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오늘날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투 운동의 시작점은?

by 6기최시원기자 posted Apr 16, 2018 Views 1045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952년 3월 19뉴욕 시 퀸즈 카운티(Queens County)의 보석 세공사 맥스 와인스틴과 그의 부인 미리암 와인스틴 사이에서 한 사내아이가 태어났다수년 뒤에는 아이의 동생이 태어났고둘은 함께 성장하며 영화인의 길을 걷는다형제는 1979년에 어머니의 이름을 딴 영화 제작 및 배급사인 미라맥스(Miramax)를 설립했고, ‘펄프 픽션’(1994), ‘굿 윌 헌팅’(1998), ‘시카고(2002) 등 역사에 길이 남을 명작들을 제작하며 명성을 드높였다. 21세기에 들어서도 형제의 회사는 장고분노의 추격자(2012)‘, ’킹스 스피치(2011)‘ 등을 제작 또는 배급하며 성장을 거듭했다이러한 성공에 힘입어형제 중 형은 2012년 타임스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에 선정되기에 이르렀다저예산 삼류 영화들을 배급하던 무명의 회사를 아카데미상 제조기라는 영광스러운 별명을 가진 영화계 굴지의 회사로 만들어낸 신화의 주인공그가 바로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성추문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하비 와인스틴이다.


METOO.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최시원기자]


 2017년 10월 5뉴욕 타임스는 하비 와인스틴이 197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수십 차례에 걸쳐 배우회사 직원모델 등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는 여성들을 성추행했다고 보도했다보도가 나올 당시 피해자의 수는 십여 명으로 추정되었으나, 10월 21일에는 50여 명으로 증가했고 28일에는 82명이 피해 사실을 주장했다피해자의 수는 계속 늘어서현재는 100명 이상의 피해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의 유명 여배우인 기네스 팰트로는 영화 엠마를 촬영할 당시 와인스틴의 호텔 방으로 불려가 부적절한 제안을 받았다고 고백했고, 앤젤리나 졸리 또한 영화 라스트 타임에 출연할 당시 그의 호텔 방에서 추행을 당했다고 말했다그의 범죄는 미국인들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었다프랑스의 배우 레아 세이두는 영화 배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난 자리에서 그에게 강제적으로 키스를 당했다고 주장했다이외에도 수많은 이들이 용기를 내어 그의 범죄를 고발하자네티즌들은 와인스틴을 비판하고 고발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해시태그 #Metoo를 다는 해시태그 운동을 시작했다오늘날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투 운동의 시작이다.


 이렇게 미국에서 시작된 미투 운동은 지난 2018년 1월 30일 창원지방검찰청 소속 서지현 검사가 검찰 인트라넷인 E-Pros에 나는 소망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JTBC 뉴스룸에 출연하여 성추행 사실을 고백함으로써 대한민국에서도 시작되었다자신이 가진 힘을 방패 삼아 타인의 성을 휘두른 권력자에 대한 대중의 고발이 시작된 것이다SNS, 대자보언론 등 고발의 수단은 다양했고고발의 대상 역시 다양했다유명 시인촉망받는 정치인연기자대학교수한없이 고결할 것만 같던 이들의 본성은 한없이 추악했다. 현재까지 공개된 가해자들의 명단과 그들이 저지른 범죄의 심각성을 고려하면, 미투 운동은 타락한 사회의 암적인 부분을 도려내는 수술칼로써 기능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우려해야 할 점이 있다바로 미투 운동이 무고한 이를 공격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서정범 교수 성폭행 루머 사건을 떠올려 보자. 2006년 당시 경희대학교 총여학생회는 해당 대학 국문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서정범 교수가 무속인에게 성폭력을 가했다고 주장하며보도자료 배포와 기자회견 개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서정범 교수를 공격했다총여학생회의 비난으로 여론이 악화하자 경희대학교는 검찰의 수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서 교수를 직위 해제했다그러나 검찰의 수사 결과 드러난 진실은 무속인의 자작극이었다서정범 교수가 평소 자신을 무시하는 것 같아 평판을 실추시킬 심산으로 허위 신고를 했다는 것이다서 교수의 무죄가 입증되자 경희대학교는 그에게 교단으로 복귀할 것을 요청하였으나교수는 이에 응하지 않았고 2년 뒤 자신의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


 위 사건은 우리에게 간단한 사실 하나를 시사한다성폭력 피해자를 가장한 프로파간다에 대중의 이성은 쉽게 마비되며이를 방지하거나 피해자를 구제할 마땅한 방안이 없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여기에 더해서 미투 운동은 폭로전이라는 본질로 인하여 무고한 피해자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크다타인을 의도적으로 비방하려는 불순한 의도를 가진 소수의 사람이 사회 전체를 돌이킬 수 없는 혼돈의 구렁텅이로 빠트릴 수 있다니체는 괴물과 싸우는 자는 그 자신이 괴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성범죄자들은 마땅한 벌을 받아야 하겠지만동시에 마녀사냥이 이 땅 위에서 다시 재현되어서도 안 된다미투 운동이라는 통해 우리 사회가 보다 건전하고 청렴하게 거듭나기를 희망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기 최시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515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30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6269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3639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170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4988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460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508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191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376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9694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4809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6424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5778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9898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1733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587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212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3749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469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175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012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316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134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8697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242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148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2750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0563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0870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1439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4774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3743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154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1711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091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8585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0938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222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084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312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104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301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211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1897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449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4605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7815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469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345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