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소년법, 폐지 vs 개정

by 5기전세연기자A posted Oct 31, 2017 Views 1198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누군가가 나무를 툭 건드리자 떨어지는 열매처럼 최근 우리나라를 떠들썩하게 한 부산여중생 폭행사건에 이어 전국에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청소년 폭행사건이 알려지고 있다. 부산여중생 폭행사건은 전 국민의 분노를 한순간에 일으킨 충격적인 사건이다.

 부산여중생 폭행사건은 지난 1일 부산 사상구 한 공장의 인적이 드문 곳에서 여중생 3학년 2명 등 총 4명에서 여중생 한 명을 철골 자재, 병, 의자 등의 흉기를 이용하여 피해자의 머리가 찢어지고 입 안이 찢어지는 등의 상해를 입혀 논란이 되었다. 당시 경찰 측에서는 가해자 학생들의 연령이 소년법 대상이므로 처벌이 제대로 내려지지 않을 것이라 말한 바가 있어서 더욱 국민들의 분노의 목소리를 키우기도 하였다.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에 이어 강릉에서도 여고생 등 5명이 여중생을 집단 폭행한 사실이 SNS를 통해 알려지면서 소년법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가해자들이 폭행 사건 이후 욕설 댓글을 다는 등 반성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자, 네티즌들은 처벌 수위를 더욱 높여야 한다는 여론이다
현재 청와대 홈페이지에 게재된 소년법 폐지 청원 참여자는 총 10만 명을 넘어섰다. 온라인 청원은 2만 명 넘는 시민들이 동의하고, 청원이 받아들여지면 법적 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가 내놓은 답은 소년법 '폐지'가 아닌 '개정'이었다. 이로 인해 아직도 끊이지 않고 소년법 폐지와 관련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과연, 소년법은 폐지되어야 할까, 개정되어야 하는 것일까?

 

 소년법은 반사회성(反社會性)이 있는 소년의 환경 조정과 품행 교정(矯正)을 위한 보호처분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고, 형사처분에 관한 특별조치를 함으로써 소년이 건전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똑같은 범죄를 저질러도 청소년들은 성인들에 비해 처벌 수위가 낮다.  소년법은 나이와 죄질에 따라 소년법상 보호처분을 받을 수도 있고, 형법상 형사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실제로 부산 폭행사건의 가해자 4명 중 1명은 만14세 미만으로 촉법소년에 해당해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다나머지 가해자들은 형법 적용을 받지만, 소년법 특례조항이 적용돼 성인에 비해 완화된 처벌을 받는다.
 현행 소년법은 18세 미만의 소년에 대해 최대 형량을 징역 15년으로 제한하고 있다. 유괴·살인 등 특정강력범죄의 경우에는 20년형까지 선고가 가능하다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을 적용했지만, 20년이 최고형이기 때문이다 .
실제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경우에도 주범이 만 18세 미만이라는 이유로 징역 20년을 구형받았다

 

  소년법이 폐지되어야 한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경우를 생각해 볼 때, 주범은 청소년이란 이유로 20년을 받았으나 공범인 A 씨는 성인이라는 이유로 주범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무기징역을 받은 것이 과연 옳은 것이냐라는 문제이다. 사실 그 누구에게 물어보아도 이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대답을 쉽게 받을 수 있다.

두 번째로 청소년이라는 이유로 왜 별도의 법을 만들어 아무리 악질의 죄를 저지러도 감형을 받느냐는 것이다.

반대로 소년법을 폐지하기보다는 개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 또한 크게 2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아직 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을 마무리 지은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성인들은 대부분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성장을 마친 상태이므로 누구나 정상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청소년들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청소년들이 아무리 나쁜 짓을 저질러도 감형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만약 폐지를 했을 시 지금 현재 감옥에서 벌을 받고 있는 아이들은 어떻게 하냐는 문제이다.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므로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고 그사이에 또 다른 사건이 발생한다고 했을 때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PNG


△현재 소년법폐지 등 청소년법과 관련된 청원들이 진행 중 [이미지 제공=청와대 홈페이지]

 

부산의 여중생 폭행 사건 뒤부터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소년법 폐지를 청원하고 있다.

청와대 홈페이지에서는 소년법폐지와 관련된 많은 청원들이 진행 중이고 검토 중이다.  많은 사람들이 폐지를 요구하고 있으나 정부는 첫 답변인 '개정'이란 답을 내놓은 후 아직까지 다른 답변이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정부는 국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답을 내놓아야 될 것이고, 국민들은 끊이지 않고 많은 관심을 쏟아부어 더 이상은 이런 비극적인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전세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151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7832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1501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358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355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354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342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2329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2328
유기질 폐기물이 에너지 자원으로? file 2019.02.28 서민석 12328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변동 1 2018.10.01 권나영 1232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327
잇따르는 티베트 분신, 그러나 국제사회는 무관심... file 2018.03.02 박현규 12321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313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 1 2018.09.27 유하은 12310
소년법, 개정인가 유지인가? 1 file 2017.10.02 5기정채빈기자 12309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308
끝까지 지켜보아야 할 세월호 인양 2 file 2017.03.07 김하늘 12305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286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268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259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file 2017.03.21 박찬웅 12256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2248
이번 설날 연휴, 고속도로 정체가 발생한 이유는? 1 file 2019.02.20 권민성 12245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244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240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228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225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220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2216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211
해외, 국내의 #Metoo 운동, 차이점은? 1 file 2018.05.08 김세현 12207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206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206
부산시 교육청 학생인권조례 제정 임박 file 2017.10.02 박상혁 12196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2179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168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2167
국민의 힘은 과거나 현재나 모두 같다. 1 file 2017.03.19 신해인 12167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150
에이즈 치료제를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file 2020.03.09 김서연 12142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2142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2139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137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이라고? file 2019.09.17 박고은 12130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2128
대부분의 학생들이 하루를 보내는 학교, 그런데 이런 곳에 1급 발암 물질이 있다? 3 2018.08.24 공동훈 12118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2105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2100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2094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20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