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가습기 살균제의 악몽, 액체괴물로 재발하나

by 6기최수영기자 posted Feb 14, 2018 Views 112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액체괴물.PNG


[이미지 제공=유튜브 츄팝,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특정 회사의 가습기를 사용한 영유아, 임산부, 노인 등이 폐에 손상을 입어 크게 다치거나 사망한 사건이다. 가습기 살균제에 들어간 화학 성분으로 인해 폐손상 증후군이 발생한 것이다. 2011년에 발생한 일이지만 정부의 신속하지 않은 대처로 인해 끊임없이 피해자가 속출했다.


 그런데 국가 기술 표준원의 조사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액체괴물에 가습기 살균제 물질 중 사람의 몸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물질인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 '프탈레이트' 등이 들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 화학 물질들은 피부와 접촉하면 알레르기, 피부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아이들이 손으로 만지며 노는 액체괴물의 특성상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제품 안전 정보 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리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어 소유하고 있는 액체괴물의 리콜 대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심지어 몇몇 제품은 수입자명, 주소 및 전화번호 역시 누락되어 있는 상황이다. 또 액체괴물 외에도 핑거페인트, 어린이용 손난로 등 어린이들이 자주 사용하는 장난감 역시 리콜 대상이다.


 아이들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사건인 만큼 소비자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한 네티즌은 "성인들도 많이 이용하지만 아이들이 많이 이용하는 어린이 상품인데 유해물질이 발견되다니 너무 충격적이고 성인보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의 안전과 건강이 심히 걱정이 된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아이들이 사용하는 장난감인 만큼 제품 제작 시 성분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문구점에서 파는 액체괴물을 소유하고 있다면 제품 안전 정보 센터 홈페이지에서 리콜 대상 여부를 확인해보고 항상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최수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한유성기자 2018.02.15 13:55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인만큼 안전하게 더 안전하게 만들면 좋겠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
    6기강지희기자 2018.02.18 12:59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인데도 별 주의 없이 위험하고 유해한 성분을 포함시켜 만들었다니 정말 충격적입니다. 아무리 돈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일말의 양심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유용한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690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48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6632
정치인의 길 file 2017.03.22 윤영민 10024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4537
제 1316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아픔을 기억하겠습니다 file 2018.01.05 김민하 12564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254
제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새 리더는? 1 file 2017.05.09 박기준 10472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489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430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3883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4876
제14차 광화문 촛불집회... 아직 꺼지지 않는 촛불 2 file 2017.02.11 김동근 13985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에게 바란다 1 file 2017.05.24 김소희 10251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0673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115
제2 벤처붐 분다 file 2022.03.15 류민성 6987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286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588
제34회 글로벌청소년과학탐구대회 '운지벌레' 논란 3 file 2016.04.25 박성수 19415
제39주년, 우리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예의 file 2019.05.22 박문정 10483
제3차 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시위 집회 "몰카 범죄 피해자 여성일 때도 강력히 수사해야" 5 file 2018.07.09 노영석 11646
제4차 산업혁명 시대 갈수록 커져가는 지식 재산권의 남용, 법적 분쟁의 해결책은? file 2018.07.24 송민주 10599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도지사편 file 2018.07.12 정민승 10210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시장편 2 file 2018.06.25 정민승 1112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정당별 총평편 file 2018.07.23 정민승 9508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6804
제로 음료수의 시대, 설탕을 대신한 감미료들 file 2023.07.15 이주하 4811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379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8790
제임스 코미의 해고 사건, 트럼프에게 위협적인 존재? file 2017.05.23 류혜원 10204
제주도에서 산 초콜릿 뒤에 숨은 가격의 비밀은? file 2018.10.29 신효원 14292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키운 불법 주·정차 앞으로 어떻게····? 1 file 2018.01.09 허기범 13681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425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431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431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023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349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505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223
조국 청문회가 남긴 숙제는? file 2019.09.20 정예람 34056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246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청원, 61만명 돌파 1 file 2017.12.20 문세연 15546
조두순 출소 반대, 이루어질 수 없지만 간절한 국민들의 소원 2 file 2017.11.24 윤익현 13680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0850
조력자살 그 한계는 어디인가? file 2018.07.31 신화정 13812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3 2018.05.24 황지은 11207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192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2707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29514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7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