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by 8기김민우기자 posted Feb 21, 2018 Views 152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유경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수십조 원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으면서 전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를 호령하며 자신들을 대안적인 경제모델로써 알리며 성장하고 있다.


  여기서 공유경제(共有 經濟, sharing economy)는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대여하고 차용하여 쓰는 개념으로써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물건이나 공간, 서비스를 빌리고 나눠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 모델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공유경제는 1985년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던 미국에‘ 케인스 이후의 최고의 아이디어라는 찬사를 받을 정도로 획기적인 발상이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공유경제의 모습과 1985년의 공유경제의 모습은 조금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공유경제를 가장 구체적으로 정의했다고 평가받는 사람은 로렌스 레식 하버드 대학교수이다. 그는 상업경제로 인해 망가지는 경제 시스템을 회복시킬 방안으로써 가격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의 복잡한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경제 양식으로써 공유경제를 내세운 것이다. 즉 그의 공유경제의 핵심요소에는 비금전적 요인이 포함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금전적인 이익을 추구하거나 실리를 추구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라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 그 자체가 사람들에게 기여하면서 작용한다고 말했다. 즉 우버나 에어비앤비와 같이 상업적인 면이 두드러지는 게 아니라 위키피디아처럼 사람들에게 대가를 바라는 것 보다 그 자체로 기여할 수 있는 모델이 되는 것을 로렌스 레식 교수는 공유경제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공유경제의 색을 띠지만 정확한 모델은 아니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창업 초기 집이나 차량과 같은 자신이 소유한 재산을 공유하면서 자원의 낭비를 막고 사회적 관계의 구축을 주요한 목적으로 발전돼왔다. 그러나 최근의 모습은 수익의 극대화가 공유경제의 핵심 요인이 되어 그저 돈을 목적으로 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로 보일 뿐이다.


슬라이드1 (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민우기자]


  위와 같은 논란에 사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잠들어있는 전통적인 공유재 모델을 디지털이라는 공간에서 깨워서 그 활용가치를 높였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리눅스나 위키피디아와 같이 참여와 만족감을 얻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문화가 움틀 때고 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보다 더 우수하고 경쟁력 높은 탈자본주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칭찬받기도 한다. 반면에 탈세와 같은 문제로써 세금을 탈루하기 위해, 그리고 소득을 올리기 위해 불법 부동산 임대 업자를 자처하거나 혹은 세금을 내지 않고 택시를 운영하기 위해 우버를 선택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들이 외치는 혁신 때문에 사회규범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외치는 혁신 때문에 사회제도가 변화해야 하는 것이다. 진보된 기술로써 포장된 혁신이 꼭 세상을 바꾸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진보된 기술이 오히려 비정규직을 낳고 그것을 포장하는 것은 혁신이 아닌 혼란의 가중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김민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730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83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6961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7914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7915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7918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7922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7925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7944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7950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7951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7952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7953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7953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7966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7975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7980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7984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7992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7993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7997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7997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7998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001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002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002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003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006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008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014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031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035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066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067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074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076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081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087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087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089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090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091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096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8096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110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115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117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137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138
온라인 개학 한 달, 등교개학은 언제쯤? 1 file 2020.05.11 홍승우 8141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1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