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키운 불법 주·정차 앞으로 어떻게····?

by 10기허기범기자 posted Jan 09, 2018 Views 137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크기변환_PicsArt_01-08-12.20.06.jpg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현장 - 정면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허기범기자]

20171221() 1553분에 충청북도 제천시 하소동의 노블 휘트니스·스파에서 화재 참사가 발생한 지 오늘로 19일째가 되었다.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로 인해 29명이 사망하고 37명이 상처를 입어 치료를 받았다.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의 원인은 다양하다. 그중 초기 대응을 꼽아 말하자면, 화재 발생 직후 제천소방서 출동대가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있다. 비상구로 사람들이 탈출했으나 소방대원들은 비상구로 접근하지 않았다. 2층 통유리 창문을 통한 진입을 시도하지 않았으며, 출동한 굴절차도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다. 충청북도소방본부장은 브리핑에서 유리창을 깨지 못한 이유는 당시 제천소방서 구조대는 먼저 발생한 다른 현장에 출동해 인력이 부족했고, 1층 화재를 진압해야 2층으로 진입할 수 있다고 판단했으며, 불법 주차 차량으로 인해 굴절차를 전개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또한,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의지가 부족해 초래한 소방장비와 인력 부족이 재난을 키웠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의 원인 중 우리의 잘못이라고 볼 수 있으면서 우리와 가장 밀접한 것이 바로 불법주차이다.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시 소방차는 신고 접수 7분 만에 현장에 도착했지만, 소방당국의 사다리차가 현장 진입로에 세워진 불법주차 차량 탓에 먼 거리를 우회하여 견인차로 차량을 치우느라 30분 이상 지연됐다. 물론, 오늘도 마찬가지였다.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현장 뒤편 길에는 불법주차 차량이 여전히 있었다.

크기변환_PicsArt_01-08-12.24.34.jpg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 참사 현장 - 측면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허기범기자]

이러한 불법주차 차량에 관련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현행법(소방기본법 25조 강제처분 등)'소방자동차 통행과 소방 활동에 방해가 되는 주차 또는 정차 차량, 물건 등을 제거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시·도지사는 강제처분 등으로 입은 손실을 보상해야 하지만, 불법 주차 차량이 소방차 통행과 소방 활동에 방해가 됐다면 보상하지 않아도 된다'고 규정하고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장 소방관들이 소송에 휘말릴 수 있다는 부담감 때문에 개정안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것이 현실이다. 그 예로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이다.

 

17() 소방청은 앞으로 소방차의 긴급 출동을 방해하는, ·정차된 차량을 적극적으로 제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불법 주차해 소방차의 통행과 소방 활동을 방해한 경우는 손실 보상도 하지 않기로 했다. 외국에서는 불법 주차로 소방 활동을 방해하는 차량은 소방차로 밀어버리거나 차량 유리창을 깨서 이동시키는 것까지도 허용된다. 외국에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불법 주차 차량에 대해 관대한 편이다.

크기변환_PicsArt_01-08-12.12.40.jpg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 제천 체육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허기범기자]

이런 조처는 개정된 소방기본법이 시행되는 오는 627()부터 본격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소방기본법 253항에도 긴급 출동에 방해가 되는 차량을 제거·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게 돼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다가 차량이 훼손되면 민·형사상 책임 논란이 벌어져 왔다. 이 때문에 이번에 개정된 소방기본법 492항에서는 불법 주·정차된 차량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손실 보상을 하지 않도록 규정했다. 소방청은 개정된 소방법을 시행하기에 앞서 소방도로에서의 불법 주·정차 단속도 강화하기로 했다.

 

단속을 강화하더라도 우리가 지키지 않는다면 제천 노블 휘트니스·스파 화재 참사와 같은 참사는 계속 반복될 것이다. 불법 주·정차는 해서도, 시도해서도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허기범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다윤기자 2018.01.27 16:37
    화재현장에 직접 다녀오셨으니 느낌이 더 절실하셨겠어요.
    모든 사건, 사고들의 초기 대응이 중요하겠지만, 특히 화재사고는 더욱 그렇다고 하네요.
    불법주정차 차량으로 소방차 진입이 어려웠다니 정말 안타깝게 생각하며, 단속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기자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317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014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3377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0850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0847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1 file 2018.01.22 임소현 10842
영화 ‘택시운전사’그리고 현재의 ‘택시운전사’ file 2017.08.29 김민진 10838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 그 이유는? 2018.08.22 고아름 10837
민주주의의 심장 런던 겨눈 차량테러… "세계에 대한 테러다" file 2017.03.25 안호연 10835
겨울철 끊이지 않는 레저스포츠사고,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3.01 강민지 10834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0829
문재인 대통령, 세월호 기간제 교사 순직 인정 2 file 2017.05.16 장인범 10829
아직 받지 못한 사과, 당신은 알고 계십니까? 3 file 2019.05.22 이송이 10827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0825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825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0823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0821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0819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0810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808
이제는 말할 수 있다. 3 file 2018.08.02 심윤지 10800
왜 우리는 알고 있는데도 실천하지 않는가 2 2018.07.25 임서정 10800
미중 무역전쟁, 어디까지 갈까? file 2018.07.25 오명석 10800
할랄 그리고 경제 file 2018.04.24 조찬미 10795
코로나19 예방하는 마스크! 알고 쓰자 file 2020.05.04 윤혜림 10782
갈수록 심해지는 청년층 근로빈곤율 2018.11.12 전고은 10782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정우 美 송환 불허한 법원, 가라앉지 않는 비난 여론 2 file 2020.07.22 김수연 10780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0778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0778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778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0774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773
이제는 편안해질 수 있을까요 file 2017.04.17 안유빈 10773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0770
평생 잊혀지지 않는 상처 file 2018.04.26 손어진 10768
위안부 합의, 피해자들의 끝없는 고통 1 file 2017.08.29 신기재 10767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2018.07.25 김성백 10763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762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0760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0756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750
여러분은 ‘Burn out'으로부터 안전하십니까? 1 file 2017.10.25 서유니 10750
계속되는 소녀상 수난, 대책 서둘어야... 3 file 2017.03.13 박현규 10749
박근혜 전 대통령 '석방'하라는 대학로 제20차 태극기집회 file 2017.10.26 문서연 10748
매년 10월 25일 독도를 천명하다. file 2017.11.10 이윤빈 10747
백두산이 폭발한다? file 2019.05.24 백지은 10744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10743
제19대 대선 총 투표율 80% 못 미쳐… 77.2% 기록 4 file 2017.05.10 이가영 10742
오늘날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투 운동의 시작점은? 2018.04.16 최시원 10741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0735
과학, 왜 어렵게 느껴질까? file 2019.05.31 박현준 107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