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고소한 소통! 행복한 동행! 2018 청주 삼겹살 축제 성황리 개최

by 10기허기범기자 posted Mar 05, 2018 Views 144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960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허기범기자]


대한민국 최초 유일의 삼겹살 특화공간인 청주 삼겹살거리에서 32일부터 4일까지 3일간 2018 청주 삼겹살 축제가 열렸다. 청주 서문시장 상인회는 삼겹살거리가 조성된 2012년부터 숫자 3이 겹치는 33일을 삼겹살 데이로 명명해 매년 청주 삼겹살 축제를 통해 청주 삼겹살 문화와 맑은 골 청주를 홍보하여 청주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2018 청주 삼겹살 축제는 먹자판, 놀자판, 난장판으로 나눠 운영했다. 먹자판에서는 무료 잔치 한마당을 열어 삼겹살 시식회를 진행했고, 청주 특산품인 청주 오믈렛, 본정(本情), 졸졸호떡 등 10여 가지를 시중보다 20% 이상 싼 가격에 판매했다. 놀자판에서는 사물놀이, 캘리그라피, 삼겹살 축제 삼행시 짓기, 노래자랑 등으로 시민들에게 웃음을 주었다. 난장판에서는 분식, 특산물, 순대, 삼겹살 등을 판매하는 26개의 야시장을 운영했고, 청주시장배 돼지 한 마리 요리 경연대회(우리 맛집 자랑)가 열렸다.


청주는 내륙지방으로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육류문화가 발달해왔다. 특히 청주지방에서 생산되는 돼지고기는 궁궐에 진상할 정도여서 조선 시대 세종실록지리지에도 이와 관련된 기록이 나올 정도이다돼지고기는 서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육류가 아니었으나, 1960년대 이후 산업화와 함께 돼지 사육 투수가 많이 늘어나면서 돼지고기 소비가 크게 늘었다.


특히 청주 삼겹살은 연탄불에 생고기를 직접 구워 먹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굵은 소금을 뿌리거나 옅은 간장 물에 담갔다가 굽는 방식이 주류를 이뤘다. 특히 한약재를 넣고 끓인 간장 물에 담가 구우면 돼지고기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향미가 더할 수 있어 독특한 청주 삼겹살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청주 서문시장 삼겹살거리 이승진 상인회장은 청주 삼겹살을 통해 청주가 널리 알려지고 청주를 찾아오는 외지손님들이 늘어나기를 소원합니다. 서문시장 삼겹살거리에서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라고 청주 삼겹살 축제의 성공을 기원했다.


1964년 개설된 청주 서문시장은 교통의 요지에 있었기 때문에 1960년도 당시에는 청주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손꼽았었다. 시장의 현대화, 터미널의 이전, 대형 할인점의 입점 등으로 그전 같은 활기를 찾아볼 수 없었지만 2018 청주 삼겹살 축제로 인해 청주의 옛 모습을 회상하는 축제가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허기범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8729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486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4385
일하는 청년통장, 한 달에 10만 원을 모아 3년 안에 1000만 원으로! 1 file 2017.11.28 오경서 18984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8982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8976
세계 최대 규모 해킹대회 '코드게이트' 성황리에 마무리 3 file 2017.04.23 김지환 18975
우리가 곧 현실이라는 것을 알려준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 2017.08.17 권오현 18965
2019 양산웅상회야제 file 2019.06.03 김서현 18959
밝은 미래를 향한 노력의 중심, 제4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2 file 2017.03.28 신온유 18959
청소년의 방학, 휴식 시간인가? 4 file 2017.08.27 박재현 18951
느껴보자! 울릉도의 맛과 멋 그리고 즐거움까지 2 file 2017.08.11 정은희 18946
서울의 얼굴 광화문, 그 색상을 찾아서 file 2017.08.29 김태헌 18944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9일간 벚꽃길을 펼치다 2 file 2017.03.30 박재완 18943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18938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8932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18909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18908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8908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8905
2016년 제주 수학축전 2 file 2016.10.07 이서연 18903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8900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8899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8899
[클래식 음악 소개] 쇼팽 3 file 2017.09.18 김기현 18898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8873
작지만 큰 나라, 대만 3 file 2016.03.21 조혜온 18870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8869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8866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8866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8863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8861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8856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8856
기존의 수학은 잊어라! KYMA 대한청소년수학회 학술대회 개최 12 file 2017.02.09 최기영 18844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8840
여의도는 얼마나 큰가요? 2020.10.13 박지훈 18836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8836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8832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8830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8823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8818
[베스트셀러 추천 도서] 국내 베스트셀러 1위, ‘돌이킬 수 없는 약속’ 2 file 2018.10.26 정하현 18813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8812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8794
'글로리데이'청춘의 아픔을 그려낸 청춘영화 file 2016.03.25 홍경희 18775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8771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8770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8760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8756
정보화시대, 암호의 중요성 file 2017.06.06 정다소 187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