익을 얻기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건물이 튼튼하기만 하면 재건축 허가를 내주지 않아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73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87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7015
저렴한 가격에 교복사고 사랑을 나눠요! 3 file 2015.02.26 김민주 32142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110
재조명되는 여성인권, 청소년들이 말하는 성매매특별법 위헌 file 2016.05.26 류나경 19292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 file 2017.09.19 양현서 11573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1 2018.05.25 이영재 10294
재건축 규제 완화 공약...강남 집값 상승 전환 file 2022.03.28 송경원 9396
재개된 북미 정상회담, 성공적인 개최 가능할까 1 file 2018.06.12 박채영 11010
장애인의 권리, 이제는 함께 지켜줘야 할 때 1 file 2016.03.24 전예린 16237
장애인 복지와 인권, 그 이상과 현실 4 file 2017.02.01 최서영 19895
장미대선 속 장미의 진정한 의미는 '우리의 권리' file 2017.04.25 한우주 12726
장래희망이 유튜버? 4 file 2017.11.20 이유진 13862
장·차관 세비 30%반납에 이어 국회도 반납 릴레이 1 file 2020.03.30 김다인 9196
장 마감 직전 10분 동안 급락한 신풍제약…코로나19 이후 과열된 주식 시장 file 2020.07.31 이민기 14578
잠잠해져가던 코로나19, 다시금 두려움에 떨게하는 에어로졸 전파 6 file 2020.07.31 유지은 22108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10317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발포명령자들 file 2017.05.24 박민서 9551
잘못된 애국심: 분노하는 중국의 젊은이들 file 2021.04.30 민찬욱 8824
잘못된 생각으로 실생활 속 결정에 많은 영향을 주는 생존 편향(Survivorship bias) file 2019.01.25 송지윤 19458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0835
자칭 언론사? 정보화 시대와 우리의 과제 2 file 2015.10.25 김진아 28436
자전거 도로교통법. 과연 안전해졌는가? file 2018.08.27 유태현 14112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013
자유한국당 해산심판 청원 등록...'들끓는 민심' 2 file 2018.05.25 양성민 11244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 "일베해라" "틀딱" 2 file 2017.08.05 한한나 13240
자유한국당 당권 누구 손에? file 2019.02.27 송봉화 11170
자유한국당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 위원 발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안타까운 일···” file 2019.01.21 이진우 9724
자유학기제로 진로 고민 해결? 5 file 2016.04.10 이민정 17012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452
자유 찾아 다시 광장으로 나온 시민들, 국정 대전환을 촉구하다 2 file 2019.10.24 우상효 10903
자사고, 특목고 폐지, 왜 찬반이 갈릴까? 8 2017.07.24 추연종 24821
자사고 폐지 찬반 여론? "학생 없이 교육 없다." file 2017.07.19 한훤 11167
자발이 확보하지 못하는 강제성, 어디서 찾을까? 1 file 2018.02.09 김현재 9899
자동차 자율 주행, 처벌 가능할까? 2 file 2017.02.24 오정윤 15968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324
자극적으로 변하는 상표들, 과연 건강한 언어문화일까? 3 file 2019.04.10 김지현 13696
잊혀지지 않을 참사, 세월호 참사 3주년을 앞두고 되짚어 보는 팽목항의 비극 3 file 2017.03.23 박아영 11971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319
잊지 못할 3년의 시간 2 file 2017.05.07 이예찬 9544
잊을 수 없는 그날의 사고, 세월호 1 2016.04.17 하지희 17521
있지 류진, 튀르키예·시리아 성금 전달...“일상 복귀에 힘 되기를” file 2023.02.15 디지털이슈팀 6563
잇따르는 티베트 분신, 그러나 국제사회는 무관심... file 2018.03.02 박현규 12279
임용고시...교사희망자 불만! 1 file 2017.09.27 배성연 12584
임산부 배려석,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8.08.14 남승연 15099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7951
잃어버린 양심- ‘노-쇼(No-show·예약 부도)’ 8 file 2016.02.25 임선경 17506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9.27 김하늘 11271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131
일주일 또 미뤄진 '등교 개학'...개학 현실화 언제? 7 file 2020.05.12 서은진 163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