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by ㄱㄴㅇ posted Sep 21, 2014 Views 188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지난 8월 25일, 경기 의정부여중을 시작으로 9시 등교 제도가 전면 실시되었다. 9시 등교 실시의 가장 큰 목적은 청소년들의 수면시간 보장이다. 학업에 지친 학생들이 좀 더 오랜 시간 잘 수 있도록 하여 활기찬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아침을 거르고 오는 학생들에게 아침밥 먹을 시간을 제공 하려는 의도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좋은 취지를 가지고 시행하는 것임에는 분명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부족함 내지는 부작용들이 잇달아 나타나고 있다. 9시 등교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학교도 많이 있을 뿐더러, 심지어는 9시 등교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통보해 놓고 학생들을 7시 30분에 등교시키는 학교도 있다.

 현재 9시 등교를 시행 하고 있는 학교에서도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전보다 한 시간 가량 늦어지는 수업으로 그에 따라 학교가 늦게 끝나게 되어 수면시간에 실질적인 변동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의 등교 시간이 모두 9시로 같아져서 대중교통 등의 이용에 문제가 생긴다. 불편함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들에게서도 나타났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출근시 자녀를 학교에 데려다 주는 경우가 상당했는데, 늦어진 등교시간으로 인해 시간 조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9시 등교가 시행되고 있는 평택의 한 고등학교 2학년 백 양은 "9시 등교를 하면 더 늦은 시간에 자기 때문에 피곤한 건 매한가지다" 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9시로 등교시간을 늦춰달라는 학생들의 요구가 거셌고, 취임 이후에도 계속해서 학생들이 9시 등교를 원해 시작된 정책" 이라고 말을 했지만 지금 시행되고 있는 이 제도가 정말 청소년들이 원했던 제도였을까 싶다.

 지속적이고 성공적인 9시 등교 제도를 위해서는 청소년과 학부모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초, 중, 고등학교의 등교시간을 조금씩 조정하여 교통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청소년들이 정말로 원하던 9시 등교를 지향할 때 비로소 이 제도는 온전히 받아들여질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인턴 기자 김나영(kny9280@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907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67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9921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2600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9544
10원과 50원짜리 동전, 이대로 괜찮은가 5 file 2018.08.24 강민규 12530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227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file 2017.11.20 성유진 11021
10월 국산 소형 SUV 판매량, 1위는 누구? 2 file 2017.11.20 김홍렬 12573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9698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517
1219차 수요집회 열려…청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10 file 2016.02.25 박채원 18265
1268차 수요집회, 소녀상 곁을 지키는 사람들 3 file 2017.02.13 이윤영 15482
1270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 중 3 file 2017.02.23 김규리 15549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201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9912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125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275
140416 단원고..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2 2018.05.08 김지연 9956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6829
16년만의 여소야대… 20대 국회는 과연? 3 file 2016.04.25 유진 15895
16차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1 file 2017.02.24 임지은 15504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6682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7921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200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249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7625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8893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8703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109
1월 18일부터 시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어떻게 달라질까? file 2021.01.20 신재호 10037
1인 미디어, 이대로 괜찮은가 7 2018.01.08 김태경 30329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0952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0631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483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140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7935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323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427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1560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9497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0850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1687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272
2017.03.10. 박근혜 정부는 죽었다 file 2017.03.12 최은희 11697
2017에서 2018, 변화하는 ICT 10대 이슈들 2 file 2018.01.10 허예림 13284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국민들에게 희로애락을 안겨주다. 2 file 2018.03.06 최다영 10008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1415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100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071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종료 3 file 2017.11.24 장서연 117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