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by 5기오소현기자 posted Nov 06, 2017 Views 161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 청년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종류의 푸드트럭이 있는 푸드존, 핸드메이드 작가들의 작품을 구매하고 구경할 수 있는 셀러존, 어쿠스틱과 팝페라 등 장르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음악이 있는 퍼포먼스존을 모두 한곳에서 볼 수 있다. 어디일까? 바로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이다.

 이곳의 가장 큰 볼거리는 순환제로 운영되는 푸드트럭이다. 떡볶이, 순대, 핫도그 등 흔히 볼 수 있는 분식부터 다코야끼, 터키 음식, 베트남 음식, 전복, 스테이크까지 모두 다 만나볼 수 있다. 사람들은 모두 푸드트럭 앞에 줄을 서 있고, 2~30대 청년들은 땀 흘리며 누구보다 열심히 요리에 열중한다. 이 광경을 보면 절로 미소를 띠게 된다.

31e179b9f75c2cb612e16ffb3d2dabe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소현기자]

반포 야시장의 경우, 배불리 밥을 먹고 나서, 산책을 하는 사람들을 따라나서 보면 위 사진처럼 멋있는 세빛섬의 야경을 볼 수 있다. 바로 옆에서는 재즈공연, 어쿠스틱 공연 등 다양한 공연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반포대교 달빛 무지개분수쇼 또한 반포야시장에서만 즐길 수 있는 특별한 행사이다.


4167852131d2f5b2c55c0e9fa0e0d76c.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오소현기자]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가 끊임없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의 푸드트럭운영자들과 핸드메이드작가들, 공연자들의 열심인 모습이 우리 모두에게 힘이 되는 것 같다. 이러한 청년들의 열정을 느껴보고 싶다면, 혹은 여름이 다 가기 전 가족이나 연인, 친구와 함께 여름밤을 서울에서 즐기고 예쁜 추억을 쌓고 싶다면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을 적극 추천한다.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은 여의도, DDP, 청계천, 반포, 청계광장에서 매주 금, 토, 일 저녁 6시부터 밤 11시까지 개최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오소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세진기자 2017.11.12 12:04
    한 번쯤 가보고 싶었는데 꼭 가봐야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64941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64683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067562
교토, 일본 본연의 도시 7 file 2018.08.20 이승철 18415
우리의 비극적이고 아름다운 역사들, 서대문형무소역사관. 4 file 2016.03.17 최찬미 18404
5?·18 민주화운동,그 실화를 다룬 영화'택시운전사' file 2017.08.27 정혜원 18399
2017 제2회 청소년 모의 UN 인권 이사회 UPR 대회가 열리다 file 2017.09.13 박지민 18398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8397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8397
거짓 정보가 점령해가고 있는 인터넷, 이대로 가도 되는가? 2 file 2017.03.17 정혜원 18396
민족 대명절 설 제대로 알고 보내자 13 file 2016.02.08 김상원 18395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8394
풍성한 거리예술축제 '2019 목포 세계마당 페스티벌' 4 file 2019.10.02 조햇살 18387
환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국제교류[주니어에코엔지니어링 아카데미] 1 file 2017.02.25 정혜윤 18381
[베스트셀러 추천 도서] 국내 베스트셀러 1위, ‘돌이킬 수 없는 약속’ 2 file 2018.10.26 정하현 18371
당신의 도시를 밝혀줄 '2019 서울빛초롱축제' file 2019.11.14 정다운 18368
정보화시대, 암호의 중요성 file 2017.06.06 정다소 18347
환경과의 만남, 제14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5.25 민정연 18347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린 2016-2017 KCC프로농구 올스타전! 3 file 2017.01.22 김다정 18347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8346
옛 전남도청, 5.18민주평화기념관으로 문 열다 1 file 2018.07.30 조햇살 18344
과학이 쉽게 다가가는 공간 '서울시립과학관' 1 file 2017.09.19 표예진 18330
퀘벡에서 만나는 도깨비, 모든 것이 좋았다. 1 file 2017.11.01 김지수 18328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832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file 2017.11.08 정승훈 18316
"부모 면접을 시작하겠습니다." 페인트, 이희영 작가를 만나다 3 file 2019.11.27 하늘 18313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18303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8298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8298
FC 바르셀로나의 부활, 그 주역은 메시 아닌 17살 유망주, 안수 파티 file 2020.10.12 김민재 18291
외계인과의 소통, '컨택트'의 물리학적 해석 6 file 2017.02.26 유승민 18283
이미 지나간 시간은 되돌릴 수 없지만 환경위기 시간은 되돌릴 수 있습니다 2017.11.27 공혜은 18282
새로운 팬들의 문화 '쌀 화환 기부' 2 2017.10.09 구다인 18272
김해도서관, 1318 필독서 읽기 참가자 모집! file 2017.03.23 한승민 18272
이런 시를 아시나요? 1 file 2016.03.20 백소예 18269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19 진해군항제' 3 file 2019.04.09 백휘민 18267
한양의 으뜸 궁궐, 경복궁 file 2017.04.22 임상희 18267
윷놀이, 제기차기, 팽이치기…. 우리도 한국인 8 file 2017.01.31 김세흔 18258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8257
달리는 것만으로 전세계 아동을 살릴 수 있습니다 - 2017 세이브더칠드런 국제어린이마라톤 1 file 2017.05.25 서수민 18255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8254
청소년이 할수 있는 재능기부 2 file 2016.03.26 이지은 18253
머리 자를 때 되셨나요? 2 file 2016.04.09 전채영 18244
'유통기한 vs 소비기한'...지구를 위한 현명한 선택은? 1 file 2020.08.27 길서영 18242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주관, 제2회 전국 청소년모의해킹대회 개최 file 2017.05.24 이정수 18239
'2017 제주 수학 축전' 개최 1 file 2017.10.19 신온유 18237
일본의 반성 없는 역사 왜곡의 순환으로 몸살 앓고 있는 '평화의 소녀상' 4 file 2020.10.23 김태환 18229
힙합계의 치트키 쇼미더머니, 각 시즌별 수혜자는 누구? 1 file 2016.07.30 조수민 18227
성북구청 주최, 설과 발렌타인데이를 맞이하여 공정무역으로 사랑을 나누다 9 file 2016.02.28 김혜연 18224
온라인 클래스 온클, 의무이지만 학교의 인강화는 우려 2 2020.10.20 문서현 18220
충치 치료, 때울 필요 없다? 8 file 2017.02.20 김나현 18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