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by 6기박현규기자 posted Oct 20, 2017 Views 1076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크기변환25_한국 통화스와프 체결현황.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현규기자]

 

정부 당국자는 한국과 중국이 56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연장에 합의했다고 지난 13일 발표했다. 통화스와프란 두 국가가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 시점에 통화를 맞바꾸는 외환거래이다. 예를 들어 한국과 중국 간에 통화스와프 계약이 체결돼 있으면 한·중 양국은 필요할 때 자국 통화를 상대방 중앙은행에 맡기고 그에 상응하는 외화를 빌려와 쓸 수 있다. 현재 한국은 122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맺고 있으며(그림 참조), 이 중 한·중 통화스와프 규모가 가장 크다.

중국이 원화를 빌려 갈 가능성보다 한국이 위안화를 빌려 갈 가능성이 더 큰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꽁꽁 얼어붙은 양국관계에서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합의된 배경은 무엇일까?

가장 큰 이유로 위안화를 국제간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기축통화로 국제화시키기 위한 중국의 입장을 들 수 있다. 현재 중국은 33개 국가와 통화스와프를 체결한 상태이다. 한국은 중국의 첫 번째 통화스와프 체결국이며, 홍콩 다음으로 체결 규모가 크기 때문에 상징적 의미가 크다. 또한 지금 한국은 세계 9위의 외환 보유국이기 때문에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과 통화스와프를 유지하는 것이 오히려 위안화의 국제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을 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드 보복이라는 정치적 문제와 위안화 국제화라는 경제적 문제 사이에서 실리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번 체결이 한중관계의 개선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대체로 한국 언론에서는 사드 경제보복 완화를 기대하는 조심스럽지만 긍정적 전망을 내놓고 있는 반면, 중국은 이에 대해 특별한 반응이 없다. 자국의 경제적 실리를 위한 조치 이상의 의미부여에 선을 긋는 분위기다. 이번 협상 결과가 정식 브리핑이 아닌 한국 경제 당국자의 질의응답 형태로 공개되었으며, 공식 체결식이 열리지 않은 것도 중국 측의 불편한 심기가 반영되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박현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9224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606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73901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426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2648
[현장취재] 서울의 관광안내소는 오늘도 움직인다 8 file 2015.02.07 최윤정 29976
[현장취재] 고등학생, 미래를 거닐다. 2015 YDMC 전공탐색의 날 열려...... 1 file 2015.02.07 최재원 26979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364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0684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039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2 file 2015.02.23 김다윤 32132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057
[취재파일]대구황산테러사건 16년, 그리고 태완이법 file 2015.02.25 김종담 35222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29334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1 file 2015.02.26 신정은 26633
저렴한 가격에 교복사고 사랑을 나눠요! 3 file 2015.02.26 김민주 31962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3938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444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8977
손목만 잡아 당긴 것은 성추행인가 file 2015.03.19 김동욱 31281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041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0926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307
[단독]탈핵을 위한 청소년들의 9박 10일간의 일주, 성공리에 마쳐 2 file 2015.04.30 김종담 25398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29724
[단독]대구황산테러사건 '태완이법' 4월 임시국회 통과 불발 1 file 2015.05.06 김종담 25833
[현장취재]25개국 90가지 음식을 맛볼수 있는 행사, '제 7회 성북세계음식축제' 2 file 2015.05.17 박성은 24344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8913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5456
은여울 역사동아리, 서대문형무소에 가다 1 file 2015.05.24 이세령 28937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069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2896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275
아동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 1 file 2015.07.21 김종담 24697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21181
김해 중앙 병원 화재, 50대 남성 1명 숨져 file 2015.08.23 정영우 25213
대한민국 인구의 충격, 놓쳐버린 골든타임 3 file 2015.08.24 김동욱 40773
국가보훈처, 제4회 애국가 부르기 UCC 공모전 개최 file 2015.09.09 온라인뉴스팀 25402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2763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3717
자칭 언론사? 정보화 시대와 우리의 과제 2 file 2015.10.25 김진아 28252
물의 하수 처리과정을 살펴볼까요? 6 file 2015.11.01 홍다혜 33766
[현장취재]'제 16회 서울청소년자원봉사대회' 나눔을 실천하는 청소년들 2 file 2015.11.23 박성은 22044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021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19704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201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6718
[현장취재]가게 옆 거대눈사람이 품은 따뜻한 이야기 10 file 2016.02.13 박다온 15590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288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259
북한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호' 발사 성공 11 file 2016.02.14 구성모 181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