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1부 승격, 다크호스로의 비상을 꿈꾸다

by 2기정은성기자 posted May 17, 2015 Views 235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502-831 광주광역시 서구 금화로 240 광주 월드컵 경기장 (풍암동, 월드컵경기장)
 이제 광주에서도 K리그를 즐길 수 있다.

  53, 광주 월드컵 경기장에서 광주FC와 전남 드래곤즈가 경기를 치렀다. 광주를 대표하는 축구팀 광주FC는 광주광역시를 연고로 하던 상무가 상주시로 이전하면서, 20101216일 광주 시민들에 의한 시민구단 광주FC가 출범했다.

 2010년 신설 구단으로 첫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쳤지만, 2012K리그 승강제가 도입됨과 동시에 강등되고 말았다. 강등의 아픔을 딛고 2013년 챌린지의 출발과 함께 광주FC도 새롭게 출발했다. 열심히 한 결과, 2년 만에 광주가 기적을 일궈냈다. K리그 챌린지를 4위로 플레이오프 막차를 탄 뒤 극적인 연승 행진 끝에 승격에 성공하였지만, 광주FC는 시즌 개막을 앞두고는 강등1순위로 꼽혔다. 하지만, 현재 34패로 9위를 달리고 있고, 선두 전북과 함께 득점 공동 2위에 오를 정도로의 화끈한 공격력을 자랑하고 있다.

 현재 광주FC는 '광주의 아들' 김호남도 손가락 부상이며, 다른 팀들 보다 스쿼드가 얇아 다른팀을 이기기가 쉽지 않다. 또한, 최근에 체력적으로도 부담을 갖고있는데 최근 3월 7일부터 약 한 달 동안 원정 경기만 4번 연속으로 하고 있기때문이다. 하지만, 젊은 감독 남기일 감독을 중심으로 선수들은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고, 남은 경기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 기대가 많이 된다.

 광주 월드컵 경기장에서 광주FC를 응원하고 있던 관중들은 광주FC가 광주에서 이겨서 너무 좋은 것 같다.”, “전에 경기를 보러왔을 때는 광주FC가 거의 지는 경기만 보여줬는데 이번에는 전과 달리 이겨서 앞으로 더 발전해서 매력적인 팀이 되었으면 좋겠다.”, “전남 드래곤즈를 상대로 광주FC가 이긴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대단하다.” 라고 말했다.

 또한, 광주FC 서포터즈 서성현씨는 저는 광주FC에서 5년 동안 항상 큰 목소리로 응원해 왔습니다. 5년 동안 광주는 늘 약했고 가난한 구단 이었습니다. 하지만, 늘 끈끈한 투지로 경기를 헤쳐 왔고 드디어 올해 그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광주FC의 성장 과정을 통해서 축구의 재미를 알았고 많은 사람들과 응원하면서 다른 사람의 인생에 대해서도 많이 알았습니다. 축구는 끊임없는 승부가 펼쳐지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도 재미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학생들 여러분도 주말이 되면 축구경기를 꼭 보러 와주시길 바랍니다.” 라고 말했다.

 광주FCK리그로 승격한 만큼 축구를 좋아하든 좋아하지 않던 한번쯤은 시간을 내어 광주월드컵 경기장에서 광주FC경기를 관람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noname01.png

포토타임을 갖고있는 광주FC 모습 ⓒ정은성


ggb05227@naver.com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2기 문화부 = 정은성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8857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8621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05781
경제와 환경을 살리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시스템'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2 이윤지 22637
없어져야할 문화 두 번째: 전족(연꽃발) 3 file 2019.07.12 이승환 22642
[2019 세계 뇌주간] 창의성의 비밀, 뇌과학은 알고 있다 2019.03.27 김규린 22653
화려한 회전목마의 이야기 1 file 2020.03.25 이연우 22676
모모귀신, 실제로 존재할까? 4 2018.09.12 고유진 22730
'제가 좀 영향력이 있지 말입니다' - 드라마 [태양의 후예] 와 PPL file 2016.03.24 이시은 22744
스마트폰으로도 전문가 영상을! 혁신적인 가격의 'Snoppa M1' 3 file 2017.02.16 김지훈 22757
몽환적인 핑크빛 하늘... 이유는? 1 file 2021.09.09 하지수 22769
캣조르바 탐정추리학교에 당신을 초대합니다! 3 file 2019.02.08 심화영 22824
친환경적인 브랜드, 프라이탁 1 file 2020.06.15 설수안 22826
음식물 쓰레기, 일본에선 그냥 버릴 수 있다고? 1 file 2020.10.05 김시은 22849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2854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22885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은 무엇일까? file 2021.07.23 이수정 22900
충남, 과학愛(애) 빠지다 file 2018.10.24 유어진 22910
전국대회 '청소년 방송콘텐츠 경연대회' 개최! 1 file 2015.09.20 정은성 22932
나무여성인권상담소, 청소년 인터넷 신문 모니터링 활동 진행 2015.07.20 온라인뉴스팀 22934
나의 스마트폰 속 비서? 1 file 2018.09.19 김찬빈 22944
논란의 유튜브 예능 '가짜 사나이' 계속된 논란에 결국 방송 중단 2 file 2020.10.19 홍재원 22961
책의 도시, 군포시! file 2014.10.23 이효경 23002
학생들이 생각하는 원어민 선생님, 원어민 선생님이 생각하는 한국 file 2017.10.24 김지우 23004
<유기견을 사랑하는 천사들> 보호소 봉사 1 file 2018.08.31 정수민 23040
놀 수 있는 몬스터, '스포츠 몬스터' 1 file 2017.11.30 이예준 23043
'에브리타임' 익명성 개선 인식은 어떠한가? file 2020.11.09 석종희 23113
우리는 어제 사람을 죽였다 4 file 2020.10.05 정미강 23134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3158
유튜브 '알고리즘'이란? 6 file 2020.08.11 김상혁 23177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3180
뻐카충, 오나전 짜증나! file 2014.07.27 이유진 23227
수박 모자이크병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4 file 2017.08.07 박지성 23236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4 오사카 (完) 2 file 2017.03.18 박소이 23256
해외의 고등학교 축제, 한국과 많이 다를까? 10 file 2017.03.18 한태혁 23267
성큼 다가온 추석, 당신의 방을 지켜라! 1 file 2015.09.26 정수민 23268
B-Sal로 인해 멸종위기에 처한 도롱뇽, 그에 응답한 연구진과 학생들 file 2017.08.08 박서영 23300
반크 한국 문화유산 홍보대사, '직지' 전 세계에 알려요. 4 file 2018.03.23 윤지선 23340
학교 2017의 시작, 이쯤에서 알아보는 드라마 학교시리즈가 사랑받는 이유? 4 file 2017.06.08 김혜원 23370
우리 생활 속 숨어있는 수학 원리 file 2020.03.30 장서윤 23383
[곰이 문 화과자] ' 3월 ' 문화행사 A to Z 2 file 2016.03.13 박서연 23405
SNS.. 그 편리함 속 숨겨진 역기능 4 file 2016.03.18 김주영 23424
연세대학교, YMUN 2017을 성공적으로 마치다 6 file 2017.01.25 최이윤 23455
'아덴만 여명작전' 6주년 기념식 부산서 열려 13 file 2017.01.20 서상겸 23470
교토의 랜드마크라고 불리는 청수사, 알고 보면 백제의 죽마고우(竹馬故友)? 6 file 2016.02.23 안민 23478
중국에서 AI 앵커, 교사 등장...'미래 인간의 직업은 사라지나?' file 2018.11.21 한민서 23479
앞으로 카카오톡 차단 상대가 내 프로필 못 본다 file 2018.03.27 오경찬 23522
K-FOOD를 통해 한국을 알리는 (주필)문화외교 선두주자 백종란 요리 연구사 4 file 2018.10.18 유채현 23525
우리 속의 경제! 돈을 쓰고 돈을 모은다, 립스틱 효과와 카페라테 효과 1 file 2017.02.24 김지원 23540
1부 승격, 다크호스로의 비상을 꿈꾸다 file 2015.05.17 정은성 23550
알고 있다고 다 아는 것이 아닌 '독도' 3 file 2015.07.27 명은율 235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