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등교 새로운 시작

by dbekbwn posted Sep 24, 2014 Views 187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시등교 새로운 시작


현재 경기도 대부분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9시등교'는 지난 6월 의정부 여중 3학년생들이 사회수업 토론시간 중 만든 정책으로, 의정부 여중이 교육감에게 이 정책의 도입을 제안했다.

의정부 여중은 학부모, 교직원, 학생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찬성의견이 학생 70.9%, 학부모  66.7%, 교직원 74.5% 를 기록해 25일 도내학교 중 최초로 9시등교를 실시했다. 그리고 의정부여중을 시작으로 경기도교육청이 9월 1일부터 전면적으로 '9시등교' 정책을 추진했다. 현재 경기도에서 '9시등교'를 실시하고 있는 곳은 경기도 2250개 학교인데 그 중 93.6%인 2107개의 학교가 참여하였고 초등학교가 98.2%, 중학교가 96.2%, 고등학교가 78.0%로 집계되었다. 다른 학교보다 고등학교의 참여가 낮은 이유는 대입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 입시준비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한 학부모와 교사들의 반발때문이다.

하지만 '9시등교' 정책에 대한 몇몇 학부모와 교사들의 반발이 심하다.맞벌이 부모들은 출근시간이 대체로 8시~8시 30분 사이로 아이를 일찍 깨워 준비시키고 나가야 안심이 되는 데 자신이 일찍 출근해야해서 아이를 놓고가기 때문에 많이 불안하다고 한다. 그리고 교사들은 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의 시간과 등교시간이 달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보지못할까 하는 우려와 타지역에서 실행되지않는 정책에 경기도 학생들이 뒤처질까봐 반대한다고 했다. 맞벌이 학부모의견에 대한 개선책은 미리 일찍 등교하는 학생들을 위해 현재처럼 부실하지않고 탄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아침독서시간', '자율학습' …등의 프로그램을 만들어 일찍 등교 후 남는 시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교사들의 의견에 대한 개선책은 만약 전국적으로 '9시등교' 를 시행할 경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작 시간을 늦추는 것을 어떨까?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작시간을 늦추면 지각해서 시험을 못보는 학생들이 줄어들고 직장인의 출근시간과 겹치지않아 교통혼잡도 줄어들지 않을 까하고 조심스레 예측해본다. 정책시행시 제시했던 것처럼 '9시등교'의 장점으로는 적지않은 학생들이 그동안 거른 아침밥을 꼬박 챙겨먹고 나오는 학생들이 많아졌다는 점이다. 그 중 시행성이 부족한 장점은 학교마다 달라서 늦춰진 등교시간만큼 늦게 하교하는 점때문에 실시하나 마나 똑같다고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이 점에 대해선 현재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있는 야간자율학습을 완전 자율화하는 것은 어떨까 생각한다. 이번 정책이 많은 관심과 의견충돌등 소란이 있었지만 정책시행계기가 의정부여중 3학년생들이 교육감에게 정책도입을 제안해 설문조사를 거쳐 시행되었다는 점이 놀라웠다. 이번 정책으로 앞으로 한발씩 서로 소통되며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교육개혁이 일어나길 바란다.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2학년 김희란,오소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65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515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8371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361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404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408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9933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0677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2776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287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323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073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523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223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144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4751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203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1573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367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356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384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5846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315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545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5723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9678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7667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125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8600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1634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352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108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0697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6427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341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200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5615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291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202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1599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7963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9644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1374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9808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128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180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163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0271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0726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0760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04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