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by 6기김하영기자 posted May 02, 2018 Views 102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분단 73주년 한반도, 1945, 일본 패전으로 광복을 맞이하였지만 같은 해에 38도 선을 경계로 남측은 미국이, 북측은 소련에 의해 통치되면서 1948, 510.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및 남한 단독 총선거가 시행되었다. 그로부터 2년 뒤인 1950625, 북한이 암호명 ‘폭풍’으로 남한을 침입, 6·25전쟁이 발발하였다. 장기화한 한국 전쟁에 19537월부터 미국 주도의 휴전협상(정전 협상)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분단을 상징하는 판문점에서 오늘(27), 남북한 정상 회담이 시행되었다. 최근까지 북측의 핵 도발로 긴장감이 지속하던 한반도에 불어온 봄바람에 국내는 물론, 국제까지 이번 남북한 정상 회담을 주시하고 있다. 한편, 종전과 급진적 평화 통일을 외치는 사람이 있지만 려의 목소리 또한 커지고 있다. 2008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에서 실시한 국민 통일의식 여론조사에 따르면 통일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응답이 68.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통일은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14.9%), 통일보다는 현재가 낫다(10.8%), 통일은 불가능하다(5.9%) 순으로 높게 나타나, 남북통일에 대한 긍정적 견해(83.3%: 하루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가 부정적 견해(16.7%: 통일보다는 현재 대로가 낫다 + 통일은 불가능하다)보다 +66.6% p 더 높게 조사되었다.

하면 점진적이든, 또는 급진적이든 우리가 통일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지금까지 접수된 이산가족 신청자 수는 131,456(명)으로, 해마다 늘어나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망자 수 역시 신청자 수의 절반을 차지한다. 즉, 평생을 북에 있는 가족을 그리워하다 눈을 감는 이산가족이 우리 사회에 많이 있다는 뜻이다. 

o 대상 : ‘88 ~ ’18.3.31 신청인 등록 분 전체 131,531


구분
신청자
생존자
사망자
전월 대비
75 증가
341 감소
416 증가
`88~현재
131,531
57,920
73,611
`88~전월
131,456
58,261
73,195

 
◇ 생존자 현황
 
① 연령별


구분
90세 이상
89-80
79-70
69-60
59세 이하

인원수()
13,167
24,031
12,771
4,517
3,434
57,920
비율(%)
22.7
41.5
22.1
7.8
5.9
100


  사망자 현황


구분
90세 이상
89-80
79-70
69-60
59세 이하

인원수()
16,185
33,496
18,644
4,398
888
73,611
비율(%)
22.0
45.5
25.3
6.0
1.2
100

[이미지 제공=이산가족정보 통합 시스템] 이산가등록 현황('18.3.31. 현재)

따라서 이러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통일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통일을 반대하는 일부 여론의 대부분 이유 중 경제적인 부담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실제로 통일 시 지출되는 비용은 연평균 기준 4,600()로 계산된다. 하나, 북한의 지하자원, 특히 희토류의 가치와 개성과 평양, 백두산 같은 관광자원, 북한의 노동력 등으로 통일로 인한 경제적 편익은 약 14,400()으로 예측된다. 또한, 매해 남한은 33조(원), 약 1.3%. 북한은 1조(원), 약 4.86%를 군병력 충당 비용으로 지출하고 있다. 이는 여타 선진국들이 0.5% 이하를 유지하는 것과 비교하면 막대한 손해를 보고 있다는 얘기이다. 

그뿐만 아니라 외교비, 이념, 통일교육, 대북 관련 기관 유지 비용, 통일 정책 관련 정부 행정 비용을 전부 계산한다면 과연 통일 비용이 염려된다 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든다. 통일이 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분단 비용은 무기한적으로 지출될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통일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바로  관용과 포용, 존중의 자세이다. 오랜 시간 분단으로 인해 발생한 문화적, 경제적 차이와 이념적 갈등을 해소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마음을 합치고 의지를 모아 나가면 우리가 잃어버린 11년이 아깝지 않게 좋게 나가지 않나"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모두발언처럼 남과 북이 서로 애민하고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면한반도는 비로소 만세를 외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김하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8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69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899
[현장취재]25개국 90가지 음식을 맛볼수 있는 행사, '제 7회 성북세계음식축제' 2 file 2015.05.17 박성은 24369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390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4402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4567
자사고, 특목고 폐지, 왜 찬반이 갈릴까? 8 2017.07.24 추연종 24594
'촛불 vs 태극기' 정월 대보름의 탄핵찬반집회 1 file 2017.02.13 김태헌 24708
아동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 1 file 2015.07.21 김종담 24723
北, 탄도미사일 발사...동해바다 향해 500km 비행 file 2017.02.15 박천진 24787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4799
'수행평가로 학생평가' …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6.04.20 서예은 24829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4995
점점 불편해지는 교복, 이대로 괜찮을까? 5 file 2019.02.07 고유진 25021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054
김해 중앙 병원 화재, 50대 남성 1명 숨져 file 2015.08.23 정영우 25226
[현장취재] 재계 농단, 블랙리스트에 뿔난 촛불민심, 강추위에도 여전히 불타올라 12 file 2017.01.15 김동언 25309
'SNS'라는 가면 1 file 2019.03.05 김성철 25353
[단독] 국내 유명 청소년단체 사칭하는 ‘대한민국청소년협회’ SNS서 활개쳐..네티즌 피해 주의해야 file 2018.02.27 디지털이슈팀 25371
[단독]탈핵을 위한 청소년들의 9박 10일간의 일주, 성공리에 마쳐 2 file 2015.04.30 김종담 25413
국가보훈처, 제4회 애국가 부르기 UCC 공모전 개최 file 2015.09.09 온라인뉴스팀 25422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5472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489
국경일 태극기 게양실태가 심각하다 5 file 2016.03.17 신수빈 25586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5638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5667
소녀의 눈물은 아직 마르지 않았다 5 file 2017.02.18 정예진 25841
[단독]대구황산테러사건 '태완이법' 4월 임시국회 통과 불발 1 file 2015.05.06 김종담 25862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5872
한일 위안부 협의, 그 후.. 13 file 2016.02.21 안성미 26190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311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397
영화관 음식물 반입 제한, 과연 어디까지? 9 file 2017.02.06 서주현 26402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509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589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1 file 2015.02.26 신정은 26658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6986
[현장취재] 고등학생, 미래를 거닐다. 2015 YDMC 전공탐색의 날 열려...... 1 file 2015.02.07 최재원 27002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080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217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379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7439
못 다 핀 한 떨기의 꽃이 되다, '위안'부 8 2016.02.24 송채연 27571
1020 정치참여, '젊은 정치' 가능할까? 10 file 2017.02.11 최은지 27848
선진국의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해결 방안 2017.10.02 임승현 27869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1 file 2018.02.07 이형섭 27973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140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8211
자칭 언론사? 정보화 시대와 우리의 과제 2 file 2015.10.25 김진아 28290
피스가드너,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제1266회 수요시위를 찾다. 8 file 2017.01.19 이민지 285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