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18 평창올림픽, 경기에 대한 해외 반응은?

by 8기김세현기자 posted Mar 05, 2018 Views 151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월 기사1.jpeg

[이미지 제공=김현식 고등학생,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 201829일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이 아닌 평창에서 제23회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이번 평창 올림픽은 16일간 경기가 진행되었고, 2018225일 폐막식이 진행되었다. 역대 동계올림픽의 개최국을 보면 프랑스, 스위스, 미국, 노르웨이, 이탈리아, 일본 등이 있다. 아시아에서 열렸던 올림픽이 많이 없었던 만큼, 그리고 해외가 잘 알지 못하는 지역에서 열린 2018 동계 올림픽. 이곳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에 대해 해외는 어떠한 반응을 보였을까?

 

이번 올림픽이 개최되기 전부터 해외는 남북 관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어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기사를 접할 수 있었다. 미국의 대표적인 신문 'The New York Times' 에서는 "남북 문제를 바로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생기진 않더라도 전쟁의 위험에서 지내는 한국인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일 것"이라고 보도했다. 반면, 미국의 뉴스 전문 방송업체 'CNN'에서는 "이런 평화가 얼마나 지속될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고, 핵과 관련된 현실은 바뀌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2018210, 또 한 번 전 세계가 대한민국을 주목했다. 바로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전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가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했지만 침착하게 대응하고 결승점을 가장 먼저 통과했다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선수가 넘어졌을 때 캐나다, 미국 등 다양한 언론은 우려를 하며 다시 따라갈 수 있다 격려했다. 그리고 일본 공영방송사 ' NHK '에서는 대한민국이 다시 따라가서 선두에 서는 것을 보며 "정말 강하다"라고 하고 경기가 끝난 후에는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강함을 보여주었고 대단하다"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해외는 모든 경기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다. 2018219일에 열렸던 스피드 스케이팅 여자 팀추월 8강 경기에 대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스피드 스케이팅 팀추월 경기는 3명의 선수가 서로 협력하면서 경기를 진행하고 팀에서 가장 마지막에 들어오는 선수의 기록을 측정해 순위를 매기기에 협력이 가장 중요한 종목이다. 하지만 이날은 조금 달랐다. 대한민국 노선영 선수를 뒤에 둔 채 대한민국 김보름, 박지우 선수가 먼저 속도를 올려서 들어왔고 노선영 선수는 뒤처진 채 결승점을 통과했다. 이러한 경기를 보고 캐나다 일간지 'The Globe and Mail'에서는 이 경기를 보고 "올림픽에서 불쾌함을 느꼈던 순간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스포츠에서 약한 사람을 괴롭히는 안 좋은 모습이 생방송으로 중계되었다"라고 덧붙였다.


이렇게 다양한 해외 언론에서 평창올림픽에 주목했던 만큼, 평창동계올림픽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기 김세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6923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6689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86571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흥행, 그리고 싱어롱 문화 1 2018.11.28 김수민 20093
일본의 대국민 사과가 알려지지 않은 이유 4 file 2017.09.07 류희경 20104
부평 핫플레이스 '평리단길' 3 file 2019.05.14 하늘 20112
차준환, 남자 피겨의 역사를 새로 쓰다 file 2018.11.01 정재근 20113
'관중 친화적' MLB급의 창원NC파크 2019.03.26 백휘민 20124
제17회 신동엽 시인 전국 고교백일장, 신동엽 시인 50주기 맞아 뜨거운 문학의 열기 file 2019.04.16 정다운 20124
무더위를 피해 도서관으로 떠나자! file 2015.08.16 장수경 20134
마음에 와닿는 감성영화 추천! BEST 4! 19 file 2020.03.24 민아영 20143
서울역사박물관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展'을 다녀오다 file 2019.03.20 이도은 20150
스마트폰 등장 13년, 소비자들에게 국경은 없다, 스마트폰의 미래 2020.05.19 정미강 20152
설날인가, 가족모임인가 26 file 2016.02.13 김나림 20160
리우 올림픽, 정말 끝일까? 4 file 2016.08.25 신수빈 20191
뭐라꼬? 해운대라꼬 빛축제! 10 file 2016.02.21 현경선 20200
김포공항 가기 힘든 김포공항역 ... 이용객 불편 증가 1 file 2017.03.27 경어진 20210
토론을 통하여 환경, 인권 문제를 생각해 보아요! file 2017.08.04 최은수 20219
소확행, 키우면서 느끼는 행복, 스타듀밸리 3 file 2020.04.28 이유진 20233
승자가 정해져있는 ‘인간 VS 인공지능 번역대결’ 2 file 2017.02.25 정진미 20236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요즘 유행하는 홈카페 레시피 9 file 2020.03.19 박효빈 20236
오로라를 품은 땅 스웨덴 키루나, 그 이면의 문제점 1 file 2021.03.29 문신용 20251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로봇공학자, 한재권 교수를 만나다. 1 2017.02.26 정보경 20255
진주아카데미, 학생들의 진로개척에 도움을.. file 2016.06.07 안성미 20256
무한질주 오디션 방송, 이젠 걸그룹이다 5 file 2016.02.24 박진우 20292
스머프의 고향, 벨기에 만화박물관에 빠지다 1 file 2017.10.16 박미진 20320
[기획] 사회적 경제는 왜 필요한가? file 2018.04.16 김민우 20326
쿨한 그녀들의 화려한 SNS라이프, '언프리티 소셜스타' file 2018.03.13 박선영 20332
코로나 시대 소외당하는 청각장애인 1 file 2021.06.09 김지윤 20344
스타필드 코엑스몰 별마당 도서관을 방문하다 2 file 2019.01.24 박희원 20366
'2020년 실패박람회 슬로건 아이디어 공모전' file 2020.04.14 이채원 20390
현대자동차, 그랜저 시트주름 출고 6개월 이내 차량.. 결국 무상교체 조치... 2 file 2017.02.24 김홍렬 20392
2018 평창 동계올림픽 D-22 3 2018.01.22 김민지 20418
2030년의 경제 주역들, Youth Change Makers file 2017.09.18 김예원 20427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0442
쓸 만한 인간 '배우 박정민' 1 file 2018.02.27 강서빈 20478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2 file 2019.09.30 김민경 20484
'시간을 파는 상점'-시간의 위대함 1 file 2018.03.14 박채윤 20489
가을과 코스모스, 연천군 코스모스 축제 file 2017.10.19 이다은 20490
'내 꿈을 소리쳐!' - 제8차 청소년 연설대전, 막을 올리다 file 2017.07.25 홍정민 20491
그냥 정수기 물을 마신다고? - 미네랄의 효능 2018.07.25 임서정 20492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0493
부산시민공원, 포켓몬 고 대신에 '스탬프 투어'로 공원 100배 즐겨 보아요. 8 2017.02.22 최영 20502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콘텐츠 및 만화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진행 1 file 2017.04.04 문정호 20504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0507
카카오프렌즈 뮤지엄에 가다 9 file 2017.01.15 임수연 20513
3년 만에 찾아온 개기 월식 4 file 2018.01.26 최윤정 20518
송도, 유튜버들의 집합소가 되다 file 2019.09.23 김민진 20520
개소리를 알아듣는 방법, 카밍 시그널 file 2017.08.27 김수현 20532
학생 스트레스와 성적의 상관관계 file 2016.07.22 이유진 20539
우리 아이들의 미래, 이젠 노란 신호등이 지킨다. file 2017.09.01 안소희 205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