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MARVEL과 D.C 코믹스, 무엇이 다른가?

by 6기도예준기자 posted Apr 06, 2018 Views 168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14일 기대와 우려 속에 MARVEL18번째 작품인 블랙팬서가 개봉했다. 작년 1115일에 개봉한 라이벌 D.C 코믹스의 저스티스리그가 실망을 안겨주며 혹평을 받아 많은 시선들이 블랙팬서에 집중되었는데, 역시나 MARVEL은 이번에도 뛰어난 작품성과 설득력으로 큰 호평을 받고 있다. 또한 블랙팬서는 개봉 7일 만에 35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이쯤 되면 히어로 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왜 D.C 코믹스의 작품은 번번이 흥행에 실패하고 MARVEL은 매번 흥행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그래서 지금부터 MARVEL의 영화와 D.C 코믹스의 차이를 분석해 보겠다.

fab2cadb34a410e138f77fa39c78ca1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도예준기자]



1. 현실감의 차이

 

MARVEL의 아이언맨은 말리부 해변에, 앤트맨은 샌프란시스코에, 캡틴아메리카는 워싱턴 D.C, 어벤져스는 주로 뉴욕에서 활동하며 거주한다. 이는 각 캐릭터들의 배경과 고유한 색깔을 일일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대변할 수 있는 장소로 그 의미를 대신한다. 또한 관객들에게 익숙한 실제 장소들을 바탕으로 한 점은 비현실적인 히어로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들로 하여금 실제로 일어날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한다. 바로 이 점이 영화의 설득력을 높인다.

반면 D.C 코믹스의 배트맨은 가상의 도시 고담시에, 슈퍼맨은 캔자스와 가상의 도시 메트로폴리스에서 주로 활동하며 거주한다. 하지만 D.C 코믹스의 영화에서는 메트로폴리스나 고담시를 대변하는 색깔과 특징을 나타내는 장면이나 설명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메트로폴리스는 단지 조드 장군과 슈퍼맨이 결투를 벌이는 장소로만 활용되었다.

영화의 원작 코믹스에서는 이들의 장소들을 캐릭터의 정체성에 효과적으로 대변시켰지만 영화에는 그것을 담아내지 못하였다. 가상세계의 설정과 장소의 색깔이나 특징을 자세히 나타내지 않은 것은 관객들에게 비현실감을 안겨주고, 이는 캐릭터와 이야기에도 비현실감을 느끼게 하여 관객들과의 거리를 멀어지게 한다.

   

                                                                                      

2. 공유된 시간의 개념

 

MARVEL영화의 인트로 부분에는 대다수가 년도를 나타내며 시작할까? 년도는 영화상에서 가상의 역사를 만들고, 그것으로 인하여 캐릭터들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오작교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비록 히어로들이 같은 공간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년도는 이들을 하나로 묶어준다. 예를 들어 어벤져스의 토르가 없었다면 토르의 아버지인 오딘도 등장하지 않았을 것이고, 그렇다면 큐브가 지구로 떨어질 일도 없을 것이고, 그 큐브의 힘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하이드라조직도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하이드라조직이 없었다면 이 조직에 맞서기 위해 만들어진 캡틴아메리카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처럼 마블의 스토리 구성력은 굉장히 탄탄하고 완벽하다.

하지만 D.C 코믹스는 전혀 그렇지 않다. D.C 코믹스의 영화에서는 사건의 년도가 직접적으로 명시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그 시점들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D.C 코믹스의 영화들은 하나의 연대기 속에서 사건과 사건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으며 이는 관객들에게 하여금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시간과 공간의 조합으로 이유가 만들어지고, 그 이유가 사실감을 형성하여 캐릭터와 스토리에 설득력을 더해주지만 D.C 코믹스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지않고 있다.

 

   

                                                                          

3. 히어로장르의 특성

 

흔한 히어로 장르는 힘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히어로와 악당들의 힘의 중폭으로 스토리가 전개된다. 악당을 물리치면 더 강한 악당이 등장하고 그렇다면 히어로들도 더 강해져야 하는 스토리의 구성이다.

하지만 MARVEL은 이러한 히어로 장르의 틀을 벗어났다. MARVEL은 히어로들의 힘의 중폭으로 인한 외적인 성장이 아닌, 힘의 부재로 인한 내적인 성장을 중심적으로 나타냈다. 영화 ‘캡틴아메리카 - 시빌 워에서는 캡틴아메리카가 자신의 힘과 상징을 나타내는 방패를 토니 스타크에게 주었고, 윈터 솔져는 강철 팔이 잘려 나갔다. 또한 영화 토르 - 라그나로크에서는 토르의 망치가 부서지고, 영화 스파이더맨 홈커밍에서는 스파이더맨이 토니 스타크로부터 슈트를 빼앗기게 된다.

이렇듯 MARVEL은 어느 사건들을 통해 히어로들이 새로운 변화로 이어지는 내적인 성장이야기를 추구한다.

반면 D.C 코믹스는 단순히 '힘' 중심이다. 영화에서는 힘만 쎈 악당이 등장하고 그 악당을 물리치기 위하여 각성 등을 통해 힘으로 물리친다. 단지 힘의 우열 가리기이다. 이는 관객들이 느끼기에 유치하고 따분하게 다가올 수 있다.


e9d353ca9e9164beeca51ca3e2213435.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도예준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도예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8467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226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1969
애드블록, 소비자의 권리 보호인가 웹사이트의 권리 침해인가 1 file 2016.09.25 유한나 16988
마음이 편안해지는 책, '용기를 잃지 말고 힘내요' 1 file 2019.02.26 김세린 16985
2월14일 발렌타인데이보다는 안중근의사를 기억하자!! 15 file 2017.02.14 주건 16985
수용소에서 자란 우정, 그리고 전쟁범죄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1 file 2019.02.26 이태권 16983
4월 유성우 못 봤어... 5월 유성우 기다려 5 file 2020.04.27 김지현 16981
소통과 윤리의식이 필요한 4차 혁명 속 유망한 직업,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file 2017.08.09 박서영 16975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6962
한국인의 '벙어리 영어', 그 시발점은 어디인가 1 file 2017.07.25 신유정 16961
지금 한국은 스페인 열풍 1 file 2019.01.16 전예진 16958
2016 서울 환경영화제(5.6~5.12) 진짜 자연인들이 왔다 file 2016.05.10 이민구 16957
제2회 소리영어(LEFA) 영어 말하기 대회 개최 1 file 2017.04.08 오소현 16956
우리들의 생활 속 AI · IoT file 2020.11.13 정시언 16955
이주 노동자 노동착취로 개최될 2022 카타르 월드컵 file 2016.10.24 노태인 16954
소아암 환아들에게 자신감을 기부해주세요. 7 file 2017.03.02 박미소 16946
광주, 3.1절 100주년 기념행사 '그날의 함성이 울려퍼지다' 1 file 2019.03.06 조햇살 16942
붉은 악마들, 부산에서 15년 만에 일어서다! 1 file 2019.06.11 김나연 16939
얼음이 녹자 드러나는 살인의 비밀, <해빙> file 2017.03.18 이경하 16938
달콤한 디저트들이 가득한 [쁘띠북팔코믹스페스티벌:졸업전] 5 file 2016.03.04 오지은 16937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어플은 무엇이 있을까? file 2017.05.15 박소연 16932
전 세계인의 축구 축제, EPL의 개막 file 2018.09.17 최용준 16931
부천시 석왕사 연등축제 성료 file 2016.05.28 백재원 16931
걷기의 시작, 트렌드의 시작, 건강의 시작 2 file 2016.10.23 김가흔 16931
제주 설화, 설문대 할망말고 더 있다? file 2016.07.25 박정선 16926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6925
<피터 래빗(2018)>을 보기 전에 보면 좋은 관점 포인트 3가지 1 file 2018.05.18 김서현 16924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6924
실제 같은 화학 실험 "BEAKER" file 2017.07.26 전제석 16922
<영화 칼럼> 영화 읽어주는 고양이 첫 번째 이야기: 리틀 포레스트 2 file 2018.05.24 남연우 16912
SNS로 유행하는 평창 롱패딩, 그 이유와 문제점은? file 2017.12.26 김진모 16910
과천시, 미세먼지 대응 시민실천 수칙 선포식 열어 file 2017.05.25 공혜은 16908
인생에서 사랑을 빼면 무엇이 남습니까? file 2018.04.02 최윤이 16905
하반기 개봉영화 미리보기 1 file 2016.07.24 손지환 16899
제5회 KSCY 한국청소년학술대회에 다녀오다. file 2016.04.24 황지혜 16896
소셜테이너의 방송출연, 과연 문제일까? file 2016.06.25 양소정 16892
대전시 유성구에서 청소년을 위한 '나Be 한마당' 열려 file 2017.09.18 신동경 16891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6890
덴마크식 정치실험, 이종걸, 정병국, 박지원 의원과 협치를 논하다 file 2017.09.28 김정환 16890
<‘나의 꿈을 향한 기지개’, 2017 구미시 청소년 어울림마당> file 2017.05.25 강세윤 16883
후쿠오카, 그곳은 어디인가? file 2019.04.29 배경민 16878
비상벨 울려도 모두 수업만......안전불감증 심각 2 file 2017.04.25 정무의 16878
피로 회복, 포천 허브아일랜드에서 만끽하세요! 1 file 2016.04.25 김은비 16878
모두가 차별받지 않는 세상을 위한 한 걸음, 성별 인칭대명사(Gender Pronouns) file 2021.10.05 홍소민 16877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6876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다! - GLFY 2017 4 file 2017.02.09 이상윤 16875
팬들의 마음에 불을 지핀 세븐틴의 온라인 콘서트 file 2021.01.27 김민결 16871
변질된 페미니즘, 그리고 페미니즘 의무교육 3 file 2018.04.02 김민서 16871
추리소설의 기적,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3 file 2018.02.27 이예준 16865
현대엘리베이터, 경기·충남·강원 중고생 23명에게 장학금 수여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68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