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by 2기황유진기자 posted Sep 19, 2014 Views 236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NISI20140901_0010077799_web.jpg

등교하는 학생들/출처=뉴시스

교육감 선거에서 중요 화두로 떠올랐던 9시 등교는 결국 9월부터 경기도에서 시행이 되었다. 9시 등교에 관한 논란은 여전히 뜨겁다. 학부모들의 출근시간과 맞지 않아 자신의 아이가 등교하는 모습을 더 이상 보지 못하고, 수능시작시간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정작 수능 날 시간에 적응을 하지 못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수능에서 우리 아이가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할 까봐 반대하는 학부모들과 학생들도 있다. 반면에, 등교를 더 늦게 하면 잠을 더 잘 수 있어서 수업에 더 집중을 잘 할 수 있어서 찬성하는 사람들도 많다.

우리 학교인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는 경기도에 있어서 9 1일부터 9시등교를 하고 있다. 실제로 9시등교를 하는 우리학교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찬성, 반대의견이 모두 있었지만, 918, 정책을 시행한지 18일이 된 지금 2/3정도는 찬성하고, 정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였다.

내 인터뷰대상은 나의 룸메이트인 송모양이다. 자연과학과정에서 체육인의 위엄을 뽐내는 내 자랑스러운 친구이다. 인터뷰를 시작하자면

Q)9시등교를 시행하기 전, 우리학교가 9시등교 대상이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의 감정과 생각은?

A)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약간의 반감이 생겼어요. 아침 자습시간에 친구들이 자는 모습을 많이 보았는데, 그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의문도 가지고 있었어요.

Q) 9시 등교 후 시간표가 어떻게 바뀌었고, 마음에 드시나요?

A) 점심시간이 줄어들고, 아침 조회가 끝나고 있던 불필요한 쉬는 시간 등 비효율적이던 시간이 줄어들어서 좋지만, 점심시간이 1시간밖에 안되어서 점심시간에 밥을 먹기 너무 힘들어요. 선배들과 시간이 겹쳐서 너무 불편해요.

Q)9시 등교 후 전체적인 친구들의 변화?

A) 친구들이 정책 시행 초반에는 덜 자는 것 같아 보였으나, 결국 18일이 지난 지금 8시등교를 하던 과거와 다를 바가 없어졌어요.

Q) 9시등교에 관해 할 말이 더 있으신가요?

A)할거면 전국 다같이 하던가수능은 어쩌려고

내 두번째 인터뷰 대상은, 나다. 좀 더 객관적인 인터뷰를 위해 이번에는 내가 인터뷰 대상이 되어보도록 한다. 질문자는 다시 자연과정 송모양이다.

Q) 9시 등교로 인해 생긴 여러 불편함에는 무엇이 있었나요?

A) 먼저, 제가 현재 아카펠라 동아리를 하고 있는데, 연습을 매일 점심시간 마다 했는데, 점심시간이 30분이나 줄어들어서 연습할 시간이 너무 없어요. 항상 연습하던 점심시간 외에 다른 시간을 찾아 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은데, 시간이 마땅치가 않네요. 이럴 때 정말 마음에 들지 않더라고요. 그리고, 아침에 9시등교임에도 불구하고 기숙사에서는 750분까지는 나와야 하는데, 급식이 750분에는 너무 붐벼서 일찍 나와서 밥을 먹고 교실에 있으면 너무 뜬 시간이 길어져요. 비효율적이던 시간이 모여서 아침시간이 길어진 기분이랄까? 그런데 그렇게 아침시간이 길어지니까 또 자게 되는 것이, 9시 등교로 인해 자는 시간도 길어졌는데, 거기서 더 자니까 공부를 못하고 있는 기분이 들어요. 잠을 많이 자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면서 기억을 강화하려면 강화할 기억이 있어야지, 에휴. 야간 자율학습시간이 20분이나 줄어든 점도 너무 아쉽고요. 에휴.

Q) 불편한 점이 한 두개가 아니네요. 그러면 긍정적인 면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친구들이 수업 때 덜 조는 것 같았으나 결국 똑같더라고요. 하지만 그래도 친구들이 평소에 시험기간이 되면 지나치게 못 자서 다크서클이 더 커지고 판다 같은 경우도 여럿 있었는데, 지금은 다들 더 많이 자는 것 같아서 예전보다 만성적인 피곤을 가지고 다니는 사람의 수는 줄어든 기분이에요. 일단 저의 경우를 말하자면, 밤에 원래 매일 4시간을 잤는데, 이제 4시간 반을 자요. 원래 기상시간이 630분이었는데 7시로 바뀌었거든요. 물론 이 수면시간도 턱없이 부족해서 자주 졸지만, 그래도 자는 시간이 더 늘어난 것만큼은 마음에 들어요.

Q) 9시등교에 대해 더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일단 전국적으로 확산을 하는 것에 대해 무리가 있다는 기사를 읽었어요. 여러 진보 교육감들이 경기도에서 시행한 이후로 자신의 지역에서도 9시등교를 시행하려고 하고 있어요. 하지만 부산의 경우에는 많은 학교들이 산에 위치하여 하교가 늦어지면 학생의 안전이 이전보다 더 위험해져 시행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어요. 이렇게 정말 전국적인 시행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9시 등교는 일시적인 정책이 될 수 밖에 없어요. 수능 시작시간은 8시이니까요. 9시등교를 제대로 추진할 것이라면 전국적으로 확실히 확산시켜서 수능시작시간도 늦추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 같아요. 전국적으로 확산시켜주었으면 좋겠어요.

이렇게 9시등교에 관한 실제 학생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우리 학교는 기숙사 학교이어서 다른 학교들이 느끼는 불편, 혹은 장점과는 매우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적어둔다.

아직도 9시등교의 확산, 이 정책으로 인한 학생들의 변화 등 9시등교에 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 논란은 앞으로 더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여러 고려하고 고쳐야 할 점이 많은 9시등교이지만 조속히 대책을 마련해 전국적으로 시행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861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51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8278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345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7984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9974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589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5730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611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098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697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8668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687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1787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538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4943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451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617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9847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383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626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545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2994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0977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270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640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656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615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395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3855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7130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348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2645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549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4751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079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172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1847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8719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29876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0713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5790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482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422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536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2847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547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678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302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426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06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