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by 6기박세준기자 posted Mar 01, 2018 Views 106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국 제45대 대통령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2016 11 8많은 대한민국 사람들이 경악했다그들은 트럼프 당선 확정 몇 분 전 당선 유력이라는 언론의 말에 의구심을 던졌고 우려가 현실이 되자 우왕좌왕하고 예상치 못한 결과라며 대한민국은 들썩였다. 사람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과 언론이 전해주는 그의 인성에 물음표를 던졌다들려오는 뉴스와 보이는 기사에 따르면 미국 사람들은 그를 정상으로 여기지 않았다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이미지는 어떻게 형성된 것이었을까?    


그 원인을 분석하자면 트럼프 대통령과 미국의 주류 언론들과의 관계는 최악이었다미국의 주류 언론은 CNN, The Washington Post, The New York times, The Huffington Post 등 대한민국 사람들이라도 여러 번 들어 봤을 법한 굵직한 언론사들이다이러한 언론들은 기본적으로 트럼프 대통령과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에 출마했을 때 보이는 반응은 훤히 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집중공격과 견제가 심했고 날이 갈수록 강도가 세어졌다그 결과 대한민국 사람들이 아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미지가 형성되었다트럼프 대통령이 그런 모습을 가진 사람일 수도 있지만 미국 내에서는 견제를 넘어선 오보들이 나왔다실제로 BBC 뉴스에서는 대선 하루 전인 2016년 11월 7 US election: Fake news becomes the news라는 제목으로 미국 언론을 꼬집었다.


[미국인들의 언론 신뢰도 자료 및 정당별 신뢰도 자료]dkvnto6zb0kw5c0shdj57q.png

 _fnglfgxdee9m2vdnmh1ma.png

 [이미지 제공=GALLUP,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받음]


  이러한 행동을 보인 미국의 언론들에 의해 미국인들의 언론 신뢰도가 급감했다. 2016년 9월 14일 갤럽의 정치부문 설문조사에 따르면 2016년에 미국인의 32%만이 언론을 신뢰한다고 응답했다정당별로 분석한 결과 공화당 지지자는 14%만이민주당 지지자는 51%가 신뢰했다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 출마 의사를 밝히기 전인 2015년에는 언론 신뢰도가 40%, 공화당 지지자들의 언론 신뢰도는 32%였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언론 공세가 이런 백분율을 나타나게 한 원인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계속되는 가짜 뉴스와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뉴스로 인해 언론의 신뢰도가 하락한 것이다또한 2016년 11월 6일 연합뉴스 기사 “ 갤럽, “미국인 52%, 대선 언론보도 힐러리 편향’ 인식” 에 따르면 2004년과 비교했을 때 미국 언론보도가 균형적이라고 대답한 사람은 7%포인트나 감소했다이렇듯 미국 언론은 공정성을 잃고 한쪽으로 편향되었다는 인식이 만연했다뉴스타겟에서 취재한 국제 정치학 이춘근 박사의 세미나에서 이춘근 박사는 미국 다른 언론들에 의하면(주류 좌파 언론들을 제외) 3차에 걸친 토론회에서 트럼프 승리라는 보도가 오히려 더 많았다미국에서의 주류언론과 일반 시민들의 생각은 전혀 다르다라며 미국 주류 언론과 시민들의 대선에서의 인식의 괴리감을 설명했다.


  미국 언론이 이렇게 편향되고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바탕으로 기사를 작성하고 보도했을 때 대한민국 언론도 마찬가지였다대부분의 미국 뉴스를 CNN, The New York Times 등 주류언론에서 발췌하고 인용하여 보도하는 한국 언론 특성상편향적이게 될 수밖에 없었다마치 그 뉴스가 모든 미국인들의 시각인 양 보도가 되었다. 그 예시로 트럼프 대통령의 책 불구가 된 미국에서 이민을 반대하지는 않지만 불법 이민은 반대한다고 분명히 언급했지만대한민국 언론은 이민자 강제 추방이라는 타이틀로 마치 미국에 합법적으로 이민한 사람들까지 추방할 것이라는 뉘앙스를 풍기면서 보도했다실제로 NEWSIS의 2018년 2월 9일 기사 “39년 미 거주 요르단 남성 추방...아메리칸 드림 수포"라는 기사를 보면 요르단 남성이 추방된 이유는 부당하게 박탈된 영주권이 회복이 되지 않아서였으나 맨 윗줄에 트럼프 취임 이후 이민자 체포 42% 급증..수천 명 추방 위기라고 언급하여 마치 이민자여서 추방당한 것처럼, 그리고 미국 내 불법 이민자가 아닌 이민자를 체포한 것으로 해석할 여지를 주었다.


  이렇듯 대한민국 언론은 트럼프 대통령을 비판이 아닌 비난을 했다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고 그대로 인용하는 뉴스표현의 방식을 바꾸어 잘못 전달하는 뉴스성급하게 보도하는 뉴스 등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대한민국의 언론의 자세였다트럼프 대통령이 많은 대한민국 사람들이 지지하는 주한미군 정책을 비롯하여 여러 정책들에 대해 비판적이고부정적인 생각을 비췄던 것을 사실이다하지만 대한민국 언론들은 편향적이고 왜곡된 뉴스를 그대로 인용할 필요 없었다트럼프 대통령과 클린턴. 둘 다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하지만 미국 주류 언론은 자신들의 정치 색깔에 맞게 트럼프의 단점만 부각시켰고 단순 부각만을 넘어서기도 했다. 그리고 무비판적으로 미국 언론을 수용한 대한민국 언론들의 행위의 결과가 대한민국 국민들의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반감이었다확인되지 않은 루머로 기사를 작성하고 오보를 낸다면 언론에 대한 신뢰도는 어떻게 될지는 미국 대선에서 미국 언론들이 잘 보여주었다대한민국 언론이 앞으로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 보여준 사례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6기 박세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60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284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5979
오늘날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투 운동의 시작점은? 2018.04.16 최시원 10639
일본 정부 파격적 제안... '무(無)자녀세' 계획 등장해 file 2017.11.22 이윤희 10639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0634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634
고교 학점제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의 첫걸음이 될 수 있을까? 1 file 2017.08.21 김유진 10633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file 2017.03.22 김예찬 10631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624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0612
세종시이전과 '세종시 빨대효과' 1 file 2018.11.27 강동열 10612
미 대선 마지막 토론… 트럼프, 김정은과 “특별한 관계”…바이든, “비핵화 위해 김정은 만날 것” file 2020.11.02 공성빈 10610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3 file 2017.06.25 박유진 10610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file 2017.03.24 류혜돈 10609
‘청소년 정책 총괄’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에 진선미 의원 file 2018.08.30 디지털이슈팀 10608
문재인 당선 후 대한민국은? 1 file 2017.05.15 한한나 10607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0605
백두산이 폭발한다? file 2019.05.24 백지은 10603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599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통역 없는 접견'에 대한 엇갈린 반응 1 file 2017.06.26 이소영 10599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595
TOEIC 시험 중 들린 소음 file 2018.10.23 정예은 10594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10592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591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590
여름철을 맞아 횡단보도 그늘 쉼터를 마련한 정자동 주민센터 1 file 2017.07.18 박소윤 10586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582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581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578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575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0573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573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0571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0569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568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0568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567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564
해외 거주 가족에게 마스크 묶음 배송이 가능해지다? 3 file 2020.04.09 이윤우 10561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0561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0560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0550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0549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547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0547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546
4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작년 촛불시위와 비교해봤을 때⋯ file 2018.08.13 김진진 10546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544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536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5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