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할랄 그리고 경제

by 6기조찬미기자 posted Apr 24, 2018 Views 104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할랄은 말레이시아의 음식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표시로써, 이 표시로 인증된 식품이냐 아니냐에 따라 매출이 달라진다.

할랄이란, 이슬람교도가 먹을 수 있도록 허용된 음식으로, 주로 육류로는 쇠고기, 닭고기, 양고기 등과 어패류, 채소, 과일이 있다. 반대로 먹을 수 없는 금기 음식을 하람이라고 하며, 잔인하게 도살된 후 만든 음식과 돼지, 술, 마약 등이다.

이러한 이유로 음식과 관련된 율법으로 이슬람교도에게 민감한 주제이다. 세계 인구의 4분의 1이 이슬람교도기 때문이다. 사실 할랄 인증을 받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것이 가능하나 무엇보다 믿고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이슬람교도는 할랄 인증받은 제품을 사려고 노력한다. 

오늘날, 18억 이슬람교도의 음식문화를 받아들이고 어느 나라의 음식점에서는 할랄 인증을 받으려는 노력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맥도날드, 버거킹의 햄버거가 할랄인증을 받았고 한국에서는 삼양, 신세계푸드의 라면이 인증받았는데, 이러한 인증받은 음식점은 한국 이태원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할랄 인증은 한국에서는 한국 할랄 인증원에서 책임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할랄은 음식뿐만 아니라 화장품, 의약품, 미용, 관광 등까지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세계는 이슬람교도를 위한 제품, 상품을 지속해서 만들고 있다. 예를 들어 호텔에서 이슬람 기도실뿐만 아니라 운영자, 조리사가 이슬람교도이고, 제공하는 음식 전체를 할랄 음식으로 판매하며 술은 팔지 않는다. 또 수영장도 남자 여자가 구분되어 있다. 

할랄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심사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음식 자체와 음식을 만드는 과정 그리고 가공, 포장도 심사기준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축의 머리를 자를 때 메카 방향으로 향해서 동맥을 끊어야 하며 자르기 전 '알라의 이름'이라 기도하고 자른다.

특히 말레이시아는 할랄 사업에 적극적인 나라 중 하나로 할랄 산업 개발 공사에 따로 배치되어 동남아시아에서 중동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나라가 되었다.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말레이시아 국제 할랄 시사회를 개최하고 할랄을 홍보하고 각 나라의 할랄 제품을 선보이는 자리가 되었다. 이에 한국도 참여하였다. 

할랄 표시는 나라마다 할랄 인증 마크가 다르지만, 아랍어로 할랄이라는 문자는 공통적이며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의 인증 마크가 다르다. 현재 대한민국은 할랄 인증을 받기 위해 더 노력하고 있다. 할랄 인증을 늦게 시작한 만큼 이에 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더욱이 수출 의존도가 높은 대한민국에게 할랄은 수출하는 데에 필수 요소가 되었다. 계속 늘어나는 이슬람 관광객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할랄.jpg

말레이시아 할랄 인증표시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조찬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조찬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327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14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4734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231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7423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13861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297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5403
더민주, 한국당, 국민, 바른 여의도 4당의 운명은? 1 file 2017.12.26 전보건 16435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132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242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274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7735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0651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6506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16212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2640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124
대한민국의 흐린 하늘을 만드는 주범, 미세먼지 2 file 2018.05.24 노채은 10212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0780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253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370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6665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136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대통령의 탄생. file 2017.05.12 김수연 10847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313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5506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408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7358
대한민국도 흔들린다 - 공포에 휩싸인 한반도, 더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 file 2018.01.08 고은경 10980
대한민국, 일본 계속 되는 무역전쟁 우리가 받는 피해만 있을까? file 2019.08.20 정예람 14951
대한민국, 생명보다 성적? file 2017.12.04 전세연 10946
대한민국 제 20대 총선이 불어온 변화의 폭풍 3 file 2016.04.17 진형준 16241
대한민국 정부 핀란드에 방역 노하우 전하다 file 2020.04.27 신동민 8275
대한민국 인구의 충격, 놓쳐버린 골든타임 3 file 2015.08.24 김동욱 40781
대한민국 시민, 진정한 민주주의를 행하다 1 file 2016.11.25 전지우 15904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214
대한민국 국민... 광화문에서 대통합하다? 3 file 2016.11.25 김예지 17737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290
대한민국 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1 file 2018.07.13 강민지 12253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090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047
대학원 조교들의 현실 2 file 2017.03.22 최동준 13339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6 file 2017.03.23 박민서 15242
대통령의 경제공약, 어디까지 왔는가 file 2019.05.22 김의성 12080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1528
대통령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안양 범계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선거운동 벌여 file 2017.05.01 정유리 11560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2653
대책위 보성-서울 도보순례, 광주지역에서도 백남기 농민 쾌유 빌어 13 file 2016.02.17 박하연 19479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439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1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