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by jihongHan posted Sep 23, 2014 Views 243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작성일: 2014.09.23


     9시 등교법은 아이들의 자는 시간을 보장하고 더욱 더 나은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만들어진 법이다. 그러나 근래에 통과되어 좋은 취지로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시행되고 있는 이 법이 청심국제중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또한 이 법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과 그 이유들을 알아보기 위해 청심국제중학교 1학년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2014.09.20~2014.09.23)를 실시했다.


<청심국제중학교 학생의 9시 등교법에 대한 생각>

( 단위: 명)

1

2

3

4

5

9시 등교법 시행안에 대한 생각

4

6

10

6

14

9시 등굑법 시행안의 좋은점

26

4

1

9

9시 등교법 시행안에 대한

건의 사항

없다

3

폐지 & 공강 시행

24

기상시간 늦추기

8

기타

5


     이 설문조사를 통계를 내어 본 결과, 청심국제중학교 학생들 중에서 9시 등교법이 매우 싫다라는 학생은 14명으로 제일 많았으며, 보통 10명, 좋다 7명 순으로 였다. 그리고 가장 적은 인원 4명이 매우 좋다라고 했다. 이를 통해, 전체적으로 많은 청심국제중학교 학생들은 이 9시 등교법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 법에 대한 건의 사항을 따로 조사해보았다. 그 결과, 이 법을 폐지하고 다시 아침자습이 된 없어진 공강을 다시 만들어 달라는 의견이 24명이나 되었다. 그 다음은 기상시간을 늦추어 달라는 이 법을 찬성하고 있는 친구들이 낸 건의 사항이 였으며, 없다는 답을 해준 학생들이 3명 이였다. 이로써, 학생들은 9시 등교법이 폐지 되고 없어진 공강을 다시 시행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CYMERA_20140923_230411.jpg

▲ 9시 등교법으로 인해 늦게까지 공부하는 학생의 모습(출처:한지홍기자)


     직접 이 들의 의견을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인터뷰를 해보았다. 청심국제중학교 1학년 대표로 4명의 학생들에게 물어보았다.

     먼저, 김OO 학생은 이 법을 시행하는 것이 싫다고 대답하였다. “이 법을 시행함으로써 더 늦게 일어나게 되면, 시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법은 학생들의 수면시간을 보장해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였지만, 실제로 효과는 아무것도 없습니다.”라고 비판을 하였다.


     김OO 학생과 이OO 학생도 마찬가지로 이 법을 시행하는 것이 싫다고 대답하였다. “비록 전보다 잠은 더 많이 잘 수 있지만, 아침 자습이 1시간이나 되어 학생들의 심리적으로 아침 자습은 흥청망청쓰게 되는 데, 공강은 하루의 공부를 다시 점검하고 정리하는 시간으로써 더 많이 집중하고 수업시간처럼 알뜰히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수 있어서 이 법이 매우 싫습니다.”라고 비판적으로 대답하였다.


     김OO 학생은 그 와 반대로 9시 등교법에 대해 찬성하는 의지를 보였다. “당연히 9시 등교법을 시행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면시간이 소등시간부터 6시 까지 6시간밖에 자지 못 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이 법이 시행되고 나서는 6시간 30분~7시간가량을 잘 수 있게 되어 매우 기뻤습니다.” 역시 청심국제중학교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수면 시간이 보장되었다는 것에 기뻐하는 모습을 보였다.


청심국제중학교 1학년 한지홍기자(tree200133@naver.com)

# 이 글은 http://blog.naver.com/tree200133 제 블로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291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985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090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682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730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703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344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037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047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603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686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455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926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693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525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4996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618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1825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758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743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772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163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69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5801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5949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032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059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392
한국은 지금 마스크 전쟁중 1 file 2020.02.27 차현서 8895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file 2018.03.08 김다윗 12034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653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422
한국전쟁 70주년인데...20일간의 일촉즉발 남북 관계 file 2020.06.26 김대훈 11103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산불 진화 현장 속 '숨은 영웅' 자원봉사자 활약 소개 file 2022.06.07 이지원 6800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수해 복구 대응 자원봉사 활동 지원 추진 file 2022.08.19 이지원 6609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439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049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512
한나라의 대통령이...비난받는 브라질 대통령 1 2020.04.17 조은우 8527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1981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324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9974
한반도 문제의 판이 커진다? - 북러 정상회담과 중국의 반응 file 2019.05.02 맹호 11991
한반도 비핵화 운전대 잡은 韓, 떨떠름한 中,日 file 2018.03.08 박현규 10144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528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545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471
한반도에 봄이 온다 1 file 2018.05.02 강예진 10664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071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1059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1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