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성 평등 교육, 페미니스트의 참뜻을 실현하기 위하여

by 6기김현재기자 posted Nov 28, 2017 Views 132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71122_12503659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현재 기자] 서울지방법원의 밤 길이다. 여성들의 권익 신장도 그동안 비춰온 불빛처럼 더 빛날 그 날을 기약한다.


양성평등, 오랫동안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았던 인류의 숙제였다. 그러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의 권리를 찾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고, 선거권의 확대, 여성 공직자의 사회 진출 등 다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몇몇 진취적인 여성을 통해 성 평등에 가까워지고 있었다. 이제 ‘가부장제 강요’는 필수가 아닌 선택이 되었고, 여성의 권리 신장은 승승장구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여전히 남성보다 여성들이 아직도 불평등한 위치에 서 있다. 육아의 역할을 여성에게만 떠밀고 있는 세태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성의 노동시간은 육아의 역할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진출에 따라 업무까지 맡으면서 수난 시대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여성들의 권리 신장은 정말 시급하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단순히 몰라서 그런 것일까, 아니면 은연중에 이 사실을 잊고 살아가는 걸까? 이에 대한 의견을 현직 고등학생에게 물어봤다.


<19세 일반고 박 모 씨>


Q1: 학교에서 성 평등 교육을 얼마나 시행하는가? 1년에 2번, 상반기와 하반기에 진행한다.

Q2: 성 평등 교육은 어떻게 진행하는가? 기본적으로 임의로 선정한 학생들이 성 평등 교육 강사와 만나 대화하나, 그 외 나머지 학생들은 TV로 이를 시청한다.

Q3: 교육을 시행할 때, 참여도는 어떠한가? 다른 반도 마찬가지겠지만, 절반 이상이 참여하지 않는다.

Q4: 왜 참여도가 낮다고 생각하나?: 이 교육은 초등학생 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시청하고 있다. 청소년에 대한 성 평등, 서로 소중하니까 함부로 말해서는 안 된다는 내용 등 다 알고 있는 교육을 반복해서 들려주니 지루하다. 그리고 참여하지 않더라도 불이익이 없으며, 학원 숙제해야 하는 바쁜 이 시점에서 참여할 만한 것도 없고 흔한 내용으로만 구성된 교육에 참여해야 할 이유가 없다.


당사자는 청소년들이 성 평등 교육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으나, 지속해서 교육을 받아왔기 때문에 새로운 내용이 아닌 이상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성 평등이란 것은 단순히 학교생활뿐만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필요하다. 그러나 학생들에게는 그 교육은 교육청에서 주관할 정도로 중요하게 논해지고 있지만, 정작 평생교육을 지향하는 이 사회에서 이같이 중요한 성 평등 교육을 보통 만 19세부터 의무화하지 않는다. 게다가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육조차 학교와 관련된 교육만 시행할 뿐, 사회에서 가지는 성 평등에 대한 의미를 가르쳐주지 않는다. 성 평등을 짐작하는 건 가능할지 모르지만, 진정한 성 평등은 몸소 실천하는 데 있다. 당연히 성 평등을 실천하는 데 하자나 결함이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성 평등 교육이 여기서 멈춘다면, 페미니스트의 순수한 이념이 가지는 의미, 즉 여성권리 신장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 ‘직장 내 성희롱’, ‘대학 SNS 성추행’ 등은 성 평등의 교육이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준다. 교육의 역할을 다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성 평등 교육을 확대하고, 필요성을 강조한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의 변화가 시급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현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강현욱 2017.12.01 01:27
    페미니즘에 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고 여성의 권리가 올라가야 한다는 입장입니다만
    지금 사회에서 육아의 역할을 여성에게만 떠밀고 있는 세태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할 객관적 자료가 기사에 존재하지 않는다면(인터뷰의 경우에도 단 한 명의 고등학생이 생각하는 의견에서 그치기 때문에) 이 글은 객관적 사실에 입각한 기사가 아닌 기자님 본인의 주관적인 시사 평이 될 수 있습니다.
    (기사는 잘 읽었고 내용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입장이지만 또 다른 타인이 이 기사를 볼 때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도 있겠다고 판단한 내용을 지적해 보았습니다.)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5.15 22:59
    진정한 성평등을 원한다면 페미니즘이 아니라 이퀄리즘을 추구하는것이 답이라고 생각됩니다만은......
    (저의 극히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0653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31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86317
세계 성평등 지수 국가 7위인 뉴질랜드와 115위인 한국이 바라보는 페미니즘은 다를까? 1 2020.05.19 박혜린 13057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10121
세계 곳곳에서 열린 세월호 3주기 추모행사. 'Remember Sewol' 1 file 2017.04.16 김채원 11900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2074
성폭력, 매분 매초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국제 이슈 file 2019.03.07 배연비 15493
성숙한 시민의식 1 file 2020.03.17 전혜은 7616
성범죄자들의 신상공개제도(처벌과, 또 다른 피해자) 1 file 2018.02.22 정준교 15701
성동구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 플래시몹 1 file 2017.08.16 황수현 11573
성남시청소년 연합회, 다케시마의 날 철회를 위한 규탄 결의 대회 참석 file 2017.02.26 이가현 14439
성공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기원하며 file 2018.10.15 양나겸 9198
성 평등 교육, 페미니스트의 참뜻을 실현하기 위하여 2 file 2017.11.28 김현재 13228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8553
설탕세 도입 -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6.04.23 김은형 15587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270
설날에도 웃지 못하는 그들, 지진 피해 직격탄을 맞은 경북 포항시 흥해읍 file 2018.02.19 한유성 11222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0885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552
설 세뱃돈, 어디에 쓰나 10 file 2016.02.15 이민정 18445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323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075
선진국의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와 해결 방안 2017.10.02 임승현 28026
선진국으로부터 독립하겠다! 대한민국을 우주 강국으로 4 file 2018.12.10 백광렬 11043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21405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9529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448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652
선거에 관련한 법률, 어디까지 알고 있을까 2 file 2016.04.24 김나연 15854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492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201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714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190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433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514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078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5805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온라인 생중계 file 2022.09.16 이지원 4819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667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5786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5138
서울대, 잇단 성추문에 몸살 24 file 2017.01.12 이승욱 19793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265
서울대 본관 점거 153일째, 물대포로 농성 해산...해산되기까지 과정 file 2017.03.15 최문봉 11712
서울 종로구 구민들 "출퇴근, 등하교 시간 02번 버스 증차 촉구" file 2023.07.26 박서율 4421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4758
서울 광화문 미국 대사관 앞 대규모 "사드 배치 반대" 집회 1 file 2017.09.12 김승만 10661
서울 M 중학교 교사, 그동안 학생들 상대로 상습적인 성추행 일삼아·· 5 file 2018.03.15 허기범 11150
서대문 청소년기관, 2022년 청소년 2800명 대상 종합실태조사 발표 file 2022.12.23 이지원 6336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4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