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중국 춘제(春节)에 대해 알아보자

by 8기전병규기자 posted Feb 14, 2018 Views 149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 15일부터 2 21일까지는 중국 춘제 연휴 기간이다. 우리나라의 구정과 같이 많은 시민이 고향을 방문하고 자신의 가족들과 맛있는 음식을 먹고, 아이들과 친척들과 세뱃돈을 나누며 함께 시간을 보낸다. 춘제 기간이 다가오면, 우리나라의 KTX 열차승차권의 경쟁이 치열해지듯, 중국 고속철인 까오티에 (高铁) 승차권 경쟁 역시 매우 치열해진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 양국의 시민이 음력 설 보내는 방법은 틀에서 다르지 않다. 하지만 자세히 들어가 보면 국가의 문화와 풍습이 다름을 있다. 중국의 춘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1. 홍바오 (红包)

IMG_20180211_132459-mi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 전병규 기자]


중국의 춘제를 대표하는 것을 뽑으라면 누구나홍바오 뽑을 것이다. 홍바오는 우리나라의 세뱃돈과 비슷한 개념으로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행복과 축복을 기원하며 돈을 홍바오(红包)라고 불리는 빨간 봉투에 담아주는 중국의 전통문화다. 아이의 행복을 기원하는 만큼, 홍바오 앞면에는 대부분 福, 钱任性, 大利大吉와 같이 상대방의 행운을 기원하는 말들이 적혀있다. 어른이 아이에게 주는 홍바오에는 양의 제한이 없지만, 친구나 동료 사이의 홍바오는 주로 적은 양의 돈을 넣어서 준다. 최근에는 실제 홍바오를 사용하는 대신, 위챗 (微信 - 중국 대표 메신저) 이나 알리페이 (支付宝 - 중국 온라인 결제 시스템)가 제공하는홍바오기능을 이용하여 돈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은 실제 홍바오를 주고받는 것을 선호하며, 실제로 홍바오는 매년 많은 상점에서 어렵지 않게 있다.


2. 폭죽 터트리기 (란바오주 - 燃爆竹)

춘제 기간 중국을 여행한다면, 많은 사람이 폭죽을 터뜨리는 것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보기 어려운 모습이지만, 중국에서 폭죽을 터트리는 것은 2000전부터 시작된 중국 전통문화 하나이다. 사람들은 악귀를 쫓아내고, 새해에 승진, 결혼, 진학과 같은 경사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의미로서 춘제 기간이나 정월 대보름에 폭죽을 터트린다. 많은 중국인이 현재에도 폭죽을 터트리며 행운을 기원하지만, 최근에는 환경오염, 폭죽으로 말미암은 사상 사고와 자원 낭비 등을 걱정하며 하지 않는 경우도 늘고 있다.


3. 춘련 붙이기 (티에춘리엔 - 贴春联) / ‘자가 적힌 전지 붙이기 (창화시에   - 窗花写

IMG_20180214_102130-mi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 전병규 기자]


많은 중국 영화와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보면, 앞에 () 자가 뒤집어서 걸려있거나, 한자가 적혀있는 빨간 종이 (춘련)가 문에 붙어있는 것을 있다. 자가 적힌 전지를 문에 뒤집어서 붙이는 것과 춘련을 앞에 붙이는 모두 중국의 춘제 문화의 일부이다. ‘자를 뒤집어서 붙여 놓는 것은 복과 행운이 이미 도착하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가 쓰인 전지는 가운데에 자가 쓰여있고, 주변을 화려한 중국 전통 문양이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중국 송나라와 명나라 시대부터 시작된 춘련은 빨간 직사각형 종이 위에 행운의 말귀나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말을 적어 앞에 붙여둔다. 개의 춘련은 글자 수가 같아야 하고 길이 역시 같아야 하며, 춘련에 적혀있는 글귀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춘련을 제작하거나 구매할 , 단어의 결합이나 동사와 형용사의 수와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음력 설맞이 대잔치 (춘지에완후이 - 节晚会)

음력 설맞이 대잔치는 중국 중앙인민방송국 (CCTV) 1983년부터 매년 춘제 당일 하루 오후 8시에 생방송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대략 4시간 정도의 시간 동안 중국의 전통춤, 전통 음악과 희곡을 비롯하여 현재 중국 최고의 가수들과 연기자들 (TFBOYS,  왕리홍 ) 출연하여 공연을 진행한다. 가수들 각각의 공연뿐만 아니라 연기자들과 가수들이 함께 합창하는 진귀한 장면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서 4시간의 시간 동안 춘제완회만 방송한다는 점에 대하여 회의감을 표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춘제완회는 현재까지도 매년 30% 정도의 시청률을 보여주며, 중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문화행사 하나로서 자리 잡고 있다. 2018 춘제완회는 2 15 저녁 8시에 방송되며, 중국 4 지역 (주하이, 하이난, 구이저우, 산둥)에서 진행된다.


중국의 춘제 문화는 우리의 설날 문화와 같이 모두 해의 성공과 행운을 기원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별한 구정을 맞이하고 싶다면, 춘제 행사들과 풍습에 관심을 두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 전병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강지희기자 2018.02.16 05:51
    중국에서 신년을 맞이하는 법에 대해 그 특징적인 요소들을 잘 뽑아서 기사를 써주신 것 같아요. 경험해본 사람으로써 다시금 추억도 생각나고 중국의 새해맞이법에 대해 잠시나마 생각해볼 수 있게 되어서 좋아요. 눈에 잘 들어오는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정진화기자 2018.02.17 11:51
    중국도 우리나라처럼 설날에 세뱃돈을 주고받는 문화가 발달되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네요. ㅎㅎ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5057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804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8681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청소년페스티벌 Youth Only Live Once’ 열어 1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4886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홍보대사로 댄스팀 U.A(유에이) 위촉 file 2018.07.09 디지털이슈팀 19765
서울시립미술관,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개최 file 2023.06.29 이민주 7429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꿈과 사람속으로' 청소년해외자원봉사단 모집 file 2022.05.17 이지원 9523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성장기반 역량강화 컨설팅’ 참여기업 모집 file 2022.07.23 이지원 8075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가치소비 위한 크라우드펀딩 기획전 개최 file 2022.07.27 이지원 8094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메타버스 활용한 ‘소셜 콜라보레이터 커뮤니티’ 참여자 모집 file 2022.06.20 이지원 9462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커뮤니케이션 스킬 워크숍 ‘다수의 수다’ 참여자 모집 file 2022.08.02 이지원 8062
서울식물원, 기획 전시회 '빛이 깨울 때' 선보여 file 2023.08.11 윤예림 6906
서울신천초 모의창업팀, 고사리손으로 판매한 수익금 기부 file 2017.12.25 김서윤 14542
서울에서 만나는 독도는 처음이지! 가자 독도체험관으로 2 file 2018.07.30 이소현 15566
서울에서 만나는 자연, 하늘공원 억새 축제 1 2017.11.01 이연재 14205
서울역 위에 새로운 길이 열리다, '서울로7017' 1 file 2017.05.26 문정호 14281
서울역사박물관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展'을 다녀오다 file 2019.03.20 이도은 19874
서울역사지킴이, 새싹들에게 일월오봉도를 알리다 4 file 2017.01.24 박수연 20634
서울연구원, 2022년 연구성과확산 세미나 개최 file 2022.11.29 이지원 6628
서울의 도심 속, 예술인들의 흔적을 만나다 file 2018.11.28 김사랑 15624
서울의 미래를 알고 싶다면, 서울 연구원 시민기자단으로! file 2022.06.02 이지원 8980
서울의 얼굴 광화문, 그 색상을 찾아서 file 2017.08.29 김태헌 18588
서울의 이색 대회 '멍때리기 대회' 1 file 2016.05.25 최찬미 14697
서울의 풍경 담은 미디어아트 전시 ‘딜라이트 서울’ file 2024.05.18 김진영 1880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개관 40주년 기념 ‘장애인복지관 디지털 전환’ 온라인 세미나 개최 file 2022.11.29 이지원 7250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시민들과 소통하는 방법 - 재판 방청 프로그램 2 2017.02.25 최다영 15569
서울특별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가치소비 생활가이드' 사회적경제 기업 판매 기획전 개최 file 2022.10.11 이지원 8118
서울환경영화제, 광화문을 초록색 물결로 물들이다 1 file 2016.05.28 오지은 15514
서천군청소년수련관 생태진로캠프! 2017.10.17 임소현 14793
서초구 서래마을, 프랑코포니 축제 개최 4 file 2017.04.09 강은서 15066
서초구 여성민방위대 창설 기념식 1 file 2016.06.01 정수민 16713
서초구, '사운드 오브 서초 오케스트라' 선도학교 활동 나서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8695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4789
서툴게 오늘을 살아가는 당신에게 <곰돌이 푸, 서두르지 않아도 괜찮아> 1 file 2019.07.22 최가온 16748
석오 이동녕 선생, 그 발길을 따라서 file 2018.11.21 김단아 16753
석유비축기지, 새롭게 태어나다 1 2018.06.11 여도영 14550
석유에서 문화로, '문화비축기지' 1 2017.12.26 안지수 17440
석촌호수 벚꽃축제, 봄과 밤의 어울림 5 file 2019.04.12 정다운 27074
선동이란 무엇인가 4 file 2017.04.23 임재우 15770
선물로 교우 관계를 논하다 5 file 2017.05.24 김리아 14590
선비의 고장 file 2020.03.06 김혜원 11497
선수와 팬의 화합, 2023 KBO 리그 올스타전 file 2023.07.26 정해빈 6292
설 연휴 붐비는 이곳은 화성행궁! file 2018.03.02 서영채 12869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2017.02.27 임촌 13461
설날은 우리나라만 있는 것이 아니다? 1 file 2022.01.25 이유진 9838
설날인가, 가족모임인가 26 file 2016.02.13 김나림 19918
설레는 봄, 추억 만들기 file 2019.04.01 이시현 16121
설레는 수학여행! 지나친 부담여행..? 1 2017.04.29 김영은 14086
설레는 시작, 프로야구 개막 file 2021.04.05 오경언 10250
설문지에 부모님 학력,종교,가정 형편은 왜? 1 file 2017.06.25 정무의 28282
설연휴, 국립중앙박물관과 함께해요! 11 file 2016.02.11 민원영 175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