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by 6기윤보석기자 posted Mar 27, 2018 Views 113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6352284283_7371e0c32d_o (1).jpg

[이미지 제공=국방부 국방갤러리,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CC BY-NC-SA)]

올해 1월부터 국방부는 병 봉급 인상을 결정하여 실시하였고 이에 병사들은 인상봉급으로 다양한 활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홍보원이 발행하는 국방일보는 ‘87.8% 오른 봉급여윳돈 사용처는?' 주제로 별별랭킹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1월 23일부터 지난 18일까지 27일 동안 국방망을 통해 진행된 설문조사에는 총 1310명의 병사가 참가했다.

 

설문 조사 결과 1300명 중 766(58.5%)이 오른 봉급을 적금에 넣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가족친구전우에게 선물이 200(15.3%)와 부모님 동생 용돈 70(5.3%) 등으로 나타났다.

 

왜 이토록 많은 병사들이 적금을 드는 걸까?

 

적금을 드는 이유를 살펴보면전체의 1/3에 달하는 243(31.7%)이 전역 후 여행자금 마련이라 답했다이어 사회복귀를 위한 여유자금 마련 155(20.2%), 와 자취비용 155(15%), 부모님 여행비용 93(12.1%) 등의 순으로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육군27사단 포병연대 하인덕 일병은 "급여 상승분으로는 책을 사서 독서를 하거나 운동할 때 도움이 되는 단백질 보충제를 산다는 용사들과 군 적금에 가입해 나중에 제대 후 여행비용이나 학비로 사용한다는 동기도 있었다군대에서 받는 급여는 사회에서 일할 때 받는 금액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긴 하지만용사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교에 다니는 과정에서 따로 아르바이트를 하지 않았다면 자신이 직접 처음 버는 돈이기에 특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라고 국방일보 독자마당에 작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공군38전투비행전대(38전대)는 22일 올해 봉급이 인상된 병사들의 올바른 금융지식과 투자 가치관을 길러주기 위한 금융경제교육을 실시했다이날 38전대는 병사들이 늘어난 급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신용등급과 신용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바람직한 저축 및 투자 방법을 소개했다교육에 참여한38전대 정세열 상병은 전역 후 사회 초년생이 되는데오늘 교육을 통해 올바른 경제 지식을 배울 수 있어 유익했다며 특히 최근 화제가 됐던 가상화폐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처럼 여러 방면에서 병 봉급 인상에 옹호하고 있는 입장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 윤보석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721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48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8129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0765
교칙, 학생 자유 침해 92.6%···인권위, 학생 인권 증진 권고 1 file 2018.03.02 이형섭 15831
잇따르는 티베트 분신, 그러나 국제사회는 무관심... file 2018.03.02 박현규 12189
#Me too, 당신은 혼자가 아니며 우리는 함께 연대할 것 2018.03.05 최은준 10784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1953
끔찍했던 학교폭력...2018년은 어떨까? 1 file 2018.03.05 진현용 13402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366
이시종 충북지사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 거리 활성화될 것” file 2018.03.06 허기범 11830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194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국민들에게 희로애락을 안겨주다. 2 file 2018.03.06 최다영 9981
4차 산업혁명을 향한 중국의 도약, 우리나라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3.07 김명진 11069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1759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9917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3630
美 트럼프 대통령 대북제재 사상 최대 규모, 어디까지 가나 file 2018.03.12 이지민 9784
소방관들의 처우, 그들이 마주한 현실 6 2018.03.14 성채영 11699
서울 M 중학교 교사, 그동안 학생들 상대로 상습적인 성추행 일삼아·· 5 file 2018.03.15 허기범 11031
‘사형 선고’ 이영학, 판결불복 항소에 이어 재판부에 반성문 제출 1 file 2018.03.20 이정은 10927
안희정, 국민에게 사과 … 피해자에게는? file 2018.03.22 박소현 12237
MB 21시간의 조사…결국 구속영장 청구 file 2018.03.22 허나영 9544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172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0752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612
미투운동, 변질되다? file 2018.03.26 마하경 13353
연극계에 이어 교육계도, 연이어 나타나는 미투 폭로 2 file 2018.03.26 조유나 12377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1365
과연 한반도의 봄은 다가올 것인가? file 2018.03.27 이지훈 10957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019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279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380
靑, 토지공개념... 찬반여론 팽팽히 맞서 2 file 2018.03.30 이종훈 11726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대책과 토지공개념 도입 file 2018.03.30 신유진 10889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10120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084
미투운동의 딜레마 file 2018.04.04 정유민 11780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9592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0962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328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1997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265
패류독소의 확산, 어민·소비자 모두 “빨간불” file 2018.04.10 이예은 15306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1959
"가히 무술옥사(戊戌獄事)", 이명박 4대 혐의 반박 2018.04.12 김예준 11219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 소년법 2 2018.04.16 성채영 11440
“남자가 그럴 수 있지”, 피해자 가슴에 비수 꽂는 한마디 file 2018.04.16 김고은 13644
독도를 향한 그들만의 외침 file 2018.04.16 최운비 11623
오늘날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투 운동의 시작점은? 2018.04.16 최시원 10483
세월호 4주기, 청소년과 교사 함께한 도보 행진 file 2018.04.17 이형섭 9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