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그해 봄은 뜨거웠네

by 6기최시원기자 posted May 23, 2018 Views 105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960년 3마산시의 거리에는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봄이 찾아왔다아직 채 피지 못한 꽃들이 나뭇가지 위에서 조용히 웅크리고 있던 날겨울이 완전히 가시지 않아 약간 쌀쌀한 바람이 불어오던 한적하고 조용한 거리가 총성과 연기그리고 함성으로 뒤덮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1948년 5.10 총선거의 결과로 수립된 제헌 국회의 간접 선거로 선출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강력한 반공 정책을 펼쳐 아시아의 공산 세력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하였다그러나 임기가 진행될수록 그는 반민주적인 정책을 추진하였는데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3선 금지 조항을 초대 대통령에게는 적용하지 말자는 개헌안이 정족수 미달로 부결된 것을 억지로 반올림하여 통과시킨 사사오입 개헌이다.


 3선 금지 조항의 무력화로 이승만은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상대측 후보의 급사로 별다른 방해 없이 당선된다총 12년간의 임기가 마무리된 이후에도 권력을 향한 그의 욕심은 계속되어서,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공교롭게도 이번에도 상대측 후보 조병옥이 사망하여 이승만의 당선은 확실시되었다그러나 고령인 이승만은 유사시 대통령직을 승계하는 부통령까지 자신이 결정하고자 했고자신이 지목한 이기붕을 부통령에 당선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부정을 저질렀다선거 유세 방해는 물론이고부정 투표와 투표함 바꿔치기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었다이에 전국 각지의 국민들은 부정 선거에 항의하고자 거리로 나섰고그중에서 사태가 가장 악화된 곳이 바로 마산이었다.

 훗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집권에 항거한 부마 민주항쟁(1979)의 근원지로도 유명한 마산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규모 가두시위가 일어났고이들을 향한 경찰관의 발포로 사망자가 발생하였다사망자 발생 이후 시위는 더욱 격화되었으나부정 시위를 주도한 내무부 장관의 사임으로 사태는 잠시 진정되었다하지만 이는 오래가지 못했다마산 고등학생 김주열 군이 한쪽 눈구멍에 최루탄이 박혀있는 참혹한 시신이 되어 마산 앞바다에 떠오른 것이다김주열 군의 시신이 발견된 이후 시위는 전국으로 퍼졌다.


ssd.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최시원기자]


 이승만 정권은 시위대를 폭력으로 맞이했다. 4월 18일에 시위 참여 후 귀교하던 고려대 학생들이 정권의 사주를 받은 깡패들에게 습격당했고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발포했다. 4월 19일에는 비상 계엄령까지 선포되었다민중은 더는 인내하지 않았다계엄 선포 당일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들은 김주열 학생 피살 사건에 대한 분노와 당시 정치 상황을 비판하는 선언문을 배포하며 봉기했다. 4.19 혁명이 시작된 것이다다음은 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의 4.19 선언문 중 일부이다.


나이 어린 학생 김주열의 참혹한 시신을 보라그것은 가식 없는 전제주의 전횡의 발가벗은 나상밖에 아무것도 아니다저들을 보라비굴하게도 위하(위협)와 폭력으로써 우리들을 대하려 한다. (중략보라우리는 캄캄한 밤의 침묵에 자유의 종을 난타하는 타수의 일익임을 자랑한다일제의 철퇴하에 미칠 듯 자유를 환호한 나의 아버지 형제들과 같이 양심은 부끄럽지 않다외롭지도 않다.”


 비록 짧은 글이지만글 내면에 담긴 분노와 떳떳함을 느낄 수 있다이외에도 많은 학교가 시위에 참여했다중앙대학교에서는 의에 죽고 참에 살자라는 구호를 외치며 가두행진에 나섰고이날 실제로 사용된 플래카드가 중앙대학교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대학 교수단들은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시민들 역시 학생들이 거리에서 시위하는 것을 방관하지 않았다독재 정권을 향한 민중의 분노는 강렬했다계엄령 선포로부터 하루가 채 지나기 전에전국의 모든 도시는 시위대로 가득했다그리고 이들을 진압하라는 명령을 받은 군부는 전차와 다수의 무장한 보병들을 거리에 투입하였지만초등학생까지 섞인 시위대와 조우하자 진압을 포기했다결국, 이승만 대통령은 시위대 대표단과 면담한 뒤 하야 성명을 발표한다. 1960년 4월 26일의 일이다.


 그 날의 거리에 있었던 많은 이들이 오래전에 마지막 숨을 내쉬었지만그들의 정신은 여전히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 4.19 혁명은 장구한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최초로 국민들이 공화정을 타파한 사건이고그 의의는 분명히 깊다. “민주주의는 애국자의 피를 먹고 자란다.”라는 유명한 격언이 있다어느 해보다 뜨거웠던 그해 봄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수많은 열사가 피를 뿌렸고그들의 희생으로 우리는 자유로운 민주 공화국에서 살 권리를 얻었다이러한 지난 세기 우리의 역사는 불변의 진리 한 가지를 알려주고 있다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기꺼이 피를 흘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더 나은 미래를 얻기 위해 때로는 피를 흘려야 하는 법이다총구 앞에서도 두려워하지 않았던 선조들의 용기와 희생정신을 본받아, 더욱 나은 세상을 만들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기 최시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48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4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702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556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557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559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561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562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568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569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570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574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575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579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580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585
아직도 갈 길이 먼 시리아 난민 문제 file 2019.05.27 백지수 10587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593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604
불법 신상 유포 웹사이트 발목 잡는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file 2020.10.26 나영빈 10612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613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615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616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621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621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623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624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626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629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를 위해 혁신하다 file 2019.05.22 박수혁 10629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638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646
4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작년 촛불시위와 비교해봤을 때⋯ file 2018.08.13 김진진 10648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649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654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0655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656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658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0665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666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666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667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10667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0667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668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0670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672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676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676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677
여름철을 맞아 횡단보도 그늘 쉼터를 마련한 정자동 주민센터 1 file 2017.07.18 박소윤 106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