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by 이지현 posted Sep 15, 2014 Views 221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동탄국제고등학교 2학년 이지현 기자


“9시등교가 시행되니 밥도 먹고 오게 되고, 늦잠도 잘 수 있어 좋아요

경기도 교육청(이재정 교육감)의 정책에 따라 91일 자로 경기지역 초··고등학교 88.9%9시 등교에 참여한다. 이는 학교장 직권으로 연결되는데 91일 경기도 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2250개 학교 중 2001개 학교가 이 정책에 참여한다고 했다. 처음 이 정책이 발표되었을 때 사람들의 의견은 어떠했을까?


학생들의 아침밥 보장과 건강, 인권 보장을 목표로 실시된 이 정책에 대해 기독교 교사들이 모인 중립성향 교원단체인 좋은교사운동은 지난달 전국 초중고교생 2250, 학부모 1000, 교사 113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9시 등교에 대해 학생의 73.9%, 현장교사의 61.2%, 학부모 56.4%가 찬성했다고 한다. 9시 등교에 찬성한 가장 주된 이유(복수 응답)로 학생의 88.8%아침에 여유가 있어서를 꼽았고, 교사의 80.7%학생들이 좀 더 여유있게 생활할 수 있어서라고 지목했다. 학부모가 9시 등교에 찬성하는 주된 이유도 충분한 수면’(69.9%), ‘아침밥을 챙길 수 있어서’(50.7%) 등 아이들의 여유와 관련된 항목이었다.


하지만 이 결과는 91‘9시 등교실시 후 특히 학부모 측면에서 달라졌는데, 아이엠스쿨을 사용하는 경기지역 학부모를 대상으로 지난 95일부터 10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 전체 응답자 11,800명 중 유효 응답자 9,137명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매우반대한다는 응답자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능을 앞둔 고3 학부모는 79.12%가 반대했고, 자사고나 특목고에 자녀를 둔 학부모 역시 75%9시 등교에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에 위치한 동탄국제고 역시 ‘9시 등교정책이 실현됨에 따라 먼저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의견을 모으기 위해 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9시 등교에 대해 찬성·반대로 나누고 반대라면 어떻게 개선되면 좋을지에 대해 조사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양희진(동탄국제고 학생, 18)‘9시 등교에 반대한다며 학생들의 유지되어 왔던 리듬이 깨지기 때문을 그 이유로 들었다. 김예지나(동탄국제고 학생, 18)는 이와 반대로 ‘9시 등교정책에 찬성하다며 그 이유로 본인이 뉴스를 통해서 들은 바로는 청소년들의 생체 리듬은 다른 연령별대보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것이 올바른 것이라는 것이었다. 이런 다양한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동탄국제고등학교는 절충안방식을 채택해 여름에는 정상적으로 겨울에는 9시 등교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났다.


교육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기록한 ‘9시 등교’. 오랫동안 유지된 리듬을 깨는 만큼 그에 따른 찬·반 분류는 대단했다. 이번 정책은 새로운 돌파구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는 의의를 가지기도 하겠지만 오랫동안 유지되어 왔던 질서를 깨트리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이처럼 이 둘을 수용하는 개선점을 찾기 위해선 더욱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826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593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9125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295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0706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7876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365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6769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7951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032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8939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9913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7741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490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0749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203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000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2743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7706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406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7714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358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7822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9878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135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2972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100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348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146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167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147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7917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416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8806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1582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278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4685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7636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286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1970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7906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4330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3676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0761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445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4896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116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7518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232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1616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16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