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by 6기최수영기자 posted Feb 14, 2018 Views 113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액체괴물.PNG


[이미지 제공=유튜브 츄팝,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특정 회사의 가습기를 사용한 영유아, 임산부, 노인 등이 폐에 손상을 입어 크게 다치거나 사망한 사건이다. 가습기 살균제에 들어간 화학 성분으로 인해 폐손상 증후군이 발생한 것이다. 2011년에 발생한 일이지만 정부의 신속하지 않은 대처로 인해 끊임없이 피해자가 속출했다.


 그런데 국가 기술 표준원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액체괴물에 가습기 살균제 물질 중 사람의 몸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인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 '프탈레이트' 등이 들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화학 물질들은 피부와 접촉하면 알레르기,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아이들이 손으로 만지며 노는 액체괴물의 특성상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제품 안전 정보 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리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소유하고 있는 액체괴물의 리콜 대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심지어 몇몇 제품은 수입자명, 주소 및 전화번호 역시 누락되어 있는 상황이다. 또 액체괴물 외에도 핑거페인트, 어린이용 손난로 등 어린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장난감 역시 리콜 대상이다.


 아이들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건인 만큼 소비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성인들도 많이 이용하지만 아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어린이 상품인데 유해물질이 발견되다니 너무 충격적이고 성인보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의 안전과 건강이 심히 걱정이 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장난감인 만큼 제품 제작 시 성분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문구점에서 파는 액체괴물을 소유하고 있다면 제품 안전 정보 센터 홈페이지에서 리콜 대상 여부를 확인해보고 항상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최수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한유성기자 2018.02.15 13:55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인만큼 안전하게 더 안전하게 만들면 좋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6기강지희기자 2018.02.18 12:59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인데도 별 주의 없이 위험하고 유해한 성분을 포함시켜 만들었다니 정말 충격적입니다. 아무리 돈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일말의 양심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유용한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411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103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4335
'여성 혐오'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9.27 홍유진 11616
주요 대선후보들의 경제관련 공약을 알아보자 2 file 2017.04.25 천주연 11614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1610
헌팅턴 무도병이란? 1 file 2020.08.11 이한나 11605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되어야 할 안건인가? file 2018.03.01 김은서 11604
'스몸비', 좀비가 되어가는 사람들 1 file 2018.10.04 신미솔 11602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594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1593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1593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1590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1589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1577
의료기기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file 2018.02.22 홍수빈 11574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563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552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552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548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544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542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539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538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530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522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519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514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 1 file 2017.10.23 변서연 11508
"가히 무술옥사(戊戌獄事)", 이명박 4대 혐의 반박 2018.04.12 김예준 11507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499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1498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498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498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495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484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480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477
언론의 힘, 그리고 언론의 빛과 어둠 file 2019.06.03 박은서 11475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473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468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466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464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464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445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441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439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435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423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416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4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