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by 박민아 posted Sep 23, 2014 Views 1983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경기도 지역에서 9시 등교제가 실시된지도 오랜 시간이 지났다. 실제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경기도 지역 내에서조차 아직까지 찬반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학교 재량에 따라 운영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가 9시 등교제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 이에 대해 다른 지역 학생들의 의견은 어떨까? 아직 9시 등교제가 시행되지않은 광주 지역의 학생 두 명은 각각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불쌍해요. 9시 등교제로 등교 시간이 늦춰지면 아침 자습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던 친구들이나 출근시간에 맞춰 가족이 모두 함께 나가던 맞벌이 가정들이 힘들잖아요. 실제로 저희 학교에서는 아침 자습시간에 학생들이 모두 영어듣기를 하고 담임 선생님과 공지사항을 전달받는 등으로 운영되고있는데, 만약 9시 등교제가 시행되서 0교시 자습시간이 없어져 이런 시간이 줄어들게된다면 오히려 힘들 것 같아요. 보충할 시간을 마땅히 찾지 못하니까요. 게다가 곧 수능을 보시는 3학년 선배님들의 수능 시간표와 학교 시간표가 맞지 않는다면, 큰 피해를 볼 수도 있잖아요. (장덕고 1학년 박○○양)"
"9시 등교는 진짜 꿈같은 이야기에요. 아침자습시간에 꾸벅꾸벅 조는 학생들이 너무 많아서 0교시 자습시간의 의미도 없는데다가, 등교시간이 조금 늦춰진다면 아침잠이 많은 학생들을 배려할 수 있으니까요. 저는 집과 학교 사이의 거리가 먼 편인데다가 버스의 배차 간격도 20-30분 남짓이여서 버스를 놓칠까봐 항상 아침을 굶고 나오곤 하거든요. 초등학교때 8시 30분의 등교시간이 정말 그리워요. 가족들과 같이 식탁에 앉아서 밥을 먹어본지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만약 9시 등교가 시행된다면, 잠도 조금 더 자고 여유롭게 아침에 준비하고 나올 수 있을 것 같아요.광주지역도 하루빨리 9시 등교제가 시행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운남고 1학년 나○○양)"
아직까지도 찬반의 의견이 확실히 갈리는 상황. 실제 최근 이루어진 제주도에서의 교육감과 학부모와의 공개토론회에서의 사전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찬성 41%, 반대 52%로 아주 큰 차이 없이 팽팽한 의견 대립을 이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모습을 지켜보면서도 묵묵히 진보성향의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9시 등교제가 새로운 교육정책의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라고 고집한다. 여태까지의 교육정책은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한 적이 거의 없었다며, 이 9시 등교제가 학생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 나가고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교육 제도로써 첫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학생들의 의견으로 교육제도가 결정되고있지는 않다. 개별적인 한 학교 안의 재량적 운영마저도 학생들의 의지로 이루어지는 일은 거의 없기 마련이니, 정작 교육을 받는 대상인 학생들의 의견을 묵살하는 정책을 과연 학생들을 위한 교육제도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아무리 더 올바르고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규칙들이라고 하더라도, 지나치게 학생들의 의견을 무시하는 현 교육제도는 더 개방적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전에 이재정 교육감의 태도가 먼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이끌어 나가는 교육제도의 시작'을 패기넘치게 외쳤지만, 정작 9시 등교제는 학생들의 여론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 그것이다. 자신이 만난 학생들은 전부 9시 등교제를 찬성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미 경기도 교육청에서 각 학교의 의견 수렴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조차 알고있지 못한다는 점을 큰 모순으로 남겨둔 채로 의견을 주장하는 것은 전혀 신빙성있게 느껴지지 않는다. 교육제도자체에 큰 변화를 이끌고 올 중요한 정책을 여론조사도 없이 진행한 점과, 스스로 한 말과 전혀 반대되는 행동을 강행했다는 점은 부끄럽기까지하다.

아직까지도 수많은 모순과 장단점을 낳으며 끊임없이 논란되고있는 9시 등교제는 앞으로 전국으로 그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더 많은 학생들이 이 정책을 몸소 겪게되면서, 현 교육계와 학생들의 학업에 어떤 파장이 불게 될지는 아직 예상할 수 없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현 교육 제도를 비판하는 새로운 정책의 추진인 만큼 그 추진 과정이 무엇보다 정당하고 본 취지에 맞게 시행되어야 할 것 이라는 점이다. 실리있는 비판과정을 거쳐 9시 등교제의 긍정적인 부분들이 더욱 발전되고 부정적인 부분들이 개선되어, 실제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의 생각과 정책의 대상자인 학생들의 바램에 맞는 새로운 진보교육제도의 시작이 되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8584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5454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67714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347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391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389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9921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0664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2768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278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308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060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508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208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136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4741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197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1561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354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348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365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5838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302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544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5718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9658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7654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114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8590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1624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345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096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0692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6419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333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197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5606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288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193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1587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7958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9633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1351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9795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109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173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151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0263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0718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0749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04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