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by 6기이승민기자 posted Feb 02, 2018 Views 105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달, 서지현 검사가 8년 전 서울 북부지방검찰청 근무 당시에 검찰 내부에서 성추행을 당했다는 사실을 밝혀 큰 파문이 일고 있다.

서지현 검사는 지난달 29일, 검찰 내부통신망인 e-Pros를 통하여 성추행 피해 사실을 폭로하였고, 이에 법무부는 조사에 나섰다.

사건의 가해자로는 안태근 전 검사가 지목되었으며, 당시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서지현 검사 측 변호인은 서지현 검사가 박상기 법무부 장관에게 성추행 피해 사실을 알렸고, 이에 박 장관이 진상파악 지시를 내렸으나, 결국에는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또한, 박 장관은 처음에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으나, 후에 이메일 답신한 적이 있다고 입장을 번복하여 당시 사태에 대한 박 장관의 인식이 드러났다.


서지현 검사는 성추행 사건의 공론화를 여러 번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창원지검 통영지청으로 좌천되는 등 인사보복을 당했다고도 밝혔다.


법무부에서는 성추행 사건을 조사하고 있지만, 사건이 너무 오래되어 법률상 제재할 방법이 없어 처벌이나 징계가 어렵다고 밝혔다.


어쩌면 그동안 충분한 시간이 있었을 텐데 그저 사건을 덮기에 급급한 몇몇 간부들의 행동은 피해자에게는 더욱더 큰 고통을 안겨줬고, 누구보다 먼저 사법 정의를 구현해야 하는 검찰 내부의 성추행 사건은 국민들의 불신을 더욱더 키웠을 것이다.


변경 검찰 로고.png


[이미지 제공=대검찰청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 사건은 검찰 내부 시스템이 잘못됐음을 말하고 있는 사건이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법무부에서는 여러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의 사법 시스템을 한층 더 발전시킨 의미 있는 사건일지도 모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이승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상현기자 2018.02.04 19:23
    이 사건을 바탕으로 꼭 더 나은 검찰로 성장하길 바랍니다.
    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 ?
    6기박건목기자 2018.02.05 01:57
    이번 폭로를 통해서 성범죄를 당한 피해자분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또한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이상한 사회적인 시선들을 철폐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63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59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844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394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184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534
삼성,애플에 이어 LG까지...? 3 2017.01.22 안유진 17993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556
삼성물산 "우수품종 토종식물, 래미안 단지에 활용 계획" file 2023.02.02 디지털이슈팀 4586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6937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890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7 소손 원인 발표 ··· "죄송하며 감사하다." 3 file 2017.01.23 이정수 64314
상암동 장례식장 건립, 주민들 반대 운동 확산 1 2018.05.03 도예준 11947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544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283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501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528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7692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236
새롭게 바뀐 한국의 대통령,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도 바뀌나? 2 file 2017.05.19 강지오 10424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142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1188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1817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1930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268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884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624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10284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467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file 2022.12.23 이지원 6423
서울 M 중학교 교사, 그동안 학생들 상대로 상습적인 성추행 일삼아·· 5 file 2018.03.15 허기범 11228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732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877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file 2023.07.26 박서율 4506
서울대 본관 점거 153일째, 물대포로 농성 해산...해산되기까지 과정 file 2017.03.15 최문봉 11777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355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867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5234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5866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760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온라인 생중계 file 2022.09.16 이지원 4900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5896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188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619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527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296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794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295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588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15942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7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