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by 6기이승현기자 posted Feb 02, 2018 Views 111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늑대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승현기자]


지난달 경남 창원에서 55세 회사원 김 모 씨가 6살 여아를 자신의 차로 데려가 성폭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미성년자 성폭행범의 처벌 수위를 높여야 한다는 청원이 빗발쳤고, 20여 일 만에 참여 수 20만 명을 넘어섰다. 답변해야 할 9번째 청원이 된 것이다.


제 2의 조두순 사건이라는 별칭이 붙은 이 사건은 조두순이 심신미약이라는 이유로 턱없이 적은 형량을 받은 것에 있어서 다시는 이런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국민적 결의라고 볼 수 있다.


현재 현행법상 13세 미만의 사람에 대하여 강간의 죄를 범한 사람은 무기징역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 하지만 판례들을 보았을 때 국민의 분노가 반영되지 못했고 충분하다고 생각되는 형량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 사건이 전해지자 국민들은 '술 마셨다고 감형해주면 안 된다', '감옥의 밥값도 아깝다'라는 글을 올리며 분노했다.


이번 사건의 가해자도 술에 취한 상태에서 저지른 것인 만큼 주취감경법 개정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지난 7일 더불어민주당 서영교 의원은 "2009년 조두순 사건, 그리고 작년 61만 국민청원까지 그동안 국민의 분노가 얼마나 높고, 국민의 뜻이 어디에 있는지 분명히 나타났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법률 하나 바꾸지 못하고 있는 것은 답답한 일이다. 결국 또 한 번 안타까운 피해자가 발생하고 말았다"며 "지금이라도 법사위가 음주감경폐지법을 즉각 통과시켜 '제 2의 조두순'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형법 10조에는 '심신장애로 인해 사물을 분별하거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없거나, 미약한 자의 행위는 형을 감경한다'는 규정이 주취감경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외국에서는 종신형으로 선고받는 범죄임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많아야 징역 10년 정도의 가벼운 처벌을 받고 있다.


또한 아동이나 여성을 상대로 한 범죄는 최대 사형까지 구형할 수 있게 되어 아동 성범죄 구형에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이나 흉악한 범죄의 기준이 정해지지 않아 이 또한 제대로 시행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피해 아동에게 평생 죗값을 받으며 용서를 빌어야 하는 범죄자가 고작 5~6년을 선고받아 피해 아동이 성인이 되었을 때 전자발찌를 차고 같은 하늘 아래서 거리를 활보하고 있다는 자체가 공포일 것이다. 반인륜적인 행위를 한 범죄자는 피해 아동 외의 모든 국민에게도 공포의 대상이다. 모든 범죄자는 갱생의 기회가 있다고 하지만 자신이 저지른 행위에 대한 죗값을 달게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이승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김나연기자 2018.02.04 00:07
    아동성범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었으면 좋겠네요.. 처벌이 강화되지 않는다면 아동성범죄률이 높아 지는 원인이 될 것같아요. 기사 잘 봤습니다.
  • ?
    6기박건목기자 2018.02.05 02:00
    해외국가들은 아동성범죄에 대한 처벌이 아주 강력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해외국가와 같이 아동성범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여 아동성범죄를 중대한 범죄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도록 하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5.15 22:48
    참 복잡하네요.. 주취법 수위를 높이자니 앞으로 술을 절대 마시면 안되고, 가만히 냅두자니 화나고...
    확실히 아청법은 강화 해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659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371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6969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044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file 2017.09.25 김유진 10089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17818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11165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 file 2017.09.21 이우철 17923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3 file 2017.09.19 박우빈 10526
재정 운영의 투명성이 중요한 이유 1 file 2017.09.19 양현서 11738
삐까뻔쩍한 아파트를 가진 가난한 사람들, 당신이 몰랐던 이유 2017.09.19 호수 10528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048
6차 핵실험, 또다시 북한을 감싸는 중국 2 file 2017.09.15 박현규 12638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0957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11216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18611
청소년들에게 물어보다, 청소년 범죄 처벌 강화 찬반 1 file 2017.09.12 고다영 27447
기싸움 중인 제주도와 도의회, 정책협의회 개최 2017.09.12 강승필 11054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775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1995
소녀상 지킴이들 '소녀상 농성 대학생 단체', 600일 맞다. 3 file 2017.09.11 조유진 11174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3228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24590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1151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12753
커지는 소년법 폐지 여론..‘소년법 개정’으로 이어지나 9 file 2017.09.07 디지털이슈팀 13896
북한, 6차 핵실험 1 file 2017.09.06 최현정 10573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12548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23841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11653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2601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060
생리대, 과연 안전한가? 5 2017.09.04 박채리 11852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396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0552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424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10147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781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 여파로 '청소년 보호법 폐지' 처벌 강화 청원 2만명 넘어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4317
통화녹음 알림 법, "사생활 침해 vs 약자 보호" 4 file 2017.09.04 전영은 15046
광주로 오세요! 천만관객 달성 '택시운전사' 광주 5·18 현장 탐방 프로그램 열어.. 정치계 반응은? 2017.09.04 조영지 10717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실 규명 이뤄지나 … 발포 명령 문서 첫 발견 2 2017.09.01 손서현 10521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8544
유네스코에 등재된 '군함도' 2 file 2017.09.01 한수정 12749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371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0925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404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0759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583
많은 곳에 위안부소녀상이 세워져있지만 모르는 사람이 훨씬 더 많아... 왜? 3 file 2017.08.30 이혜승 11733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99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